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포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낙엽송 톱밥의 열분해 특성
Effect of Operation Conditions on Pyrolysis of Larch Sawdust in a Bubbling Fluidized Bed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5, 2016년, pp.478 - 482  

유경선 (광운대학교 환경대학교) ,  엄민섭 (광운대학교 환경대학교) ,  이시훈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0.076 m 지름과 0.8 m 높이를 가지는 기포유동층 열분해로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풍부한 낙엽송 톱밥의 급속 열분해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유동층 열분해로의 운전 조건인 반응온도($350-550^{\circ}C$), 유동화 속도비($U_o/U_{mf} $: 2.0-6.0), 원료 주입 속도(2.2-7.0 g/min)에 따른 열분해 수율과 바이오 오일의 조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바이오 오일에 포함된 화학 성분들의 수는 반응 온도 증가에 따른 2차 열분해로 인하여 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유동화 속도비와 원료 주입 속도가 유동층 열분해에 미치는 영향은 반응 온도의 영향보다 작아 열분해 온도가 가장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bubbling fluidized bed pyrolyzer (0.076 m I.D. and 0.8 m high)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fast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larch sawdust which is abundant in Korea. The effects of operation conditions, such as bed temperature ($350-550^{\circ}C$), fluidization vel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fter weighing and collecting the product, the collection system was washed out with aceton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duct yield and composition in the variable process parameters. The process parameters in this study are: temperature, feeding rate, and Uo/Umf.
  • Therefore the effect of temperature, feed rate, bed height, and the Uo /Umf ratio on the compositions in bio-oil from pyrolysis was investigated using a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in a bubbling fluidized bed reactor in this study.

대상 데이터

  • A thermocouple was located beside reactor to measure the bed temperature. The fluid bed material was silicon carbide, of the Geldart B type. The connecting pipe between the reactor and the quencher was heated to 400 ℃ to avoid the condensation of tar vapo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 S. Heo, H. J. Park, J. I. Dong, S. H. Park, S. D. Kim, D. J. Suh, Y. W. Suh, S. S. Kim, and Y. K. Park, Fast pyrolysis of rice husk under different reaction conditions, J. Ind. Eng. Chem., 16, 27-31 (2010). 

  2. P. Kaushal and J. Abedi, A simplified model for biomass pyrolysis in a fluidized bed reactor, J. Ind. Eng. Chem., 16, 748-755 (2010). 

  3. T. A. Ngo, J. S. Kim, and S. S. Kim, Fast pyrolysis of palm kernel cake using a fluidized bed reactor: Design of experiment and characteristics of bio-oil, J. Ind. Eng. Chem., 19, 137-143 (2013). 

  4. A. V. Bridgwater and V. C. Peacocke, Fast pyrolysis processes for biomass, Renew. Sustain. Energy Rev., 4, 1-73 (2000). 

  5. S. H. Lee, M. S. Eom, K. S. Yoo, N. C. Kim, J. K. Jeon, Y. K. Park, B. H. Song, and S. H. Lee, The yields and composition of bio-oil produced from Quercus acutissima in a bubbling fluidized bed pyrolyzer, J. Anal. Appl. Pyrolysis, 83, 110-114 (2008). 

  6. D. K. Park, S. D. Kim, S. H. Lee, and J. G. Lee, Co-pyrolysis characteristics of sawdust and coal blend in TGA and a fixed bed reactor, Bioresour. Technol., 101, 6151-6156 (2010). 

  7. M. S. Eom, S. H. Lee, K. S. Yoo, Y. K. Park, J. G. Lee, J. H. Kim, and S. H. Lee, Production of bio oil by using larch sawdust in a bubbling fluidized bed reactor, Energy Sources A, 35, 1225-1232 (2013). 

  8. A. V. Bridgwater, D. Meier, and D. Radlein, An overview of fast pyrolysis of biomass, Organ. Geochem., 30, 1479-1493 (1999). 

  9. J. W. Kook and S. H. Lee, Analysis of biomass energy potential around major cities in South Korea, Appl. Chem. Eng., 159, 3-10 (2000). 

  10. S. H. Lee, J. G. Lee, J. H. Kim, and Y. C. Choi, The production of various chemicals by pyrolysis of sawdust and rice husks in a bubbling fluidized bed, J. Ind. Eng. Chem., 12, 39-43 (2006). 

  11. P. T. Williams and S. Besler,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heating rate on the slow pyrolysis of biomass, Renew. Energy, 7, 233-250 (1996). 

  12. Z. Luo, S. Wang, Y. Liao, J. Zhou, Y. Gu, and K. Cen, Research on biomass fast pyrolysis for liquid fuel, Biomass Bioenergy, 26, 455-462 (2004). 

  13. J. Piskorz, P. Majerski, D. Radlein, D. S. Scott, and A. V. Bridgwater, Fast pyrolysis of sweet sorghum and sweet sorghum bagasse, J. Anal. Appl. Pyrolysis, 46, 15-29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