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수요조사 연구
A Study on Students' Need for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7 no.3, 2016년, pp.187 - 211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혜인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수요조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을 개발하여, 이를 기반으로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중학생들이 자유학기제를 통해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능력요소는 진로탐색능력이며, 중점적으로 운영된 자유학기제 유형은 진로탐색활동이다. 수업방식은 주로 체험중심 수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자유학기제 동안 참여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진로탐색 영역에서는 현장 체험 활동을, 학생선택 프로그램에서는 요리실습을, 동아리활동에서는 스마트폰 앱 개발, 예술영역에서는 디자인 활동을, 체육영역에서는 배드민턴을, 정보활용능력에서는 아이패드 사용하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도서관 프로그램 중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생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해야 할 것이며, 도서관이 제공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seventh and the eighth graders' percep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fered by libraries by developing a survey questionnaire on students' needs for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Libraries. The skill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o improve in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를 통해서 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파악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수혜대상인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자유학기제에 대한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사례조사를 통해 도출한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질문 외에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생들의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성별, 학년, 권역별 인식차이도 조사하였으나 연구질문에서는 포괄적인 접근을 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논의부분에서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를 통해서 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파악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수혜대상인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자유학기제에 대한 도서관 측면에서의 자유학기제 관련 대응 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수요조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된 문헌과 사례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권역별로 약 40개의 학교에 설문을 배포하고 중학교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관련하여 도서관에서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이 자유학기제 시행과 연계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또한 자유학기제의 도입 타당성에 대한 연구로 이지연(2013)은 학생들의 인성개발, 창의적 교수학습 실천, 그리고 진로탐색의 각기 다른 3영역으로 분산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진로탐색이 자유학기제 구심체로서 운영될 경우 인성개발과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김진숙(2013)은 아일랜드 Transition Year(TY) 교육과정에 대한 탐구연구를 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아일랜드 TY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고, TY 교육과정의 특성에서 도출되는 쟁점을 중심으로 자유학기제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학기제의 목적은 무엇인가? 자유학기제란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행복한 학교생활 속에서 스스로 꿈과 끼를 찾고 창의성, 인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학생들의 진로 설계를 위해 한 학기동안 탄력성 있고 유동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자유학기제 학교 및 학생들을 위한 도서관 프로그램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도서관에서도 자유학기제 학교 및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립세종도서관에서는 청소년사서직업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고, 정독도서관에서는 자유학기제 맞춤형 프로그램과 청소년관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부평도서관에서는 자유학기제 적성탐색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 외 당진도서관의 자유학기제 지원 직업체험 프로그램, 진해도서관의 동부도서관 체험학습 프로그램, 성남도서관의 도서관에서 내 꿈 찾기 프로그램 등을 통해 많은 도서관에서 자유학기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유학기제의 도입 배경은 무엇인가? 이러한 자유학기제를 도입하게 된 배경으로는 세계에서 유례없이 짧은 기간에 공교육 체제를 완성함으로써 경제성장과 높은 학업성취 수준에 기여하였지만, 주입식, 암기식,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학생들의 학업 흥미도 및 행복지수는 낮은 것이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읽기 능력과 수학은 전 세계 1위이고, 과학은 3위인 반면 학업 흥미도는 전 세계 평균의 30%에도 못 미치고 행복지수도 114%인 스페인에 비해 우리나라 학생은 66%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류정섭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미진, 이재창, 임재일, 홍후조. 2014.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교육과정연구, 32(2): 215-241.(Kim, Mi-Jin & Lee, Jae-Chang & Lim, Jae-Ill & Hong, Hoo-Jo. 2014. "An analysis of school reports on Free Learning Semester: Focusing o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2): 215-241.) 

  2. 김수환. 2015. 2014 자유학기제 수학체험프로그램 운영. [공공저작물 연계] 한국과학창의재단 발간자료, 1-62.(Kim, Su Hwan. 2015. 2014 Management of Free Semester School Excursion Programs. Korea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1-62.) 

  3. 김종운, 이태곤. 2014.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339-349.(Kim, Jong-Un & Lee, Tae Gon. 2014.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339-349.) 

  4. 김진숙. 2013. 아일랜드 Transition Year 교육과정 탐구. 교육과정연구, 31(4): 165-193.(Kim, Jin-Sook. 2013. "A study of transition year curriculum in Ireland."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1(4): 165-193.) 

