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중재술 전후 주요 항협심증 약제로서의 베타차단제와 칼슘채널차단제: 처방패턴 및 임상결과에 미치는 영향
Beta Blockers or Calcium Channel Blockers as Primary Antianginal Drug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rescription Pattern and its association with Clinical Outcom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6 no.3, 2016년, pp.213 - 219  

노선영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  조윤희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  조윤숙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  한현주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  이해영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  이주연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Although guideline recommends beta blockers (BBs) as first line antianginal agent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CCBs) as alternative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the prescription patterns in real practice a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 We aimed to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항협심증 일차약제를 중심으로 PCI 시행 전후 처방패턴을 조사하고, PCI 시행 후 일차 항협심증 약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PCI 시행 후 일차 항협심증 약물이 임상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약물요법의 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나?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는 관상동맥중재술 후 약물요법의 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항혈소판약제 사용, 베타차단제 사용, 스타틴 약제의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미국에서 Borden 등에 의한 연구에서는 PCI 시행 후 퇴원 시점에서 66.
어떠한 경우 관상동맥중재술 시행을 추천하고있나? 2012년 미국심장학회를 포함한 여러 학회에서 공동 발표한 안정형 허혈성 심질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안정형 협심증환자는 1차적 치료로 적절한 약물요법을 선택하고, 이러한 약물요법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있으며, 하나 이상의 관상동맥에 상당한 협착(70% 이상)이 있는 경우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coronary intervention, PCI)을 시행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1) 가이드라인은 위험인자 교정을 위해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치료를 권장하고 있으며 심근경색과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요법으로 항혈전제(aspirin 혹은 clopidogrel), 베타차단제, 안지오텐신차단약제를 추천하고 있다.
안정형 허혈성 심질환 가이드라인에서 심근경색과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요법으로 추천하는 것은 무엇인가? 2012년 미국심장학회를 포함한 여러 학회에서 공동 발표한 안정형 허혈성 심질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안정형 협심증환자는 1차적 치료로 적절한 약물요법을 선택하고, 이러한 약물요법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있으며, 하나 이상의 관상동맥에 상당한 협착(70% 이상)이 있는 경우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coronary intervention, PCI)을 시행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1) 가이드라인은 위험인자 교정을 위해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치료를 권장하고 있으며 심근경색과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요법으로 항혈전제(aspirin 혹은 clopidogrel), 베타차단제, 안지오텐신차단약제를 추천하고 있다.1,2) 일차 항협심증 약물(antianginal drug)로는 베타차단제를 추천하고, 베타차단제가 금기이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 칼슘채널차단제 혹은 지속성 질산염 제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Fihn SD, Gardin JM, Abrams J, et al. 2012 ACCF/AHA/ACP/AATS/PCNA/SCAI/STS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merican Association for Thoracic Surgery, Preventive Cardiovascular Nurses Association,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and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J Am Coll Cardiol 2012;60:e44-e164. 

  2. Abrams J. Chronic stable angina. N Engl J Med 2005;352:2524-33. 

  3. Kohro T, Hayashi D, Okada Y, et al. Effects of medication on cardiovascular events in the Japanese coronary artery disease (JCAD) study. Circ J 2007;71:1835-40. 

  4. Borden WB, Redberg RF, Mushlin AI, et al. Patterns and intensity of medical therapy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AMA 2011;305:1882-89. 

  5. Endo A, Kohsaka S, Miyata H, et al. Disparity in the application of guideline-based medical therap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analysis from the Japanese prospective multicenter registry. Am J Cardiovasc Drugs 2013;13:103-12. 

  6. Jiang J, Wang X, Jia J, et al. Current status and influence factors of beta blocker prescription in Chinese patients with stable angina pectoris. Zhonghua Xin Xue Guan Bing Za Zhi 2015;43:227-33. 

  7. Freemantle N, Cleland J, Young P, et al. ${\beta}$ Blockade after myocardial infarc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 regression analysis. BMJ 1999;318:1730-7. 

  8. Shu de F, Dong BR, Lin XF, et al. Long-term beta blockers for stable angin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Prev Cardiol 2012;19:330-41. 

  9. Garg P, Wijeysundera HC, Yun L, et al. Practice patterns and trends in the use of medical therapy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Ontario. J Am Heart Assoc 2014;3(4):e000882. 

  10. James PA, Oparil S, Carter BL, et al.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JAMA 2014;311:507-20. 

  11. Heidenreich PA, McDonald KM, Hastie T, et al. Meta-analysis of trials comparing beta-blockers, calcium antagonists, and nitrates for stable angina. JAMA 1999;281:1927-36. 

  12. Rehnqvist N, Hjemdahl P, Billing E, et al. Effects of metoprolol vs verapamil in patients with stable angina pectoris. Eur Heart J 1996;17:76-81. 

  13. Fox KM, Mulcahy D, Findlay I, et al. Effects of atenolol, nifedipine SR and their combination on the exercise test and the total ischaemic burden in 608 patients with stable angina. The TIBET Study Group. Eur Heart J 1996;17:96-103. 

  14. Von Arnim T. Medical treatment to reduce total ischemic burden: total ischemic burden bisoprolol study (TIBBS), a multicenter trial comparing bisoprolol and nifedipine. The TIBBS Investigators. J Am Coll Cardiol 1995;25:231-8. 

  15. Dwivedi SK, Saran RK, Mittal S, et al. Silent ischemic interval on exercise test is a predictor of response to drug therapy: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of metoprolol versus diltiazem in stable angina. Clin Cardiol 2001;24:4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