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서관견(籌書管見)」과 「구장산술(九章算術)」의 내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Contents between Ju-Seo-Gwan-Gyeon and Gu-Jang-San-Su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3, 2016년, pp.419 - 434  

허난 (경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산학서인 "주서관견(籌書管見)"의 내용 구성 체계와 구장(九章)의 내용을 동양의 대표적 산학서인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주서관견"의 내용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당시의 산학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서관견"의 구장(九章)과 "구장산술"의 내용 및 형식을 비교한 결과 "주서관견"의 문제는 "구장산술"의 문제와 대부분 그 구성 및 형식이 유사하고 주어진 조건의 수치까지는 일치하지 않으나 동일한 유형의 문제가 많다. 또한 "주서관견"의 문제가 심화 되어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서술 형식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차이점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주서관견"은 "구장산술"과 다른 산학서들의 영향을 받아 저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 분석에 기초하여 "주서관견"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문제들이 우리나라 수학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in the early 18th century.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ntents between Ju-Seo-Gwan-Gyeon and Gu-Jang-San-Sul. From this study, we ar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Ju-Seo-Gwan-Gyeon that has been unknown in detail so far. In th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수학사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왔는데, 그 내용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우리나라 수학사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조선시대 우리나라 산학자들에 의해 저술된 산학서에 대한 번역 및 내용 분석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전해온 이후 우리나라에서 널리 활용된 산학서들에 대한 국역번역과 더불어 수학교육학적 가치를 찾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탐구하는 다양한 연구들(유인영, 2003; 이종희, 2003; 장혜원, 2002; 장혜원, 2003; 차종천, 2003; 한길준·서주연, 2004; 허민, 2005)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홍대용, 남명길, 홍정하 등과 같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산학자들과 그들의 산학서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구장산술(九章算術)」과 「주서관견」의 구장은 무엇이라 칭하는가? 그러나 최근에서야 「주서관견」에 대한 국역이 이루어졌으며 지금까지는 그 내용의 구성과 주를 이루고 있는 내용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했었다. 또한 동양 최고(最古)의 산학서라 칭하는 「구장산술(九章算術)」과 「주서관견」의 구장(九章)에 관한 내용이 비슷하다고는 알려져 있으나 그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없었다. 이에 두 산학서를 비교해보고 구체적인 유사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주서관견(籌書管見)」은 어떤 책인가? 조선시대 산학서로 널리 알려진 「주서관견(籌書管見)」은 조선 숙종44년(1718)에 쓰인 조태구(趙泰耈, 1660~1723)의 저서로서 우리나라 수학사에 관한 여러 연구에 언급되며 그 존재 자체가 널리 알려져 왔으며 대략적인 내용의 구성에 대해서도 이미 알려져 왔다. 김영옥(2015)은 조태구가 저술한 「주서관견」이 천학초함(天學初函)에 들어있는 서광계(徐光啓)와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번역한 기하원본(Euclid의 Elements)의 처음 6장을 연구하여 수학적 논증을 강조하고 또 이를 활용하려고 한 산서로 조선 산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영욱 (2015). 2014년도 한국고전번역원 정책연구과제 최종보고서 (ITKC-2014-RE-02). 서울: 한국고전번역원.(Kim, Y. O. (2015). 2014 Report ITKC-2014-RE-02. Seoul: ITKC) 

  2. 유인영 (2003). 九章算術의 原版과 英文飜譯版의 間隔. 한국수학사학회지, 16(4), 1-14.(Yu, I. Y. (2003).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 and New Translated Nine Chapers.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6(4), 1-14.) 

  3. 유희 (1998). 동양 최고의 수학서 구장산술(김혜경.윤주영 역). 파주: 서해문집.(Liu, H. (1998). The Nine Chapters(Kim, H. K. & Yun, J. Y., Trans.). Paju: booksea21.) 

  4. 이종희 (2003). 구장산술에 포함된 증명의 유형과 역할. 한국수학사학회지. 16(2), 11-22.(Lee, J. H. (2003). The types and roles of ancient mathematical proof in the Gu-Jang-San-Sul.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7(2), 11-22.) 

  5. 장혜원 (2002). 구장산술을 활용한 수학 교육-분수의 사칙 계산과 관련하여-. 한국수학사학회지, 15(2), 101-112.(Chang, H. W. (2002). The Mathematical Education throuh the Gu-Jang-San-Sul-five strategies for fractions related-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5(2), 101-112.) 

  6. 장혜원 (2003). 조선시대 산학서 의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탐구. 수학교육학연구, 13(4), 429-446.(Chang, H. W. (2003). Analysis on Gu-il-jip, the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3(4), 429-446.) 

  7. 한국과학사학회 편 (1985). 주서관견.구일집, 서울: 여강출판사.(KHSS (Ed.) (1985). Ju-Seo-Gwan-Gyeon.Gu-il-jip, Seoul: Yeogang Press) 

  8. 조태구 (2015). 국역주서관견(안나미 역).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원저 출판, 1718)(Joe, T. G. (2015). Ju-Seo-Gwan-Gyeon in Korean(Ahn, N. M, Trans.), Seoul: SejongKorea. (Original work published in 1718).) 

  9. 차종천 (2003). 한간 산수서와 구장산술의 비교. 수학교육 논문집, 15, 273-280.(Cha, J. C. (2003). A Comparative Study of the San-Su-Seo and the Gu-Jang-San-Sul.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5, 273-280.) 

  10. 한길준.서주연 (2004). 구장산술의 수학교육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17(3), 61-72.(Han, G. J. & Seo, J. Y. (2004). A Study for the Value of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on Mathematics Educational Viewpoint.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7(3), 61-72.) 

  11. 한미경 (2011). 조선시대 수학관계문헌 간행에 대한 분석. 서지학보, 38, 1-24.(Han, M. (2011). Analysis of Publication of Mathematics Related Literatures in Chosun Times, Koreabibloi, 38, 1-24.) 

  12. 허민 (2005). 산학서의 직각 삼각형. 한국수학사학회지, 18(3), 25-38.(Hur, M. (2005). Right Triangles in Traditional Mathematics of China and Korea.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8(3), 25-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