  5. 김은정. 2013. [발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과 자유학기제의 활용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67-90.(Kim, Eun Jeong. 2013. [Publication] The Practical Using Pla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s Free Semester system and Carrer Educat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Proceedings, 67-90.) 

  6. 남미숙. 2013. 자유학기제 운영모델 탐색.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53-70.(Nam, Mi-Sook. 2013. A Study of Operation Model for Free Semester.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rer Education Proceedings, 53-70.) 

  7. 류정섭. 2013. 자유학기제란 무엇인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9-19.(Ryu, Jeong Sub. 2013. "What is Free Semester?."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rer Education Proceedings, 9-19.) 

  8. 성은모, 정효정. 2013.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방안. 진로교육연구, 26(4): 49-63.(Sung, Eunmo & Jung, Hyojung. 2013. "Community's Participating Strategies for Facilitating Experience-based Youth Career Education." Journal of Carrer Education Research, 26(4): 49-63.) 

  9. 신철균. 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Shin, Chol-Kyun. 2014. Settlement Measures for Middle School Free-Semester Program in Korea.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0. 이은영, 손주영, 김예슬, 조재순. (2014.5).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가정교과 관련 운영 실태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157-158.(Lee, Eun-Young & Son, Joo-Young & Kim, Yea-Seul & Cho, Jae-Soon. 2014. "Home Economics related Programs from the Pilot Schools implement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Proceedings, 157-158) 

  11. 이지연. (2013a). [발표]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23-51.(Lee, Ji-Yeon. (2013a). [Publication] Developing Strategies for a Free Semeste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Proceedings, 23-51.) 

  12. 이지연. (2013b). 進路중심 자유학기제 도입의 타당성과 향후 과제. 진로교육연구, 26(3): 1-22.(Lee, Ji-Yeon. (2013b). The Validity of Carrer Oriented In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Carrer Education Research, 26(3): 1-22.) 

  13. 임지연, 김정주, 김정숙, 이선영. 2014. 자유학기제를 통한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Lim, Ji-yeon et al. 2014. "Encouraging youth activities through Free Semester System : Focusing on activities of school-local community cooperation."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4. 표혜영. 2013. [사례발표] 2013 교육부 지정 자유학기제 정책추진학교 운영사례: 행복학교로 가는 징검다리, 자유학기제.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131-154. 

  15. 한국교육개발원. 2013. 자유학기제 실행 방안. 서울: 동연구원, 2013-01-1.(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3. Implementation Plans for Free Semester. Research Report No. PP2013-01-1.) 

  16. 한국교육개발원. 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서울: 동연구원, RR2014-17.(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A Study on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s. Research Report No. RR2014-17.) 

  17. 한국교육개발원. 2014.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 보고서. 서울: 동연구원, CR2014-19.(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2013 Synthesis Report on A Case Study of Free Semester Pilot Schools. Research Report No. CR2014-19.) 

  18. 한국고용정보원. 2008. 초중고 직업진로지도 실태조사. 음성: 동연구원.(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8. Survey on Vocational Career Education in Elemantary.Midlle.High Schools.) 

  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자유학기제를 통한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R04.(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4. Encouraging youth activities through Free Semester System: Focusing on activities of school-local community cooperation. Research Report No. 14-R04) 

  20. 현연숙. 2013. [사례발표]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과 연계한 자유학기제 운영 사례.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155-185.(Hyun, Yeon-Sook. 2013.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SCEP) of Free Learning Semester.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rer Education Proceedings, 155-185.) 

  21. 홍후조, 임유나, 장소영. 2013.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9(2): 33-68.(Hong, Hoo-Jo & Lim, Yoo-Na & Jang, So-Young. 2013. "An Inquiry on the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of Stakeholders." Korea Educational Reiview, 19(2): 33-68.) 

  22. 황규호. 2013.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제 1 차 자유학기제 포럼 발표자료, 1-28.(Hwang, Kyu-Ho.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Plans of Curriculum for Free Learning Semester.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st Free Learning Semester Forum Proceedings, 1-28.) 

  23. John Taylor Gatto(2005). 김기협 역. 바보만들기. 서울: 민들레 

  24. 교육부. 2013.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