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mal batteries use inorganic salt as electrolyte, which is inactive at room temperature. As soon as heat pellets are fired by an igniter, all the solid electrolytes are instantly melted into excellent ionic conductors. However, the abnormal heat generation by the igniter flame or heat pellets c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Zr/BaCrO4 균질성 확보 및 공정 단순화를 위해 초지 공정(paper-making process)을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조성비를 갖는 Zr/BaCrO4 열지를 제조하였다. 발열량, 연소 속도, 점화 감도 및 열원 점화시험 등의 열적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전지는 어떻게 활성화되는 전지인가? 열전지는 화약 열원(pyrotechnic heat source)을 이용해 짧은 시간에 전해질을 용융시킴으로써 활성화되는 전지로서, 음극(LiSi), 공융염(LiF-LiCl-LiBr), 양극(FeS2) 및 열원(Fe/KClO4)으로 구성되는 단위전지가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그림 1). 열전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활성화 신호에 의한 착화기(igniter)의 작동으로 화약 열원을 연소시켜 내부 온도를 약 500℃로 유지함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킨다[1,2].
열전지 내부에 어떤 현상이 생기면 방전 실패로 연결되는가? 열전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활성화 신호에 의한 착화기(igniter)의 작동으로 화약 열원을 연소시켜 내부 온도를 약 500℃로 유지함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킨다[1,2]. 하지만, 그림 1(a)와 같이, 열전지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열원 중 일부가 점화되지 않으면 발동시간이 느려져 방전 실패로 연결된다. 또한, 점화되지 않은 열원이 방전 중에 점화되면 국부적으로 과도한 열에너지가 유입되어 양극의 분해 및 음극의 용융을 일으킨다.
양극 분해로 인해 생기는 열폭주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양극 분해는 황 가스를 배출하고, 이는 다시 음극과 반응하여 열폭주(thermal runaway)를 초래하며, 음극의 용융은 내부단락으로 인한 전지의 파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3,4].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열전지 내부열원의 동시 점화 및 착화 신뢰성 확보를 통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림 1(b)와 같이 열지(heat paper)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대의 열전지에서 열지는 열원을 점화시키는 도화선으로 열전지의 발동시간을 단축시켜 운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R. A. Guidotti and P. Masset, Journal of Power Sources, 161, 1443 (2006).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06.06.013] 

  2. H. W. Cheong, S. H. Kang, J. M. Kim, and S. B. Cho,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13, 198 (2012). 

  3. C. N. Im, J. M. Lee, S. H. Kang, and H. W. Cheong, J. Korean Inst. Electorn. Mater. Eng., 27, 528 (2014). 

  4. R. A. Guidotti, Sandia Report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California, 2006) p. 1-18. 

  5. J. R. Sweeney, I. McKirdy, R. Comrie, and I. Stewart, Aerospace Energetic Equipment Conference (Avignon, France, 2004). 

  6. V. Klasons and C. M. Lamb, Handbook of Batteries (New York, USA, 2002) p. 1-22. 

  7. H. W. Papenguth, D. E. Wesolowski, and S. K. Showalter, Proc. of 44th Power Sources Conference (2010) p. 521. 

  8. H. Ellern, Military and Civilian Pyrotechnics (Chemical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68) p. 274-289. 

  9. B. Berger, Chimia, 58, 363 (2004). [DOI: http://dx.doi.org/10.2533/000942904777677678] 

  10. B. Berger,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30, 27 (2005). [DOI: http://dx.doi.org/10.1002/prep.200400082] 

  11. T. Kuwahara, T. Kohno, and C. H. Wang, 38th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and Exhibit(AIAA) (Atlanta, USA, 2012) p. 1-6. 

  12. T. Kuwahara and C. Tohara,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27, 284 (2002). [DOI: http://dx.doi.org/10.1002/1521-4087(200211)27:5 3.0.CO;2-T] 

  13. T. Kuwahara, T. Kohno, and C. H. Wang,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29, 56 (2004). [DOI: http://dx.doi.org/10.1002/prep.2004000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