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전지용 FeS2 박막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FeS2 Thin Film Electrodes for Thermal Batterie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0 no.5, 2017년, pp.318 - 324  

임채남 (국방과학연구소 제4기술연구본부 4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wder compaction technology is widely used to prepare thermal battery components. This method, however, is limited by the size, thickness, and geometry of the battery components. This limitation leads to excessive cell capacity, overweight, and higher cost of the pellets, which decreases the spec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유기바인더를 사용하여 테이프캐스팅 방법으로 대면적의 FeS2 박막 양극을 제조하여 전극 두께 및 열처리 조건에 따른 물리적 특성, 미세구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대상 데이터

  • 그러나 FeS2 분말을 볼밀링하여 평균입자 사이즈 가 1 μm 이하가 되면 FeS2 분말의 열적 안정성이 저하되어 열전지 작동온도에서 열분해로 인하여 용량이 감소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8,9]. 따라서, 양극 활물질은 –325 mesh에서 입도분류 후 평균입자가 30.0 μm인 FeS2 (Linyi 사, 순도 99% 이상)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림 2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FeS2 입자크기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평균 입자크기가 30 μm임을 알 수 있다.

데이터처리

  • ) 반응까지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1]. 본 연구에서는 전류밀도에 따라 Z-phase의 폐회로 전압이 다르기 때문에 1.5 V (cut-off)를 기준으로 단위전지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비용량은 단위전지의 방전용량을 양극의 중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전지에 펠릿형 전극을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단점은 무엇인가? 25 mm 이하의 두께(그림 1)와 150 mm 이상의 직경은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 취급 가능한 기계적 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용량을 초과하여 두껍게 제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전지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비용이 상승되고, 열전지의 활성화 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3-5]. 
열전지의 구성과 구조는 어떠한가? 열전지는 분말성형법으로 제조된 펠릿형의 양극(FeS2), 전해질(LiCl-KCl 또는 LiF-LiCl-LiBr), 음극(LiSi 또는 LiAl) 및 열원(Fe/KClO4)으로 구성된 단위전지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열전지는 고온(500℃)에서 작동되므로 전해질의 이온전도도가 높고, 전기화학적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출력 특성이 우수하다.
열전지의 출력 특성은 어떠한가? 열전지는 분말성형법으로 제조된 펠릿형의 양극(FeS2), 전해질(LiCl-KCl 또는 LiF-LiCl-LiBr), 음극(LiSi 또는 LiAl) 및 열원(Fe/KClO4)으로 구성된 단위전지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열전지는 고온(500℃)에서 작동되므로 전해질의 이온전도도가 높고, 전기화학적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출력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온에서는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다가 열원의 점화에 의해서 전해질이 용융됨으로써 비로소 작동되기 때문에 자가방전이 거의 없고, 구조적 안정성, 신뢰성 및 장기 보관성이 우수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 S. Choi, H. R. Yu, and H. W. Cheong, J. Power Sources, 276, 102 (2015).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14.11.103] 

  2. R. A. Guidotti and P. Masset, J. Power Sources, 161, 1443 (2006).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06. 06.013] 

  3. D. E. Reisner, T. D. Xiao, H. Ye, J. Dai, R. A. Guidotti, and F. W. Reinhardt, J. New Mater. Electrochem. Syst., 2, 279 (1999). 

  4. A. G. Gevorkyan, R. Cohen, and O. Raz, Proc. 47th Power Sources Conference (Power Sources Conference, Orlando, USA, 2016) p. 90. 

  5. D. Harney, Proc. 44th Power Sources Conference (Power Sources Conference, Las vegas, USA, 2010) p. 669. 

  6. J. Reinig, Proc. 45th Power Sources Conference (Power Sources Conference, Las vegas, USA, 2012) p. 627. 

  7. T. Leviatan, S. Cohen, I. Eliel, G. E. Shter, A. Cohen, V. Beilin, and G. S. Grader, Proc. 45th Power Sources Conference (Power Sources Conference, Las vegas, USA, 2012) p. 635. 

  8. Y. S. Choi, H. R. Yu, H. W. Cheong, S. B. Cho, and Y. S. Lee, Appl. Chem. Eng., 25, 161 (2014). 

  9. J. P. Pemsler, R.K.F. Lam, J. K. Litchfield, S. Dallek, B. F. Larrick, and B. C. Beard, J. Electrochem. Soc., 137, 1 (1990). 

  10. P. Masset and R. A. Guidotti, J. Power Sources, 177, 509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07.11.017] 

  11. P. Masset and R. A. Guidotti, J. Power Soureces, 178, 456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powsour.2007. 11.073] 

  12. H. W. Cheong, S. H. Kang, J. M. Kim, and S. B. Cho, J. Ceramic Processing Research, 13, Special 2, 198 (2012). 

  13. S. Fujiwara, M. Inaba, and A. Tasaka, J. Power Sources, 196, 4012 (2011). [DOI: http//dx.doi.org/10.1016/j.jpowdour.2010.05.032] 

  14. D. Bernardi, E. M. Pawlikowski, and J. Newman, J. Electrochem. Soc., 135, 2922 (1987). 

  15. D. Bernardi and J. Nweman, J. Electrochem. Soc., 134, 1309 (1987). 

  16. Z. Tomczuk, B. Tani, N. C. Otto, M. F. Roche, and D. R. Vissers, J. Electrochem. Soc., 129, 925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