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 직접투자(In-bound FDI)가 국내 기업 혁신에 미치는 영향: 조직 학습 관점의 매개효과를 기반으로
Does in-bound FDI Increase Firm Innovation? An Organizational Learning Perspective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1 no.4, 2016년, pp.79 - 89  

김주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남대일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정지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FDI 비율과 국내 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 학습 관점을 기반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FDI 비율과 혁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기업 혁신에 대한 분류가 모호하였기 때문에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으로 나누어서 FDI 비율과 혁신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이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FDI 비율이 국내 기업의 제품 공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들의 관계를 조직 혁신이 어떻게 매개하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TEPI에서 제공하고 있는 2010년 2012년 제조업 분야의 기업 데이터와 산업자원통상부의 FDI 데이터, 그리고 NICE 신용평가원(Kis Value)의 기업재무자료를 결합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FDI 비율은 국내 기업의 제품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DI 비율과 제품 혁신 간의 관계에 대하여 조직 혁신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DI has been considered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by bring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to domestic firms via organizational learning. Acquiring knowledge and technology by learning accelerates firms to be innovative. In the way of innovation, firms seek for i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혁신을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에 국한시켜 보았던 것에 반해, 본 논문에서는 조직혁신을 매개변수로 분석함으로써 조직 변화를 통해 실현되는 FDI의 효과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따라서 혁신의 개념을 보다 정확히 구분함과 동시에 조직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1) 제품혁신과 공정 혁신에 FDI 비율이 미치는 영향과 2) 조직 혁신이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을 어떻게 매개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직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FDI 비율과 혁신간의 관계를 분석할 경우, 단기간의 활용(exploitation)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탐험(exploration)을 통한 혁신의 추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에서 조사한 한국기업혁신조사 데이터와 NICE신용평가원(Kis Value)의 기업재무 데이터, 그리고 산업통상자원부의 FDI 데이터를 대상으로 FDI 비율이 국내기업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마케팅 혁신‘의 경우, 분석 수준이 제품 수준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혁신을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에 국한시켜 보았던 것에 반해, 본 논문에서는 조직혁신을 매개변수로 분석함으로써 조직 변화를 통해 실현되는 FDI의 효과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따라서 혁신의 개념을 보다 정확히 구분함과 동시에 조직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1) 제품혁신과 공정 혁신에 FDI 비율이 미치는 영향과 2) 조직 혁신이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을 어떻게 매개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이 네 가지 혁신 변수들 중에서 기업 수준에서의 혁신성과를 나타내는 ‘제품혁신’, ‘공정혁신’, ‘조직혁신‘을 사용하여 FDI 비율이 혁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반면, 제품 혁신, 공정 혁신, 조직 혁신은 지식과 기술이 변형 되고 활용된 결과이기 때문에 실현적 흡수역량에 관계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 혁신이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보다 선행적으로 발생한다고 간주한다. 조직 혁신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효율적인 혁신 활동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Camison & Villar-Lopez, 2014).
