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도서관의 대응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Counterplan of Library to Free Learning Semester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4, 2017년, pp.49 - 76  

권은경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유학기제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과 진로교육 강화로 교육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의 이용,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 현황과 개선 방안, 그리고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학교도서관은 핵심역량 함양에 효과적인 교육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활용도는 매우 낮으며, 공공도서관의 학교 지원 프로그램은 외부 특강과 탐방에 치우쳐 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기에 미흡하다. 교육계가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의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교수, 학생을 연계하여 직업체험, 진로교육, 그리고 역량 함양을 아우르는 입체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공공도서관의 주도적 역할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ee learning semester aims to foster key competencies in junior high students via reinforcing student participation and career edu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grams of school and public libraries, as well as the roles that university libraries and LIS could play in the changing education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학기제는 어떤 제도인가?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한 학기 동안 시험을 없애고 오전에는 기본교과 수업을 하고 오후에는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도록 학교가 자율적으로 시간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체험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꿈과 끼를 살린 행복한 수업만이 아니라 프로젝트 수업, 협동수업, 토론수업 등 학생이 참여하는 수업과 진로를 탐색하고 체험하는 활동을 통해 창의성, 인성, 자기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기르는 것 또한 자유학기제를 추진하는 중요한 목표이다.
자유학기의 평가 방법은 어떠한가? 수업 방법은 학생의 참여 활동이 교육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교과별 특성에 맞게 토의 토론, 실험 실습, 조사, 프로젝트, 탐구, 협동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하며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교과 간 연계, 융합, 통합 수업을 장려하고 이를 위해 블록타임을 활용하여 교육 학습 활동에 필요한 시간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평가 방법에서는 기존의 지필 평가 양적 평가를 벗어나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및 서술형 평가를 강화하여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을 포함하는 다면적 평가 방법을 지향하는 것이다.
자유학기제의 목적은 무엇인가? 자유학기제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과 진로교육 강화로 교육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의 이용,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 현황과 개선 방안, 그리고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oi, Sang-Duk. 2014a. 2013 Synthesis Report on Case Study of Free Semester Research School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 Choi, Sang-Duk. 2014b. 2013 Report on Case Studies of Free Semester Research School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 Choi, Sang-Duk. 2014c. Synthesis Report on Case Study of Free Semester Research Schools of 1st Semester 2014.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4. Choi, Sang-Duk. 2016a. 2015 Synthesis Report on Case Study of Free Semester Research School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5. Choi, Sang-Duk. 2016b. A Survey Result on Operational Satisfaction of Free Semester of 2nd Semester 201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6. Choi, Yong Hoon. 2016. "The Case of Managing Book-Trailers as a Club Activity of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Digial Library, 82:62-85. 

  7. Hwang, Eun-Hui. 2015. "Library and Free Learning Semester." Library Culture, 56(5): 30-33. 

  8. Hwang, Gum-Sook. 2015. A Study on Developing Reading Culture Program in Public Library for Free-Semester. Seoul: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9. Hwang, Gum-Sook and Kim, Soo Kyoung. 2016. "A Study on Developing Model of Reading Culture Program in Public Library for Free-Semester."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3): 99-128. 

  10. Hyun, Eun Ryung. 2015. "The Development of a Creativ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a Free Semester Operation Media-Convergence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15(2): 509-518. 

  11. Jeong, Kwangsoon. 2013. "Free Semester Policy and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School." Journal of Learner-Center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6): 399-421. 

  12. Kang, Bong Sook. 2013. STP Strategy on School library service by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3. Kim, Jin Kyung. 2016. "Programs of Bupyung Public Library for Free Semester." SADOHOEJI: Journal of Incheon Metropolitan Public Library Club, 20: 42-49. 

  14. Kim, Jung Sook. 2016. "A Case Study on the Programs for Free Semester." SADOHOEJI: Journal of Incheon Metropolitan Public Library Club, 20: 21-38. 

