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행 및 어려움에 대한 인식 탐색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and Challenge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2, 2020년, pp.133 - 144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  백종민 (서울공릉중학교) ,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장 적용 2년차를 맞이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모니터링 연구의 일부분으로, 중학교 1, 2학년 수업을 담당하는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 적용 실태와 어려움 및 효과성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교육 선도학교와 일반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선도학교 교사 44명(41.9%), 일반학교 교사 61명(58.1%)을 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전국으로부터 105명의 과학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 후 교사 초점집단을 구성하는 16명의 중학교 과학교사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적용 실태와 어려움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사의 평가 방식 변화, 과정중심평가 현장 적용의 어려움, 과정중심평가의 효과에 대한 인식으로 제시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에서 과정중심평가를 강조함에 따라 본인의 수업에서도 과정중심평가의 요소들을 반영하게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가방법에 비해 다양한 과정중심평가를 활용하는 빈도도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응답은 선도학교 교사들이 일반학교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면담결과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 적용의 어려움으로 과정중심평가 개념의 모호성, 과정중심평가와 순위를 정해야 하는 학교평가체제와의 충돌,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도의 확보의 부담감, 개개인을 평가해야 하는 현실적인 업무 부담 등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과정중심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part of the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this study focuses more on examining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rocess-based assessment (PBA). A total of 105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44 tea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 사회는 무엇으로 대표되는가? 과학기술의 발달 및 지능정보화 시대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 교수·학습, 그리고 평가에 있어서 획기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1997년 착수된 OECD의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프로젝트 이후 세계 각국은 해당 국가의 교육과정 체제맥락에서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역량중심 교육과정 체계로 개편하였으며(OECD, 2005), 학교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함양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는데 특히 과학교과는 무엇을 명시했는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교과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과학’교과는 “모든 학생이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교과”(MOE, 2015, p. 3)로 명시하고 있으며, 과학교과에서 길러야 할 핵심역량으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을 명시하고 있다(MOE, 2015).
1997년 착수된 OECD의 DeSeCo 프로젝트 이후 세계 각국은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편했는가? 과학기술의 발달 및 지능정보화 시대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 교수·학습, 그리고 평가에 있어서 획기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1997년 착수된 OECD의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프로젝트 이후 세계 각국은 해당 국가의 교육과정 체제맥락에서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역량중심 교육과정 체계로 개편하였으며(OECD, 2005), 학교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함양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교과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n, J., Kim, S., Park, C., & Kim, H. (2018). Teachers' perceptions on the teacher by teacher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polic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3), 105-130. 

  2. Jeon, H., & Lee, H. (2019). An ethnographic study on how to conduct process-based evalu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8), 123-154. 

  3. Jin, K., Nam, M., Kim, H., Park, J., Kim, S., & Sim, J. (2018). Investigation of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middle & high school): Focused on the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Jincheon: KICE. 

  4. Kang, H., Ko, E., Lee, D., Lee, H., Tak, B., Cho, J., & Kim, S. (2018). A stud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s ab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8(3), 321-343. 

  5. Kang, H., Lee, S-Y., Kim, H., Lee, S., Kwak, Y., & Shin, Y. (2019). The effects of national science leading school program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ffecting P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2), 279-293. 

  6. Kim, H., & Na, J. (2017).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03-112. 

  7. Kim, J. (2018). The concept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0), 839-859. 

  8. Kim, S. (2019). Effects of needed conditions, concerns, and expected changes in introducing the teacher by teacher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policy on teacher's opin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32(1), 257-278. 

  9. Kim, Y., Lee, K., & Hong, H. (2019). A case study on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T-PEC): Focused on the case of a middle-school/a high-school science teach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6), 695-706. 

  10. Ko, H. (2019). The study on the perception, actual condition, and support strategies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9), 1137-1164. 

  11. Kwak, Y., Lee, S., Kang, H., Shin, Y., & Lee, S. (2019). Qualitative inquiry of features of science education leading school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8(3), 317-330. 

  12. Lee, J., & So, K. (2017).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8(2), 141-165. 

  13.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4. Ministry of Education [MOE],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2017). Performanc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rocess: What should I do?. Sejong: MOE. 

  1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General introduc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Notice No. 2015-74). Sejong: Author. 

  16.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Notice No. 2015-74). Sejong: Author. 

  17. Organization for Economic and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Available at: http://www.oecd.org/dataoecd/47/61/35070367.pdf. 

  18. Park, C. (2017). A meaning of assessment in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30(3), 397-413. 

  19. Park, H., Sim, J., Choi, H., Lim, H., Park, J., An, H., & Yang, S. (2019). Study on the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eoul: KOFAC. 

  20. Shim, J., Shin, M., & Lee, S. (2010).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1), 140-156. 

  21. Shin, H., Ahn, S., & Kim, Y.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Focus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5-162. 

  22. Shin, Y., Kwak, Y., Kim, H., Lee, S.-Y., Lee, S., & Kang, H. (2017).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2), 335-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