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버섯 병 재배용 배지는 재료의 혼합, 수분조절, 입병, 살균, 냉각의 작업과정을 거쳐 조성된다. 배지조성은 버섯종류별로 알맞은 재료의 선택, 수분함량, 병당 입병량, 가비중, 질소량, 병내 배지의 3상조건 등을 매일 입병 작업하는 과정에서 연중 일정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배지조성에 관하여 단편적으로 개발한 기술들을 작업과정에 맞추어서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배지조성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4계절을 통한 버섯 재배에서 균 배양기간, 재배기간, 수량 및 품질에 기복이 많았던 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dium used for bottle cultivation of mushrooms is made according to a specific workflow; this includes mixing the raw materials, adjusting the moisture content, placing the mixture into bottles, and sterilizing and cooling the medium. Medium composition should be kept constant throughout the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배지재료의 일반성분) 원소자동분석기(LECO, CN- 628)를 이용하여 전탄소(T-C)와 전질소(T-N) 함량을 분석 하고, 전탄소함량을 전질소함량으로 나누어서 C/N율을 구하였다. 배지의 수분함량은 건조 전과 80℃에서 24시간 건조 후의 무게를 달고, 건조전 무게에서 건조후 무게를 뺀 값을 건조전 무게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하였다[(식): 배지수분함량 =( 건조전무게 - 건조후무게 )÷ 건조전무게 ×100].
  • 버섯 병재배 배지의 수분함량과 배지입병량에 따른 병 내의 고상, 액상, 기상 등 3상조건의 조견표 작성을 위한 엑셀 파일을 이용한 계산식을 구하고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병용량 , 가비중 , 수분함량으로 ④건물중(= ①×②), ⑤수분량(=④×③÷(100-③), ⑥입병량(=④+⑤)을 계산한 후 건물중, 수분량, 입병량으로 병내 3상조건 ⑦고 상(④÷①÷1.
  • 버섯 병재배에 주로 사용하는 배지 재료들의 수분함량은 대부분이 10~15% 범위이나 미루나무톱밥 24%, 미송톱밥 45%정도이며 특히 미송 발효톱밥은 55~75%까지로 다양하다.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배지혼합기로 배지 조제 시 수분조절용 물 공급량을 정확하게 하는 방법으로 매일 반복 입병하는 배지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조절이 가능한 로드셀 장치를 개발 하였다. 배지 조제 시 혼합기 내에 투입한 배지와 공급할 물의 총무게를 로드셀에 설정하여 두고, 물을 공급하면서 혼합기 무게가 표시부에 입력한 숫자에 도달하면 제어장 치를 통하여 전자변이 닫혀 물 주입이 중단된다.
  • 배지조성은 버섯 종류별로 알맞은 재료의 선택, 배지의 수분함량, 병당 입병량, 가비중, 질소량, 병내 배지의 3상조건 등을 매일 입병 작업하는 과정에서 연중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배지조성에 관하여 단편적으로 개발한 기술들을 작업과정에 맞추어서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그 내용은 ①버섯 병재배에 사용하는 배지재료들과 살균한 배지의 수분함량, pH, 질소함량(%) 을 측정하여 혼합배지의 수분조절과 병당 입병량 및 질소량(g) 계산을 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 배지조성은 버섯 종류별로 알맞은 재료의 선택, 배지의 수분함량, 병당 입병량, 가비중, 질소량, 병내 배지의 3상조건 등을 매일 입병 작업하는 과정에서 연중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배지조성에 관하여 단편적으로 개발한 기술들을 작업과정에 맞추어서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그 내용은 ①버섯 병재배에 사용하는 배지재료들과 살균한 배지의 수분함량, pH, 질소함량(%) 을 측정하여 혼합배지의 수분조절과 병당 입병량 및 질소량(g) 계산을 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 기본배지에 대하여 50%까지 대체하여도 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10%~30% 첨가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증수하였다. 재활용 수준은 기본배지인 532배지(부피비로 포플러 50%, 비트펄프30%, 면실박 20%) 85%와 수확후배 지 15%(병수를 기준으로 20%를 탈병후 바로)의 비율로 사용한다. 수확후배지의 배지재료로 재활용은 1회만 하므로 100% 배지의 병은 색깔이 다른 상자를 사용하여 구분 하는 것이 편리하다.
  • 즉 팽이, 큰느타리, 느타리 등 병재배 버섯의 배지재료 배합 시 각 재료의 성 분함량을 참고하여 C/N율, 인산, 칼슘 등 영양수준을 맞추기 위하여 계산이 가능하다. 팽이버섯 병재배 농가의 배지재료를 수집하면서 살균한 배지에 대한 재료별 혼합 비율을 파악해 둔 배지재료와 살균배지의 성분표를 작성 하였다. 그리고 사례농가에서 1,100 ml병당 배지재료별 사용량을 건조중량으로 환산하여, 전체 무게에 대한 재료별 혼합비율과 질소함량을 곱한 후 각 재료별 계산치를 합산한 값(1.

