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내용지식과 교수방법 측면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The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to Suffer in the Science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0 no.2, 2016년, pp.116 - 130  

지승민 (인천소래초등학교) ,  박재근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교육 경력 5년 이내의 초임교사들이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과학내용지식과 과학교수방법 측면에서 조사하여 이들의 초기 적응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직 경력 1-3년의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 3명이며, 이들의 실제 수업과 수업 자료,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과학적 오류나 오개념 파지, 과학적 지식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 결여, 그리고 학습 대상에 대한 부정적 개념 소유 등이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교과내용 재구성의 어려움, 폐쇄적 발문 구사, 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인도와 설명, 불완전한 비유의 사용, 그리고 실험에 대한 이해와 지도방법 부족 등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의 현장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대 교육과정에서 실험 비중이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콘텐츠 중심의 다양한 교육연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of science classes experienced by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ir effective adaptation. We recorded science lessons conduct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2005). 그러나 초임교사들은 과학수업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점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장치나 배려 없이 교직에 입문하는 순간부터 경력교사들과 똑같이 수업할 것을 요구받는다.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확신과 경험이 부족한 교사가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은? 이러한 현실은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으며,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확신과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신임교사의 경우에는 수업을 할 때 더욱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교사가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불확실하고 애매모호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이를 배운 학생 또한 오개념을 가질 수 있으며, 학생들이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교사가 인지하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다(Lee & Lim, 1997).
임용되기 전까지 학습해 온 이상과 교실 현장에서 실제 적용하는 수업 기술 사이의 차이가 가져오는 악영향은? 또한 바쁜 학교 일상 속에서 자신이 실행한 수업에 대해 진지하게 숙고해 보거나,동료교사 및 외부 전문가로부터 비형식적인 피드백을 받을 기회조차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들은 임용되기 전까지 학습해 온 이상과 교실 현장에서 실제 적용하는 수업 기술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게 되면서 당혹감을 느끼고,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자신감을 잃고 무력감에 빠질 수도 있다(Park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ppleton, K., & Kint, I. (1999). How do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cope with scienc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Boston, MA. 

  2. Bybee, R. W. (1993). Reforming science education.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3. Cho, H., & Ko, Y. (2008).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618-632. 

  4. Cho, Y., & Woo, J. (1998). An analysis of teacher's questioning behavior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s -Focusing on children’s thinking 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7, 51-69. 

  5. Choi, C., Cho, M., & Yeo, S. (2012). Analysis on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and teaching practic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1), 57-70. 

  6. Choi, K., Park, J., Choi, B., Nam, J., Choi, G., & Lee, K. (2004).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039-1048. 

  7. Choi, S., Lee E., & Kang, H. (2006). The effects of the visual-analogical learning on student creativity and science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2), 167-176. 

  8. Choo, K. (2014). Narrative inquiry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8(2), 70-97. 

  9. Choo, K., & Sin, J. (2015).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types of restructuring. Teacher Education Research, 54(1), 120-137. 

  10. Czerniak, C., & Shriver, M. (1994). An examina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eliefs and behaviors as related to self-efficac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s, 5(3), 77-86. 

  11. Fosnot, C. T. (1988). Enquiring teachers, enquiring learners: A constructivist approach for teaching. New York, NY: University Teacher College. 

  12. Han, J. Y. (2010). Co-teaching with in-service teacher: teacher education method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 Teacher Education Research, 49(3), 241-255. 

  13. Huberman, M. (1989).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91(1), 31-57. 

  14. Jenkins, E. (1998). The schooling of laboratory science.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London: Routledge. 

  15. Jeon, H., Yu, M., Hong, H., & Park, E. (2009). Study on teaching anxiety and effor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1), 68-78. 

  16. Kim, E. (1987). Cognitive psychology: Theory and application. Seoul, Korea: Jeongmin-sa. 

  17. Kim, J., Oh, W., & Park, S. (1999). Grade 7th pupils’ ideas about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variables in inquiry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4), 674-683. 

  18. Kwak, Y. (2011).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4), 422-434. 

  19. Kwak, Y., & Kim J. (2003).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2), 144-154. 

  20. Kwon, H., & Noh, T. (1999). A study on science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using analog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4), 665-673. 

  21. Lee, S., Jhun, Y., Hong, J., Shin, Y., Choi, J., & Lee, I. (2007).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97-107. 

  22. Lee, S., & Lim, C. (199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basic science concep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6(2), 325-339. 

  23.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Re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24. Park, E., Lee, E, Lee H., Lim, S., & Cho, U. (1998).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duction program for the first-year teacher.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5(1), 220-239. 

  25. Park, J. (2011). A case study on elementary science classes from the viewpoint of good teaching -Focused on teaching case in the field of life. Biology Education, 39(2), 277-287. 

  26. Park, J., & Noh, S. (2011). Application of instruction consulting to improv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inquiry-based clas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2), 152-161. 

  27. Park, M., Ahn, H., & Nam, M. (2005).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mathematics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8(2), 291-314. 

  28. Park, S., & Oliver, J.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29. Mewborn, D. S. (1999). Reflective thinking among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0(3), 316-341. 

  3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09). School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9-41. Seoul, Korea: Author. 

  31. Nam, Y., & Kim, H. (2012). An analysis of newly-appointed elementary teacher’s anxiety state in science class. Journal of Research in Elementary Curriculum Instruction, 15, 1-17. 

  32. Noh, T., Kim, Y., Yang, C., & Kang, H. (2011).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8), 1214-1228. 

  33. Shin, H., & Kim, H. (2010).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difficulties on open science 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262-276. 

  34.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4), 4-14. 

  35. Stanbury, K., & Zimmerman, J. (2000). Lifelines to the classroom: Designing support for beginning teachers.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Improving Science Teacher. 

  36. Stigler, J.,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New York, NY: The Free Press. 

  37.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38. Willen, W. W. (1991). Questioning skill for teacher.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39. Yoon, H. (200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science less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1), 74-84. 

  40. Yu, E., Ko, Y., Lee, S., & Kim, C. (2006).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science teaching.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3(2), 101-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