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영양안전 정책 현황 및 발전방향: 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ood nutrition safety policy: The first phase of sugar intake reduction pla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4, 2016년, pp.35 - 46  

정진이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안전국 영양안전정책과) ,  박선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안전국 영양안전정책과) ,  이순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안전국 영양안전정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fer existing and past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to reduce sugar consumption and utilize it as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and implement relevant policies. Methods: Korean government analyzed domestic and f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류 종합계획의 목표는 2020년까지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1일 총 에너지 섭취량(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하는 것으로, 하루 총 2,000kcal를 섭취하는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당류를 통한 에너지 섭취량은 200kcal, 당류로는 50g 이내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일이나 우유 등을 원재료로 하는 가공식품의 경우 천연 당류와 단맛을 위해 인위적으로 첨가된 당류를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기에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모든 당류를 10%이내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러한 정책 목표는 향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국민의 식생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그 내용이 참고되어야 할 것이다.
  • 전략 초안에서는 비전, 목표, 중점추진과제, 장별, 대상별 저감화를 위한 전략을 개발하였고, 관련 정부부처, 학계, 산업계, 소비자단체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략개발 TF를 구성하여 3회 운영하였으며, 개발된 초안을 중심으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당류 섭취 저감화를 위한 국민 실천 요령을 개발하여 국민의 당류 섭취 저감화 실천에 대한 동기 부여 및 대국민 홍보・교육자료 마련의 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이렇게 어린이・청소년층에서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은 식습관 형성시기인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관리가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가공식품을 통한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량을 1일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하여 적정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그간 수행해 온 당류 저감 정책과 제외국 사례를 참고하여 향후 당류 저감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과정과 그 내용에 대해 논함으로써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식품에 들어있는 당류 함량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식품 영양성분 DB로 구축하여 국민들이 영양관리를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한 당류 섭취량과 만성질환 관련성 연구를 실시하여 당류 저감화정책의 과학적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당류 저감정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관계부처, 소비자단체, 산업체 등과의 협력체계를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 본 논문은 우리나라 식품영양정책 중 당류 저감 종합계획이 수립되기까지의 과정과 종합계획의 내용에 대해 논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논문의 형식과는 다른 제한점을 가진다. 또한, 최종 결과를 도출하기까지 연구방법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당류 섭취량 및 당류 저감 전략개발 등의 사업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위탁하였고 그 결과물이 최종 종합계획 수립에 활용되었음을 밝힌다.
  • 추진 목표는 개발된 3안 중 가공식품을 통한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량을 1일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하여 적정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WHO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유리당의 개념과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첨가당의 의미와도 유사한 것으로 과일, 우유 등에 존재하는 당류의 섭취를 우선적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식품의 제조・가공 등의 단계에서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당류의 섭취를 적정하게 조절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당류 저감 종합계획의 관리대상은 음료류 등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식품의 가공・조리 시 첨가되는 설탕, 액상과당 등이며, 쌀 등에 있는 탄수화물과 과일, 우유는 대상이 아니다[Table 2].
  •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종합계획에서는 첫째, 국민 개개인의 덜 달게 먹는 식습관 및 인식을 개선하고자 한다. 당류 섭취는 단맛에 대한 선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평소 식습관과 식품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과일이나 우유 등을 원재료로 하는 가공식품의 경우 천연 당류와 단맛을 위해 인위적으로 첨가된 당류를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기에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모든 당류를 10%이내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러한 정책 목표는 향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국민의 식생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그 내용이 참고되어야 할 것이다. 개개인의 식습관 개선을 위해 대상별 특성을 감안한 영양교육 등이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전 국민의 적절한 당류 섭취라는 목표가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 당뇨 등 만성질환 관련 진료비가 급증한 이유가 당류 및 지방성분 섭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러한 사회적 우려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떠한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는가? 2조로 급증하였는데 이는 당류 및 지방성분 섭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러한 연구 결과와 사회적 우려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비만 등 만성질환과 관련하여 당류, 지방성분에 대한 선제적 관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지난 2000년 초부터 나트륨, 당류, 트랜스지방을 위해가능영양성분으로 정의하고 선제적으로 저감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당류, 나트륨 등 영양성분의 과잉섭취는 무엇의 원인이 되는가? 2014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지방 섭취량은 계속 증가하는 반면, 칼슘은 6세 이상 전 연령층에서 부족하고, 나트륨은 목표섭취량(2,000mg/일) 이상 섭취자 비율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등 나트륨 과잉섭취와 칼슘부족 등이 보고되고 있다(MHW & KHIDI, 2014). 이와 더불어 당류, 나트륨 등 영양성분의 과잉섭취는 비만, 고혈압 등 만성질환 유병률을 증가하시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HO, 2015a). 이러한 만성질환의 증가는 사회적 비용 증가와 관련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비만, 당뇨 등 만성질환 관련 진료비가 ‘07년 6.
서구화된 식습관과 신체활동 감소로 인해 비만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인한 어떤 질병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가? 최근 우리 국민의 서구화된 식습관과 신체활동 감소로 인해 비만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고혈압, 당뇨 등 대사증후군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어 비만예방은 국민 보건의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였다(Lee, 2016). 2014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지방 섭취량은 계속 증가하는 반면, 칼슘은 6세 이상 전 연령층에서 부족하고, 나트륨은 목표섭취량(2,000mg/일) 이상 섭취자 비율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등 나트륨 과잉섭취와 칼슘부족 등이 보고되고 있다(MHW & KHIDI,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ee, H. Y. (2016). Nutrition Safety policy i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to prevent Chronic disease. Spring meeting presentation of 2016,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p99-109.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14). 2014 National Health Statistics I,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Six term the second year.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5a). Healthy diet, Fact sheet No. 394. Updated September 2015.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08). Transfat Reduction Policy-The first project of the Children's Dietary Safety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a). White paper, 184-185. 

  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b). Food Labelling Standar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fication No. 2016-45 [Revised on June 13, 2016], p.4.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8. Kang, J. H.,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3).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ugars excess-intake and obesity or chronic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sugar-reduction model. 

  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5b). Guidelines: Sugars intake for adult and children. 

  1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3).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sugar reduction. 

  1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Sugar atabase compilation for commonly consumed foods. 

  12. Namkoong, Keun (2012). Policy Sciences, Second edition, Bobmunsa, 631-643. 

  13. Lee, S. K., Park, H. K., & Choi, Y. J. (2014). Nutritional standards for energy-dense low-nutrient density foods for children in Korea. Asia Pac J Clin Nutr, 23(1), 27-33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Implementing Regulations in Food Sanitation Law Article 6 of the rules. 

  15. Yeon, J. Y., Lee, S. K., Shin, K. Y., Kwon. K. I., Lee, W. Y., Kang, B. W., & Park, H. K. (2013). The total sugar and free sugar content in beverages categorized according to recipes at coffee and beverage store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6(4), 382-390.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6c). Food Labelling Standar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fication, 2016-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