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정신건강이 학업성취도와 학업중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7 no.3, 2016년, pp.173 - 180  

방은주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김두형 (희망가득 정신과의원) ,  노법래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유혜승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장지현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하경희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박은진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홍현주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by using longitudinal data. Methods: For this study, 153 high schools were randomly sampled on a nationwide scale. The descriptive data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그동안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거의 없었을 뿐 아니라 외국에서 시행된 선행연구들도 주로 학생 개인수준에서의 정신건강과 문제행동 및 적응 행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수준에서의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학교 수준에서의 학교생활 적응과 교육의 결과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선행연구에서 주로 이용된 학업중단율과 학업성취도 변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학생 정신건강 정책인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별 정신건강 수준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 단위에서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문제 정도와 학업성취도 및 학업중단율 간의 관계를 살펴본 첫 번째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임상집단이 아니라 무작위 무선표집된 153개의 고등학교였으며 2013년 시행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의 데이터와 그 다음 해의 기초학력 미달비율과 학업중단율에 대한 공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 AMPQ-II 평균점수가 높은 학교일수록 학업중단과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높다.
  • 가설 2: AMPQ-II 평균점수가 학업중단율과 기초학력 미달비율에 미치는 효과는 학교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의 특징은? 1) 정신건강 정도가 우수한 집단의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 집단보다 학업성취와 학교참여 및 학업유지 수준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2,3) 학교 거부자들의 절반 정도에서 학업성취가 뒤떨어졌다.4)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은 과잉행동이나 비행을 보이기도 하며5-7) 학교 거부 행동을 보이는 아동·청소년의 정신병리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출석문제를 가진 아동의 2/3는 심한 의존성과 감정적인 미성숙을 보였고 1/5의 아동은 불안이나 기분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출석문제가 없는 통제집단 경우에는 1/10의 아동만이 이러한 정신과적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신건강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어떤 기준을 통해 판별하는가?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학생 정신건강 정책인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별 정신건강 수준을 평가하였다.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는 학교 기반의 학생 정신건강선별평가로서 중·고등학생의 경우에는 1차 검사로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Behavior Questionnaire-II(AMPQII)16) 척도를 자가평정한다. 이 결과를 통해 단위학교의 AMPQ-II 척도의 평균점수가 학업성취도나 학업중단율과 같은 학교 수준의 변수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각 학교의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비율의 값을 활용하였다.
정신건강 정도가 우사한 집단의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 집단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학생들의 정신건강은 학업 수행도나 학교 이탈과 같은 교육 결과 변인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학업 성취도와 잦은 결석은 아동·청소년기에 보일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신호가 되기도 한다.1) 정신건강 정도가 우수한 집단의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 집단보다 학업성취와 학교참여 및 학업유지 수준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2,3) 학교 거부자들의 절반 정도에서 학업성취가 뒤떨어졌다.4)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은 과잉행동이나 비행을 보이기도 하며5-7) 학교 거부 행동을 보이는 아동·청소년의 정신병리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출석문제를 가진 아동의 2/3는 심한 의존성과 감정적인 미성숙을 보였고 1/5의 아동은 불안이나 기분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eSocio J, Hootman J. Children's mental health and school success. J Sch Nurs 2004;20:189-196. 

  2. Lee SY, Han MR. School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Korean J Youth Stud 2014;21:195-218. 

  3. King NJ, Bernstein GA. School refusal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1;40:197-205. 

  4. Chazan M. School phobia. Br J Educ Psychol 1962;32:209-217. 

  5. Currie J, Stabile M. Child mental health and human capital accumulation: the case of ADHD. J Health Econ 2006;25:1094-1118. 

  6. Fletcher J, Wolfe B. Child mental health and human capital accumulation: the case of ADHD revisited. J Health Econ 2008;27:794-800. 

  7. Bardone AM, Moffitt T, Caspi A, Dickson N. Adult mental health and social outcomes of adolescent girls with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 Dev Psychopathol 1996;8:811-829. 

  8. Berg I, Butler A, Franklin J, Hayes H, Lucas C, Sims R. DSM-III-R disorders, social factors and management of school attendance problems in the normal population.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3; 34:1187-1203. 

  9. Bernstein GA, Massie ED, Thuras PD, Perwien AR, Borchardt CM, Crosby RD. Somatic symptoms in anxious-depressed school refus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661-668. 

  10. Graham P. The end of adolescenc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2004. 

  11. Patel V, Flisher AJ, Hetrick S, McGorry P. Mental health of young people: a global public-health challenge. Lancet 2007;369:1302-1313. 

  12. Han SS, Weiss B. Sustainability of teacher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grams. J Abnorm Child Psychol 2005; 33:665-679. 

  13. Dix KL, Slee PT, Lawson MJ, Keeves JP. Implementation quality of whole-school mental health promotion an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Child Adolesc Ment Health 2012;17:45-51. 

  14. Lee GU. Study of the mental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and urban community. Korean J Health Educ Promot 1985;3:91-97. 

  15. Jang SB. The difference of mental health status, school life and delinqu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a regional condition [dissertation]. Gyeongsan: Yeungnam Univ.;2003. 

  16. Jung SA, Ahn DH, Chung SY, Jeong YG, Kim YY. Development of screening test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8;47:168-176. 

  17.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Korea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cited 2015 Mar 5]. Available from: http://kess.kedi.re.kr/frontPop/samplingService. 

  18. Ministry of Education. Annual school-based mental health screening. Sejong: Ministry of Education;2014. 

  19. Ministry of Education. Schooinfo [cited 2015 Apr 8]. Available from: http://www.schoolinfo.go.kr/index.jsp. 

  20. Fergusson DM, Woodward LJ. Mental health, educational, and social role outcomes of adolescents with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2002;59:225-231. 

  21. Jonsson U, Bohman H, Hjern A, von Knorring L, Olsson G, von Knorring AL. Subsequent higher education after adolescent depression: a 15-year follow-up register study. Eur Psychiatry 2010;25:396-401. 

  22. Masten AS, Roisman GI, Long JD, Burt KB, Obradovic J, Riley JR, et al. Developmental cascades: linking academic achievement an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symptoms over 20 years. Dev Psychol 2005;41:733-746. 

  23. Breslau J, Miller E, Joanie Chung WJ, Schweitzer JB. Childhood and adolescent onset psychiatric disorders, substance use, and failure to graduate high school on time. J Psychiatr Res 2011;45:295-301. 

  24. Miech RA, Caspi A, Moffitt TE, Wright BR, Silva PA.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mental disorders: a longitudinal study of selection and causation during young adulthood. Am J Sociol 1999;104: 1096-1131. 

  25. Rumberger RW. Dropping out: why students drop out of high school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2011 

  26. Choi JH.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self-concep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Cheongju: Korea National Univ. of Education;2004. 

  27. Oh HE, Sim MJ, Oh HS.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health, depression level,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ie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0;35:124-133. 

  28. Zahner GE, Daskalakis C. Factor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general health, and school-based service use for child psychopathology. Am J Public Health 1997;87:1440-1448. 

  29. Trickett EJ, Trickett PK, Castro JJ, Schaffner P. The independent school experience: aspects of the normative environments of single-sex and coed secondary schools. J Educ Psychol 1982;74:374-381. 

  30. Huh Y, Ahn DH, Choi JH, Kang JY, Kim YY, Oh KJ. Development of a child problem-Behavior Screening Test.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3;42:724-7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