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odification of Derivative Task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3, 2016년, pp.711 - 731  

김하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경화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예비교사가 교과서의 수학 과제(Mathematical task)를 어떻게 변형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어떤 학습 기회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의 미분계수 단원에서 과제를 선정하고 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제 변형 활동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제는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들이 미분계수의 개념적 이해를 추구하는 가운데 나타났다. 둘째, 과제 변형 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학생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협업과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odify mathematical tasks from a textbook and learning opportunities they have during the task modification.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tasks was selected from derivative units in a textbook and five p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를 교과서의 수학 과제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Stein & Smith(1998)의 수학 과제 분석 가이드 (Mathematics Task Analysis Guide)에 따라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수학 과제를 분석한 연구(김미희ㆍ김구연, 2013)에 의하면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야기한다. 교과서에 포함된 대부분의 수학 과제가 낮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하여 학생의 개념적 이해를 제한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주장은 2007,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 진행된 과제 관련 연구들에서 일관되게 나타난다 (김대영⋅김구연, 2014; 김정은⋅이수진⋅김지수, 2015).
수학 과제가 수학 학습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인 이유는? 과제는 학생이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얻게 되는 성과, 과제 해결을 위해 사용하는 개념, 조작 활동, 자료를 결정한다 (Doyle, 1983). 즉, 수학 과제는 학생이 무엇을 학습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학 학습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서 간주될 수 있다. 수학 과제 자체가 수학 학습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교사가 과제를 선택하고 과제를 교실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방식 또한 학생의 수학 학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Steinbring, 1998).
교사의 과제 변형 능력이 강조되는 원인에 어떤 것이 있는가? 최근 교사의 과제 변형 능력이 강조되는 데에는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에 포함된 대부분의 과제가 낮은 인지적 수준이라는 사실에 부분적으로 원인이 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지침에 맞게 교육활동을 체계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핵심적인 자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현영?고은성?김태순?조완영?이경화?이동환(2011).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학교수학, 13(4), 633-649.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4. 김대영?김구연(2014). 중등 수학교사의 교과서 수학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 학교수학, 16(3), 445-469. 

  5. 김미희?김구연(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6. 김민혁(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7. 김성희?방정숙(2005).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 초등학교 '비와 비율'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3), 251-272. 

  8. 김정은?이수진?김지수(2015). 중등 수학교사의 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 : 인지적 노력 수준 중심으로. 학교수학, 17(4), 633-652. 

  9. 방정숙(2007). 수학 과제 분석을 통한 예비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학교육, 46(4), 465-482. 

  10. 신항균?이광연?박세원?신범영?이계세?김정화?박문환?윤정호?박상의?서원호?전제동?이동흔(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지학사. 

  11. 우정호?정영옥?박경미?이경화?김남희?나귀수?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12. 이현주?류중현?조완영(2015).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이해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9(1), 131-155. 

  13. 이혜림?김구연(2013).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변형 능력. 수학교육학연구, 23(3), 353-371. 

  14. 임재훈?박교식(2004). 학교 수학에서 접선 개념 교수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2), 171-185. 

  15. 정연준(2010). 미분계수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12(2), 239-257. 

  16. 조완영(2006). 고등학교 미적분에서의 수학화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8(4), 417-439. 

  17. Arbaugh, F., & Brown, C. A. (2005). Analyzing mathematical tasks: a catalyst for chang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8(6), 499-536. 

  18. Aspinwall, L., & Miller, L. D. (2001). Diagnosing conflict factors in calculus through students' writings: One teacher's reflection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0(1), 89-107. 

  19. Boston, M. D., & Smith, M. S. (2011). A 'task-centric approach'to professional development: Enhancing and sustaining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implement cognitively challenging mathematical tasks. ZDM, 43(6-7), 965-977. 

  20. Clarke, D., & Roche, A. (2010). Teachers' Extent of the Use of Particular Task Types in Mathematics and Choices behind That Us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21. Crespo, S. (2003). Learning to pose mathematical problems: Exploring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ractic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2(3), 243-270. 

  22. Doyle, W. (1983). Academic wor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2), 159-199. 

  23. Krainer, K. (1993). Powerful tasks: A contribution to a high level of acting and reflecting in mathematics instru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4(1), 65-93. 

  24. Lee, K., Lee, E., & Park, M. (2013). Task modific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by Korea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Task design in mathematics education: Proceedings of ICMI Study, 22. 

  25. Prestage, S., & Perks, P. (2007). Developing teacher knowledge using a tool for creating tasks for the classroom.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4-6), 381-390. 

  26.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2), 455-488. 

  27.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28. Steinbring, H. (1998). Elements of epistemological knowledge for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2), 157-189. 

  29. Sullivan, P., Clarke, D., & Clarke, B. (2009). Converting mathematics tasks to learning opportunities: An important aspect of knowledge for mathematics teaching.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1(1), 85-105. 

  30. Swan, M. (2007). The impact of task-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s' practices and beliefs: A design research study.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4-6), 217-237. 

  31. Tall, D. (1987). Constructing the concept image of a tangent. Proceedings of PME 11, Montreal, 3, 69-75. 

  32. Watson, A. & Mason, J. (2005). 색다른 학교수학. (이경화 역). 서울: 경문사. 

  33. Yeo, J. B. W. (2007). Mathematical tasks: Clarification, classification and choice of suitable tasks for different types of learning and assessment (Tech. Rep. ME2007-01).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34. Yin, R. K. (201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35. Zaslavsky, O. (1995). Open-ended tasks as a trigger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5(3), 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