대상 데이터

  • 배지 조제 시 혼합기 내에 투입한 배지와 공급할 물의 총무게를 로드셀에 설정하여 두고, 물을 공급하면서 혼합기 무게가 표시부에 입력한 숫자에 도달하면 제어장 치를 통하여 전자변이 닫혀 물 주입이 중단된다. 장치의 구성은 로드셀 4개와 평형틀, 급수용전자변, 표시부, 전원 공급 및 제어 장치이다. 이 장치의 활용에 대하여 예를 들면 매일 반복하는 입병작업에서 5,000병용으로 혼합기에 넣은 배지재료의 부피는 일정하나 재료의 수분함량 차이 때문에 무게가 날마다 또는 계절에 따라 차이가 많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재배용 배지재료의 수입의존도가 증가한 이유는? 재배 규모의 대형화는 질 좋은 배지재료의 안정적인 공급이 요구된다. 대규모 농장에서는 톱밥의 장기간 야적에 어려움이 많아졌으며, 미강도 변질되기 쉬워서 장기간 저장을 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버섯재배용 배지재료는 기존의 톱밥과 미강 위주에서 벗어나 콘코브, 면실박, 면실피, 비트펄프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수입의존도가 증가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배지재료들은 각각 수분흡수 및 팽윤정도 등 물리성과 영양성분이 다르므로 그 특성을 파악한 후 사용해야 하나, 이와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버섯 재배용 배지에 종균 접종 전에 해야 하는 과정은? 특히 수입재료의 경우 수입국 및 산출물의 처리공정에 따라 성분함량에 차이가 많은데도 제품의 명칭이 같으면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버섯 재배용 배지는 재료의 혼합, 수분조절, 입병, 살균, 냉각의 작업과정을 거쳐 조성한 후 종균을 접종한다. 국립원예특작 과학원 버섯과에서는 2009년부터 버섯 병재배용 배지조성 과정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①배지재료 및 조제배지의 수분함량 계산식(Cheong et.
버섯 병재배 규모의 대형화에 요구되는 것은? 버섯 병재배 규모가 1일 입병량을 기준으로 90년대에 농가당 약 3천병에서 현재는 2만~20만병으로 대형화 되었다. 재배 규모의 대형화는 질 좋은 배지재료의 안정적인 공급이 요구된다. 대규모 농장에서는 톱밥의 장기간 야적에 어려움이 많아졌으며, 미강도 변질되기 쉬워서 장기간 저장을 할 수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 DY, Yoo CH, Kim GP. 1989. The latest mushroom cultivation technology. p142. Sanglocksa. 

  2. Chang HG. 1976. Influence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to the substrate o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nd chemical of the substrates. Kor J Mycol. 4:31-44.(in Korean) 

  3. Cheong JC, Jhune CS, Kim SH, Won HY, Kwon JG. 2005. Effects of using cold water on mixing sawdust media for Flammulina velutipes. J Mushroom Sci Prod. 3:140-144. 

  4. Cheong JC, Jhune CS, Lee CJ, Oh JA.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raw materials for mushroom substrates. Kor J Mycol. 38:136-141. 

  5. Cheong JC, Jhune CS, Lee CJ, Oh JA, Shin PG. 2011. Methods of temperature measurement of medium in bottle during sterilization. J Mushroom Sci Prod. 9:74-79. 

  6. Cheong JC, Lee CJ, Shin PG, Suh JS. 2012a. Recycling postharvest medium from bottle cultivation for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J Mushrooms. 10:167-173.(in Korean) 

  7. Cheong JC, Lee CJ, Suh JS, Moon YH. 2012b.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reinoculation and post-harvest Flammulina velutipes media. J. Mushrooms. 10:174-178.(in Korean) 

  8. Cheong JC, Lee CJ, Moon JW. 2014. Comparison of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ies yield according to substrate in Flammulina velutipes. J Mushrooms. 12:117-121. 

  9. Cheong JC, Lee CJ, Moon JW. 2015a. The formula and the utilizing method for adjusting moisture contents of the substrates on the mushroom bottle cultivation. J Mushrooms. 13:139-144. 

  10. Cheong JC, Lee CJ, Moon JW, Kweon JG, Kim HJ. 2015b. Adjusting moisture contents of the substrates on the mushroom bottle cultivation by the device Load Cell. J Mushrooms. 13:233-236.(in Korean) 

  11. Cheong JC, Lee CJ, Moon JW. 2016a. Recycle effect of postharvest medium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Kor J Mycol. 44:31-35.(in Korean) 

  12. Cheong JC, Lee CJ, Moon JW. 2016b. Medium composition for Flammulina velutipes bottle cultivation utilizing cassava stem chips. J Mushrooms 14:14-20.(in Korean) 

  13. Cheong JC. 2016c. Medium composition for Pleurotus ostreatus bottle cultivation utilizing cassava stem chips. Monthly Mushrooms. 221:60-68. 

  14. Park YH, Chang HG, Go SJ, Cha DY. 1978.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Rep Agri Res(RDA). 20:129-134. 

  15. Park YH. 1997. The latest studies mushrooms. pp324. Korea Mushroom Pre-inoculum Farming Association. 

  16. Yoo YB, Goo CD, Kim SH, Shu GS, Shin HD, Lee JW, Lee CS, Jang HW. Mushroom Science p101. Natural and M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