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고정익 무인항공기 감항인증 기술기준분석
Airworthiness Standard Analysis about a Korea Fixed Wing Unmanned Aircraft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9 no.5, 2016년, pp.654 - 661  

임준완 (한국항공우주산업) ,  노진철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  고준수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unmanned aircraft refers to an aircraft which carries no human pilot and is operated under remote control or in autonomous operational mode. An unmanned aircraft system consist of a one system which include UAV(s), UAV control station and data link, etc. As the UAVs can perform the dull, dange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민간의 경우 150 kg 이하의 경우 “초경량비행 장치의 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상의 기준”이 있으나 150 kg 초과하는 무인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기술기준이 없어 현재 개발 및 운영되고 있는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시스템의 비행 안전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세계 각국의 감항당국들은 무인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기술기준 제정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의 안전운항 및 비행 위험 최소화를 위해 민간 감항인증 기술기준을 연구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중량별로 구분하여 성능과 수행 가능한 임무를 조사하여 무인항공기의 개발 동향을 파악하였다. 무인항공기에 유인항공기와 등가의 안전수준을 갖춘 감항인증 기술기준을 적용시키기 위해 NATO FINAS의 활동과 NATO STANAG 4671의 개발 및 제정과정을 조사하였다.
  • 결과적으로 KUAS는 KAS Part 23에서 84개의 항목을 적용, 185개의 항목을 수정 후 적용하였고, STANAG 4671의 113개 항목을 추가하여 총 38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인항공기 시스템에서 비행체 관련 기준의 대부분은 KAS Part 23을 수용하고, 명령 및 통제, 데이터 링크 및 무인항공기 통제소는 STANAG 4671을 참고하여 민간 무인항공기 감항인증 기술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환경, 기상연구, 탐사의 과학목적 이외의 농업, 어업, 산림 및 국토 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무인항공기의 기술기준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비분리 공역(Non-Segregated Airspace)에서 무인항공기가 유인항공기와 동시에 운영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 하여 무인항공기가 유인항공기와 동일하게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무인항공기 감항인증 기술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무인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기술기준 제정이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에서는 무인항공기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에서는 무인항공기를 항공법 제2조 3호에 의해 항공기에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고 원격, 자동으로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로 정의하고 있으며, 항공법 시행규칙 제14조 6호의 초경량비행장치의 범위 등에 따라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공허 중량(EW : Empty Weight)이 150 kg 이하인 무인비행기 또는 무인회전익 비행 장치를 무인동력비행장치로 구분하고, 공허중량이 150 kg 이상인 무인항공기를 항공법시행규칙 제 3조 2호에 따라 항공기인 동력비행장치로 구분하고 있다[3].
본 논문에서 무인항공기의 안전운항 및 비행 위험 최소화를 위한 민간 감항인증 기술기준을 연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국내 민간의 경우 150 kg 이하의 경우 “초경량비행 장치의 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상의 기준”이 있으나 150 kg 초과하는 무인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기술기준이 없어 현재 개발 및 운영되고 있는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시스템의 비행 안전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세계 각국의 감항당국들은 무인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기술기준 제정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의 안전운항 및 비행 위험 최소화를 위해 민간 감항인증 기술기준을 연구하였다.
항공법 시행규칙 제14조 6호의 초경량비행장치의 범위 등에 따라 구분한 항공기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에서는 무인항공기를 항공법 제2조 3호에 의해 항공기에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고 원격, 자동으로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로 정의하고 있으며, 항공법 시행규칙 제14조 6호의 초경량비행장치의 범위 등에 따라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공허 중량(EW : Empty Weight)이 150 kg 이하인 무인비행기 또는 무인회전익 비행 장치를 무인동력비행장치로 구분하고, 공허중량이 150 kg 이상인 무인항공기를 항공법시행규칙 제 3조 2호에 따라 항공기인 동력비행장치로 구분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ICAO,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Signed at Chicago, 1944 

  2. DoD, Unmanned Aircraft Systems Roadmap 2005-2030, 2005 

  3. Ministry of Transportation, Aviation Regulation, Chung Yeon, 2014. 

  4. DAPA, Military Aircraft Flight Safety Certification Regulation, DAPA Instruction Number 214, 2013. 

  5. Department of Defence, FY 2009-2034 Unmanned System Integrated Roadmap, 2009. 

  6. MOT, Unmanned Aircraft's(Drone) Activation Plan for 10 % World Industry Market on 2022, 2014. 

  7. Department of Defence,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 Airspace Integration, 2014. 

  8. Jong-youn Won, UAV Ground Control Station GUI Guidelines : for the Designer, Developer and Operator's Needs, Proceedings of HCI, 2015. 

  9. Reg Austin, UNMANNED AIRCRAFT SYSTEMS, 2010. 

  10. IRS Global, 확대되는 무인항공기(드론) 기술/시장 전망과 최근 개발동향, 2014. 

  11. Hyojung Ahn, "A Study of Civil Unmanned Aerial System Category Classification," J.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43(7), 657-667, 2015. 

  12. House of Commons Library, Overview of Military Drones used by the UK Armed Forces, 2015. 

  13. Strategic Concept of Employment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in NATO, JAPCC, p. 6, 2016. 

  14. DAPA, Military Aircraft Standar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Criteria Notice 2011-1, 2011.11. 

  15. NSA, STANAG 4671 Edition 1: Unmanned Aerial Vehicles Airworthiness Requirements(USAR), 2009. 

  16. FAA, "8130.34C - Airworthiness Certific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and Optionally Piloted Aircraft," 2013. 

  17. RTCA, RTCA DO-178C, "Software Considerations in Airborne Systems and Equipment Certification," 2011.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AS Part 23,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s; Normal, Utility, Acrobatic, and Commuter Category Airplanes," 2013. 

  1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AS Part 25, "Korean airworthiness Standars; Transport Category Airplanes,"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