$\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노화의 선평가 지표 개발 및 그에 따른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 함유 크림의 피부 내부 노화 개선 효과
Development of Pre-assessment Indicator for Skin Aging and Anti-aging Effect of Inner Skin by the Cream Product Containing Gynostemma pentaphyllum Gypenoside Fract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3, 2016년, pp.303 - 309  

김주연 ((주)셀트리온) ,  김정윤 ((주)셀트리온) ,  최치호 ((주)셀트리온) ,  임주혁 ((주)셀트리온) ,  추민주 ((주)셀트리온) ,  문성호 ((주)셀트리온) ,  장신재 ((주)셀트리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내부에서는 콜라겐의 합성 능력이 떨어지고 탄력섬유의 손상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발현이 증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눈가에 주름이 형성되기 전에 연령이 증가할수록 피부 내부에서 피부 노화의 징후가 관찰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피부 내부에서 먼저 발생하는 노화의 징후가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 함유 크림(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의 효능으로 인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눈가에 주름이 관찰되지 않는 21 ~ 34세의 한국 여성 52명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에게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외부의 노화 징후가 관찰되지는 않지만 피부 내부에서 노화의 징후가 시작되는 시점을 진피치밀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육안으로 주름이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진피치밀도가 감소하는 연령대에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을 4주 및 8주 사용한 후에 진피치밀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이 피부 내부에서 먼저 진행되는 노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이 향후 주름 개선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하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uman skins had a lot of changes as aging. The synthesis of collagens and elastic fibers were reduced an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was increased in the dermis. These changes have been known to be responsible for skin wrinkle form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항산화 효과를 지닌 칠엽담이 피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눈가 피부 표면 주름이 관찰되지 않는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진피치밀도 평가를 통해 피부 내부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하는 피부 내부 노화를 확인하였으며,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을 사용 시 피부 내의 진피치밀도를 증가시킴으로 인해 피부 내부 노화를 개선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노화를 관찰할 수 없는 21 ∼ 24세를 그룹 1로 지정하고, 그룹 1에 비해 피부 내부에서는 노화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연령대인 25 ∼ 29세, 30 ∼ 34세를 그룹 2, 그룹 3으로 나누어 피부 내부의 진피치밀도를 측정하여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내부에서 먼저 진행되는 노화의 징후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와 콜라겐 사이 관계는 어떠한가? 콜라겐은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져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세포외 기질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진피건조중량의 약 70 ∼ 80%, 진피 섬유성분의 약 90%를 차지하며, 세포 간매트릭스 역할, 구조적 지지체 기능 및 피부의 인장 강도 제공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하면서 피부의 탄력을 유지한다[3,4]. 생체 내에서 이러한 콜라겐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콜라겐의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s 의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3]. 이러한 피부 내부 변화로 인해 진행된 피부의 노화가 피부 표면으로 드러나면서 피부 외부에 변화를 나타내고 이것이 주름으로 관찰 된다.
칠엽담은 무엇인가? 칠엽담(Gynostemma pentaphyllum, G. pentaphyllum)은돌외 또는 교고람이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남부지역과 제주도, 울릉도 등의 섬과 중국⋅일본 등에서 자생하는 박과(cucurbit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 물로 산이나 들의 숲 속에서 자라며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에 흰털이 있고 엉키면서 자라지만 덩굴 손으로 기어 올라가기도 한다[7]. 칠엽담은 약 500년전부터 중국에서 사용된 역사가 있으며 명 왕조에 출판된 ‘Herbs for Famine’라는 책에서부터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8].
칠엽담의 효능으로 어떤 것들이 알려져 있는가? 칠엽담은 약 500년전부터 중국에서 사용된 역사가 있으며 명 왕조에 출판된 ‘Herbs for Famine’라는 책에서부터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8]. 이 후에도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약초로 활용된 기록들을 찾을 수 있으며 천식, 기관지염, 궤양, 암 등에도 효과가 있으며 체내의 활성산소를 없애는 항산화 효과 또한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 체내에 활성산소가 누적되면 콜라겐의 합성을 방해하 는데, 항산화 효과는 이러한 활성산소를 없애줌으로 인해 콜라겐 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피부 노화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 W. Lim, H. C. Ryoo, and S. H. Lee, Understanding of skin aging and its prevention and care, J. Skin Barrier Res., 4(1), 71 (2002). 

  2. G. Jenkins, Molecular mechanisms of skin ageing, Mech. Ageing Dev., 123, 801 (2002). 

  3. J. S. Youn, S. Y. Shin, Y. Wu, J. Y. Hwang, J. H. Cho, Y. G. Ha, J. K. Kim, M. J. Park, S. Lee, T. H. Kim, and T. Kim,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9(3), 393 (2012). 

  4. G. W. Lee, S. M. Park, Y. C. Yoo, and Y. H. Cho, Effect of Ponrici fructus extracts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on the collagen synthesis an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8(2), 106 (2013). 

  5. G. E. Pierard, R. Kort, C. Letawe, C. Olemans, and C. Pierard-Franchimont, Biomechanical assessment of photo damage: derivation of a cutaneous extrinsic ageing score, Skin Res. Technol., 1(1), 17 (1995). 

  6. J. Y. Park and S. K. Kang, A study for relationship between skin problems of elderly women and non-invasive skin measurement values, J. Invest. Cosmetol., 8(4), 289 (2012). 

  7. J. H. Yim, M. S. Jang, U. S. Jung, M. Y. Moon, H. Y. Lee, Y. H. Kim, G. Y. Lee, and N. H. Lee, Constituents of collagen synthesis activation from the extra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leav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0(3), 289 (2014). 

  8. V. R. Naumovski, T. H. W. Huang, V. H. Tran, G. Q. Li, C. C. Duke, and B. D. Roufogalis,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Gynostemma pentaphyllum, Phytochem. Rev., 4, 197 (2005). 

  9. L. Lin and B. H. S. Lau, Protec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from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nt injury by gypenosides, saponins of Gynostemma pentaphyllum, Phytother. Res., 7(4), 299 (1993). 

  10. H. Tanaka, T. Okada, H. Konishi, and T. Tsuji, The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the biosynthesis of collagen and glycosaminoglycans i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Arch. Dermatol. Res., 285(6), 352 (19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