  • 본 논문은 FDI 데이터와 STEPI 자료, 그리고 NICE 신용평가원의 재무자료(Kis Value)를 결합하여 388개 기업을 대상으로 FDI 비율이 기업 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혁신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게다가 국내 연구도 혁신보다는 기업 생산성과 고용 등과 관련된 직접적인 경제 효과에만 주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 우위확보의 동력이 되는 혁신을 촉진하는 데 있어, FDI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FDI 정책은 지속적인 FDI 유입과 증가를 목표로 하고, 기술 관련 인센티브 정책을 도입하여 FDI가 혁신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일반적으로 매개변수는 메커니즘 상에서 ‘왜(Why)’라는 물음에 답하는 변수로 독립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결과변수인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FDI 비율과 조직혁신, 제품/공정 혁신간의 선후 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시간적 선후 관계를 고려한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립변수인 FDI는 2008년 데이터를, 매개변수인 조직혁신은 2010년 데이터를, 그리고 종속변수인 제품/공정 혁신 데이터는 2012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따라서 혁신의 개념을 보다 정확히 구분함과 동시에 조직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1) 제품혁신과 공정 혁신에 FDI 비율이 미치는 영향과 2) 조직 혁신이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을 어떻게 매개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직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FDI 비율과 혁신간의 관계를 분석할 경우, 단기간의 활용(exploitation)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탐험(exploration)을 통한 혁신의 추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 한편, 본 연구는 매개 변수로 조직 혁신을 사용함으로써, 조직 학습 관점을 적용하여 FDI 비율과 혁신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먼저 가설 2a를 통해, FDI 비율과 제품 혁신이 조직 혁신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본 결과, 조직 혁신이 이들 관계에 완전한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가설 1a) FDI 투자비율이 높을 수록 국내기업의 제품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b) FDI 투자비율이 높을 수록 국내기업의 공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a) 조직 혁신은 FDI와 제품 혁신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 가설 2b) 조직 혁신은 FDI와 공정 혁신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 Oslo Manual에서는 혁신을 4가지 변수로 나누었는데 각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특히, 본 논문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공인된 OECD Oslo Manual에 기반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기에, Oslo Manual의 혁신 변수를 활용하였다. Oslo Manual에서는 혁신을 4가지 변수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는데, 첫째, 제품혁신의 경우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이나 용도 면에서 완전히 다른 제품 또는 크게 개선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여 회사의 매출에 영향을 준 경우’를 의미한다 (STEPI, 2012). 둘째, 공정혁신은 ‘생산 공정과 납품·유통 등물류 방법에서 완전히 새로운 방식 혹은 크게 개선된 방식을 실제 운영에 적용하여 생산 및 뮬류 비용의 절감, 품질 향상 등에 영향을 준 경우’라고 본다(STEPI, 2012). 셋째, 조직혁신은 ‘기존방식에 비해 조직의 기업역량 향상, 업무의 질 또는 효율성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업무수향방식, 지식관리방식, 외부 조직과의 관계개선 등 기업내부의 새로운 조직운영 방식을 실제 도입한 경우’를 나타낸다(STEPI, 2012). 마지막으로 마케팅 혁신은 ‘제품의 매력과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품 디자인이나 포장, 제품촉진, 제품배치, 제품가격 등판매 및 마케팅 방법에 있어서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아주큰 변화를 도입한 경우’를 의미한다(STEPI, 2012). 본 논문에 서는 이 네 가지 혁신 변수들 중에서 기업 수준에서의 혁신 성과를 나타내는 ‘제품혁신’,‘공정혁신’,‘조직혁신‘을 사용하여 FDI 비율이 혁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의 혁신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예룰 들어, 기업의 혁신은 1) 기술 혁신과 2) 비기술적 혁신 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OECD, 2005), 많은 연구들이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혼동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은 혁신의 보편적인 형태로 간주될수 있는데, 기업 혁신을 측정할 때 이 두 개념을 정확히 분리 하지 않는 것도 일치하지 않는 연구결과들이 존재하는 원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FDI 비율과 혁신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존재하였던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FDI 비율과 국내 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 학습 관점을 기반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FDI 비율과 혁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기업 혁신에 대한 분류가 모호하였기 때문에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으로 나누어서 FDI 비율과 혁신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이 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ntel, K. A. & Jackson, S. E.(1989), Top Management and Innovations in Banking: Does the Composition of the Top Team Make a Differe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S1), 107-124. 

