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미곶과 구룡포지역 해안단구와 신기지구조운동
Marine Terraces and Quaternary Faults in the Homigot and the Guryongpo, SE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3, 2016년, pp.231 - 240  

최성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동해안의 호미곶과 구룡포 인근지역의 해안단구에는 3조의 제4기 단층이 인지 되며, 이중 2조는 4단구와 2단구의 평탄면을 자르고 있다. 호미곶 남쪽 하정리의 하정단층은 4단구를, 호미곶 구만리의 구만단층은 2단구를 자르고 있다. 하정단층은 역단층운동을 하였으며 주향과 경사는 하부에서 $N55^{\circ}W/45^{\circ}NE$, 상부에서 $N45^{\circ}W/40^{\circ}N$E로 수직 변위는 약 180 cm이다. 하정단층은 MIS 7~MIS 5c 동안 단층운동 시 형성된 4조 붕적퇴적층이 발달하고 있어, 4회의 단층 운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호미곶 구만리에 위치하고 있는 구만단층은 3조의 역단층이 관찰되며 단층의 주향과 경사는 $N80^{\circ}E{\sim}N70^{\circ}W/25^{\circ}-35^{\circ}SE{\sim}30^{\circ}SW$로 수직이동거리는 9 cm~18 cm이다. 구만단층은 부정합면 직상위의 최하위 퇴적층만 이동시켰으며, MIS 5a의 80 ka 이후, MIS 4의 71 ka 이전 기간 동안 1회 운동하였다. 이 하정단층과 구만단층의 자세를 고려해 볼 때, 남동해안에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기간동안 동북동-서남서 압축력과 남북 압축력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정리의 4단구 퇴적층과 구만리의 2단구 OSL연대 결과, 대보 지괴의 4단구는 MIS 7, 2단구는 MIS 5a임을 재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Quaternary faults have been revealed in marine terraces nearby the Homigot and the Gurongpo in the southeastern offshore of Korean Peninsula. The Hajung fault cuts the $4^{th}$ marine terraces and the Guman fault the $2^{nd}$, respectively. The Hajung fault strik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곳의 해안단구지형은 측방 연장 성이 매우 좋을 뿐만 아니라 단구 평탄면 위에 두꺼운 퇴적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미곶과 구룡포지역의 해안단구특성, 해안단구 형성시기, 해안단구를 자르고 있는 두 조의 단층 등을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해안단구도작성과 단구퇴적층의 연대 측정을 통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해안단구 형성시기를 재검증하였다.
  • 이번 연구는 남동해안 지역 중 대보지괴에 해당되는 호미곶 일대의 해안단구와 이를 자르고 있는 두 조의 단층을 기술하였다. 호미곶과 하정리에서 2단구와 4단구의 해안단구를 자르고 있는 단층이 발달하고 있다.
  • 평균해수면 0m을 기준으로 측정된 해안단구의 구정선 고도는 간빙기의 해수면을 지시함과 동시에 그시기 간빙기의 평균해수면과 대비할 수 있다. 즉, 연안에서 관찰되는 해안단구의 구정선 고도가 지반 융기율과 지구조 운동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단구란 무엇인가? 해안단구는 융기된 해안 혹은 융기된 해변으로 파식대지라고 부르며, 해수면 하에서 파도에 의해 형성된 지형이나 현재는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계단상 평탄면 지형이다. 해안을 따라 발달하고 있는 해안단구 평탄면은 바다를 향하여 약 1~5o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Ritter et al.
우리나라 동해안은 어떤 해안인가?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단구 지형을 발견하기 어려우나, 동해안은 융기해안으로 쉽게 해안단구 지형이 관찰된다. 동해안을 따라 해안단구는 구정선 고도가 다른 여러 조의 계단형 지형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특히 남동해안지역에서는 해안단구가 측방으로 연장·발달하고 있다(Kim, 1973; Oh, 1981; Choi et al.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제4기 단층들이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이 매우 잘 알려진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제4기 단층들이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은 매우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원자력발전소의 부지안전성과 관련하여 활성단층 연구가 처음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해안의 해안단구 제4기 단층으로는 원자력발전소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읍천단층(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ppell, J. and Shackleton, N. J., 1986, Oxygen isotopes and sea level, Nature, 324, 137-140. 