  15. Kwon, Eun-Kyung.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through an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of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4): 139-164. 

  16. Lee, Kyeong-Hwa and Song, Gi-Ho.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based on Integrated Tasks to Support the Free Semeste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4): 85-104. 

  17. Lee, Seung Soon. 2015. "School and Free Semester Activities." SADOHOEJI: Journal of Incheon Metropolitan Public Library Club, 19: 14-16. 

  18. Lim, jong heon. 2016.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peration Process of Free Semester Program. Korean Jou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4(4): 99-128. 

  19.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2016a. Operation Manual for Libraries'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Writing with Books in Library. Seoul: NLCY. 

  20.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2016b. Operation Manual for Libraries'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Library Treasure Box(Friends). Seoul: NLCY. 

  21.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2016c. Operation Manual for Libraries'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Library Treasure Box(Imagination). Seoul: NLCY. 

  22. Noh, Young hee and Kim, Hyein. 2016a. A Study on Students' Need for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187-211. 

  23. Noh, Young Hee and Kim, Hye In. 2016b.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Libraries' Role by Using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93-122. 

  24. Paik, Nam Jin and Ohn, Jung Duk. 2016. Understanding and Designing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oul: Education Academy. 

  25. Park, Ji Sun. 2015. "Free Semester and the Role of Public Library." SADOHOEJI: Journal of Incheon Metropolitan Public Library Club, 19: 17-40. 

  26. Park, Min-Jeong. 2009.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and its critical issu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7(4): 71-94. 

  27. Shin, Chol-Kyun. 2014. Settlement Measures for Middle School Free-Semester Program in Korea.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8. Shin, Chol-Kyun. 2015.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Free Semester and the Role of Public Library." SADOHOEJI: Journal of Incheon Metropolitan Public Library Club, 19: 8-13. 

  29. Shin, Chol-Kyun and Park, Min-Jeong. "The Case Study of Three Schools with Free Semester Polic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1): 309-338. 

  30. Shin, Chol-Kyun, Hwang, Eun-Hui and Kim, Eun-Young. 2015. "An Analytical Study on the Operation and Actual State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3): 27-55. 

  31. Song, Gi-Ho.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and Manual to Support the Free Semester System. Seoul: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32. Yang, So-Ra. 2010. Meta-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excellence of students through library-assisted instruction.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33. Yi, JaeHee. 2016. "Analysis of Public Library Programs about Adolescent Career Searc h-Mainly the Case of Busheoncity Wonmi Public Library-." Digital Library, 82: 86-105. 

  34. Yoo, Myung-hee.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Secondary Students through Free Learning Semester." YOUTH FACILITY A ND ENVIRONMENT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5(1): 129-140. 

  35.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ition. [cited 2017. 8. 10]. 

  36. CISCO. Assessment & Teaching of 21st Centry Skills. [cit ed 2017. 10. 3]. 

  37.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cited 2017.10.3.]. 

  38. 교육부. 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인용 2017. 9. 10]. 

  39. 교육부. 2014. 교육부-대교협, 전문대교협 MOU체결 (2014. 12. 12. 보도자료) [인 용 2017. 10. 8]. 

  40. 교육부. 201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인용 2017. 9. 10]. 

  41. 교육부. 2017. 내년부터 희망하는 학교에서 자유학년제를 시작한다 (2017. 9. 12. 보도자료) [인용 2017. 10. 8]. 

  42. 교육부 자유학기제 홈페이지. 2016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 [인용 2017. 8. 5]. 

  43. 서울특별시교육청. 2015. 2016 서울형자유학기제 운영 계획. [인용 2017. 10. 8]. 

  44. 서울특별시교육청, 2016. 2017 서울형자유학기제 운영 계획. [인용 2017. 10. 8]. 

  45. 한국도서관협회. 2015. 2015년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운영 사업 자유학기제 특별프로그램 모집 공고(2015. 6). [인용 2017. 8. 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