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Local University Students' Halting Their Academic Studi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ampus Lif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8, 2011년, pp.378 - 387  

김경희 (신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 대학생들의 학업을 중단하게 되는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동기를 낮추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변인, 자긍심, 교육서비스, 가정환경, 개인흥미, 학업능력 등으로 도출되었다. 개인흥미요인과 자긍심이 학업중단여부에 가장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 분석에서는 자긍심, 교육서비스, 개인흥미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중단 고려자와 비고려자 두 집단 간에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차원에서 학생들의 모교에 대한 자긍심 향상과 만족도를 높이는 구체적인 노력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obtain basic data with the intention of lowering the motive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halting their studi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cademic interru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ampus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을 중단하게 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와 함께 대학생활만족도 분석을 통해 학업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대학생활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기초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현재 한국의 대학들이 입학자원의 한계에 처한 현실에서 시의 적절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등을 함께 파악하여 향후 재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을 감소시키는 대안을 위한 기초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교육기관 운영 측면에서 대학생의 휴학 및 제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대학교육기관 운영 측면에서 대학생의 휴학 및 제적은 잠재적 졸업자의 상실을 의미하며, 이는 학교 재정 난을 가중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학의 학생 유지문제는 교육의 질과 경쟁력 제고라는 연결고리 속에서 악순환을 거듭할 위험에 처해 있다.
대학의 학문 프로그램의 질은 무엇에 의해 유지되고 발전되는가? 대학생들의 학업중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첫째, 신입생의 미충원 및 학업중단으로 인한 학내 학생 자원의 유출은 대학의 재정적 안정성에 위협요인으로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 질에 대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대학의 학문 프로그램의 질은 안정적인 등록 환경 즉, 재학생 확보에 의해서 유지되고 발전된다[3]. 대학 차원에서 볼 때 학생들의 퇴학, 휴학 및 전학 등과 같은 학업중단은 대학 재정의 상당부분을 등록금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학의 입장에서는 커다란 부담이 되며, 학생들이 어떤 이유로든 학교를 떠난다는 것은 대학의 핵심적인 기능 가운데 하나인 교수-학습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대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피할 수 없다[4].
학교생활 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이론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고등교육에서 대학생의 학교생활 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의 틀은 다섯 가지 이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첫째, 심리학적 접근, 둘째, 사회학적 접근, 셋째, 경제학적 접근, 넷째, 조직이론적 접근, 다섯째, Tinto의 통합모형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24][25]. 첫째, 심리학적 접근은 중도탈락 과정에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강조하는데 개인의 성격, 동기, 속성 등이 대학 생활의 학문적 도전을 충족하는 개인의 능력과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둘째, 사회학적 접근은 교육 획득을 광범위한 사회 획득 과정의 일부분으로 간주하며, 개인의 사회적 배경, 인종, 성별 등이 포함된다. 셋째, 경제학적 접근은 학생이 학교에 지속적으로 다니는 것은 본질적으로 자신의 희소적인 경제적 자원을 투자하는 방법으로 비용과 효과의 무게를 재는 다른 경제적 결정과 다르지 않다는 견해를 공유한다[26]. 넷째, 학생의 중도탈락에 대한 조직론적 접근은 교육기관의 조직 및 형식적 구조, 자원, 유대감 형태가 학생유지 또는 탈락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다. 다섯째, Tinto(1975),(1992)의 통합 모형 접근은 1990년대 초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설명하는 지배적인 관점이었다. 통합 모형은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 조직뿐만 아니라 학생 동료집단과 학생 하위문화와 같은 비공식 사회조직 그리고 학생, 교수, 직원 간 개인적 상호작용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9]. 즉, 학생의 자발적 학업중단 결정은 가정배경, 개인의 능력 및 특성, 목표와 헌신성(commitment), 대학의 공식적 비공식적 학문체제와 사회체제에의 적응 정도를 통합(integration)이라고 하면서, 이 통합정도가 학업중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www.kedi.re.kr/ - 2010 

  2. 김수연, "학생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111-141, 2007. 

  3. A. Seidman, "Retention revisited. College and University," 제71권, 제4호, pp.18-20, 1996. 

  4. 이병식,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기관특성의 탐색적 분석", 교육학연구, 제41권, 제2호, pp.135-154, 2003. 

  5. http://www.segye.com - 사립대학 등록금의존율 70%에 육박, 세계일보, 2009. 

  6. 김용남, "대학생의 학업중단 요인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김수연,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Student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Two-year College Student Attrition in Korea", 한국교육, Vol.29, No.1, pp.123-149, 2002. 

  8. 김수연, "교육성취전략으로서 편입학과정 탐색", 진로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한국진로교육연구, pp.70-91, 2004.. 

  9. 김수연, "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중도탈락 요인분석", 한국교육, 제33권, 제4호, pp.33-62, 2006. 

  10. 김수연, "대학생의 학업지속 경향성 척도 개발과 양호도 검증",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1-29, 2010. 

  11. 최길순,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광역시 D대학을 중심으로, 한국비즈니스리뷰, 제3권, 제1호, pp.95-118, 2010. 

  12. 오영재, "대학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3권, 제1호, pp.327-356, 2005. 

  13. 김성식,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및 학교이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대학선택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영향", 한국교육, 제35권, 제1호, pp.227-249, 2008. 

  14. 노혜란, 최미나, "대학생의 중도탈락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고등교육인적자워개발 정책 방안: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1권, 제1호, pp.89-107, 2008. 

  15. 임연욱, "사이버대학 학습자관련 변인과 중도탈락 간의 관계 규명을 위한 실증적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14, 2007. 

  16. 주영주, 장미진, 이현주, "사이버대학 학생의 중도탈락 경험에 근거한 중도탈락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3호, pp.209-233, 2007. 

  17. 권혜진,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사이버대 재학생의 중도탈락의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404-412, 2010. 

  18. 임연욱, 이광희,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중도이탈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제30권, 제3호, pp.321-348, 2003. 

  19. 이덕로, 이성석, "학생생활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고객만족관점을 중심으로-", 산학경영연구, 제15권, pp.1-24, 2002. 

  20. http://www.seoul.co.kr - 올 학령인구 1000만 붕괴, 서울신문, 2010년 2월 20일. 

  21. http://kyokim.cafe24.com 

  22. J. E. Hoyt, and B. A. Winn, "Understanding Retention and College Student Boies: Differences Between Drop-Outs, Stop-Outs, Opt-Outs, and Transfer-Outs," NASPA Journal, Vol.41, No.3, p.395, 2004. 

  23. D. R. Garrison, Status and trends of distace education, Lund, Sweden: Lector Publishing, 1985. 

  24. V. Tinto,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45, No.1, pp.89-125, 1975. 

  25. V. Tinto, "Student Attrition and Retention. In B. Clark. and G. R. Neave(eds.) Encydopedia of Higher Education 3, New York: Pergamon Press. pp.1697-1707, 1992. 

  26. E. Jensen, "Student Financial Aid and Persistence in Colleg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52, No.1, pp.280-293, 1981. 

  27. H. J. Walberg, B. J. Fraser, and W. W. Welch, "A test of a model educational productivity among senior high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79, No.3, pp.133-139, 1986. 

  28. 김재웅, "미국 대학생 중도탈락 : 개인.사회구조.대학의 상대적 중요성", 교육행정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7-48, 1992. 

  29. 최명선, 강지희, "대학생 중도탈락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7호, pp.203-225, 2008. 

  30. 강승호,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23권, 제1호, pp.25-5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