  2. Choi, P-y, Lee, C-B., Ryoo C.-R., Choi, Y.S., Kim, J.-Y., Hyun H-J., Kim, Y-., Kim, J-Y., and Chwae, U., 2002, Geometric Analysis of the Quaternary Malbang Fault: Interpretation of Borehole and Surface dat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163-174. 

  3. Choi, P.-y., 2005, Geometric Analysis of the Quaternary Eupchon Fault: an Interpretation of Trench Sectio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1, 129-140. 

  4. Choi, P-y., Lee, H-K., and Chwae, U., 2007, Tectonic 'aggression and retreat' in the Quaternary tectonics of south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415-425. 

  5. Choi, S-J., 2004, Marine Terrace of Daebo - Guryongpo - Gampo, SE Korea(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 245-253. 

  6. Choi, S-J., Merrits, D.J., and Ota, Y., 2008, Elevations and ages of marine terraces and late Quaternary rock uplift i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3, B10403, doi:10.1029/2007JB005260. 

  7. Choi, S.-J., Hong, D-G., Chwae, U., Song, Y. G., Kim, C. & Shim, T. 2010: Retrodeformation analysis of the Quaternary fault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17, 116-124. 

  8. Heo, S., Choi, J-H., and Hong, D-G., 2014, Revisiting the OSL Ages of marine Terrace Sediments at Suryum Fault site, Gyeongju, South Korea: Single Grain OSL Dating.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187-195. 

  9. Jun, M-S. and Jeon, J.S., 2010, Focal mechanism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igu-Mulli-wa-Mulli-Tamsa, 13, 198-202. 

  10. Kee,W-S., Hwang, J.H., Song, K-Y., and Kihm, Y-H., 2007,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reverse faulting on the Eupcheon Fault, SE Koro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311-333. 

  11. Kee, W.S., Kim, Y.H., Lee, H.J., Cho, D.R., Kim B.C., Song, K.Y., Ko, H.J., Lee, S. Yeon, Y.K., Hwang, S.H., Park, K.K., and Sung, N.H., 2009, Quaternary fault survey of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Construction of DB. IP2006-047-2009(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327 pp. 

  12. Kim, S.W., 1973, A study of the terrace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Bangeojin-Pohang)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9, 89-121. 

  13. Lee, B.J., Ryoo, C.R., and Chwae, U., 1999, Quaternary faults in the Yangnam area, Kyongju,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5, 1-14. 

  14. Lisiecki, L.E. and Raymo, M.E., 2005, A Pliocene-Pleistocene stack of 57 globally distributed benthic $\delta$ 18O records. Paleoceanography 20, PA1003, doi:10.1029/2004PA001071. 

  15. McCalpin (ed.), 2009, Paleoseismology 2nd edition. International Geophysics Series vol. 95, Elsevier, 613 p. 

  16. Oh, G.H., 1981, Marine terraces and their tectonic deformation on the coast of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lletin of the Department of Geography, 13, 61 p. 

  17. Park, Y., Ree, J-H., and Yoo, S-H., 2006, Fault slip analysis of Quaternary faults in southeastern Korea. Gondwana Research, 9, 118-125. 

  18. Ritter, D.F., Kochel, R.C., and Miller, J.R., 2002, Process Geomorphology. 4th ed. McGraw Hill, 560 p. 

  19. Rohling, E.J., Grant, K., Hemleben, Ch., Siddall, M., Hoogakker, B.A.A., Bolshaw, M., and Kucera, M., 2007, High rates of sea-level rise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Nature Geoscience,1, 38-42. 

  20. Ryoo, C.R., Lee, B.J., and Chwae, U., 2000, Quaternary fault and its remote sensing image in the southeastern Korea. CCOP Technical Bulletin, 29, 5-28. 

  21. Shim, T.M., 2006, Paleomagnetic Studies on the Coastal Terrace Deposits along the Youngil Bay,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115 p. 

  22. Yoon, S-O. and Hwang, S-I., 2000, Mechanism of the marine terraces formation on the southeastern coas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5, 17-38. 

  23. Wikipedia, 2016, https://en.wikipedia.org/wiki/Raised_beach (July 10,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