  2. Barney, J.(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99-120. 

  3. Baron, Reuben M., & David A. K.(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4. Bertschek, I.(1995),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as a response to increasing import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43(4) 341-357. 

  5. Bidwell, M.(2011), Paying More to Get Less: The Effects of External Hiring versus Internal Mobilit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6(3), 369-407. 

  6. Bl?mstrom, M.. & Persson, M.(1983),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spillover efficiency in an underdeveloped economy, Evidence from the Mexican manufacturing industry. World Development, 11(6), 493-501. 

  7. Blomstrom, M.. & Sjholm, F.(1999), Technology transfer and spillovers: does local participation with multinationals matter?. European Economic Review, 43(4), 915-923. 

  8. Camison, C. & Villar-Lopez, A.(2014), Organizational Innovation as an Enabler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Firm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7(1), 2891-2902. 

  9. Carey, S., Lawson, B. & Krause, D. R.(2011), Social Capital Configuration, Legal Bonds and Performance in Buyer-Supplier Relationship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9(4), 277-288. 

  10. Chandy, R. K. & Tellis, G. J.(1998), Organizing for Radical Product Innovation: The Overlooked Role of Willingness to Cannibaliz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5(4), 474-487. 

  11. Cheung, K. Y. & Ping, L.(2004), Spillover effects of FDI on innovation in China: Evidence from the provincial data. China Economic Review, 15(1), 25-44. 

  12. Cohen, W. M. & Levinthal, D. A.(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13. Caves, R. E.(1971), International Corporations: The Industrial Economics of Foreign Investment. Economica, 38(141), 1-27. 

  14. Caves, R. E.(1974), Multinational firms,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in host-country markets. Economica, 176-193. 

  15. Damanpour, F.(2010), An Integration of Research Findings of Effects of Firm Size and Market Competition on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21(4), 996-1010. 

  16. David, P., Kochhar, R. & Levitas, E.(1998), The effect of institutional investors on the level and mix of CEO compens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1(2), 200-208. 

  17. David, P., Hitt. M. A. & Gimeno, J.(2001), The influence of activism by institutiona investors o R&D.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1), 144-157. 

  18. Davis, G. F. & Thompson, T. A.(1994), A Social Movement Perspective on Corporate Control.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9(1), 141-173. 

  19. Dunning, J. H.(1994),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the Globalization of Innovative Capacity. Research Policy, 23(1), 67-88. 

  20. Guthrie, J. P.(2001),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s, turnover, and productivity: Evidence from New Zealand.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1), 180-190. 

  21. Haddad, M., & Harrison, A.(1993), Are there positive spillovers from direct foreign investment?: Evidence from panel data for Morocco.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42(1), 51-74. 

  22. Kinoshita, Y.(2000), R&D and technology spillovers via FDI, Innov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23. Knight, K. E.(1967), A descriptive model of the intra-firm innovation process. Journal of Business 40(4), 478-496. 

  24. Kotter, J. P.(1996), Leading Change. Harvard Business Press. 

  25. Lin, P., Liu, J. & Zhang, Y.(2009), Do Chinese Domestic Firms Benefit from FDI Inflow?: Evidence of Horizontal and Vertical Spillovers. China Economic Review, 20(4), 677-691. 

  26. Liu, X. & Zou, H.(2008), The impact of greenfield FDI and mergers and acquisitions on innovation in Chinese high-tech industries. Journal of World Business, 43(3), 352-364. 

  27. Marcin, K.(2008), How does FDI inflow affect productivity of domestic firms? The role of horizontal and vertical spillovers, absorptive capacity and competition.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Economic Development, 17(1), 155-173. 

  28. Mello, Jr. L. R. D.(1997),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Developing Countries and Growth: A Selective Survey. The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34(1), 1-34. 

  29. Mowery, D. C. & Oxley, J. E.(1995), Inward Technology Transfer and Competitiveness: The Role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9(1), 67-93. 

  30. OECD(2005), Oslo Manual 3rd Edition, Paris: OECD. 

  31. OECD(2005),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3rd ed.). Paris: OECD EUROSTAT. 

  32. OECD(2013), Government at a Glance 2013. Paris: OECD Publishing. 

  33. Porter, M. E.(1985), Competitive Advantage. New York: Free Press. 

  34. Porter, M. E.(1996), What is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35. Qian, G., Li, L. & Rugman, A. M.(2013), Liability of country foreignness and liability of regional foreignness: Their effects on geographic diversification and firm performance.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44(6), 635-647. 

  36. Schumpeter, J. A.(1939), Business Cycles: A Theoretical, Histor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apitalist Process. Martino Publishing. 

  37. Shan, W. & Song, J.(1997),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Sourcing of Technological Advantage: Evidence from the Biotechnology Industry.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8(2), 267-284. 

  38. Sinani, E. & Meyer, K. E.(2004), Spillovers of technology transfer from FDI: the case of Estonia. Journal of comparative economics, 32(3), 445-466. 

  39. Solow, R. M.(1956),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70(1), 65-94. 

  40. Wen-guang, B. O.(2007), Externalities and Industrial Economic Growth-Evidences from Chinese Provincial Panel Data. China Industrial Economy, 1(1), 37-44. 

  41. Wignaraja, G.(2008), Foreign ownership,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clothing exports in Sri Lanka. Journal of Asian Economics, 19(1), 29-39. 

  42. Winter, S. G.(2000), The Satisficing Principle in Capability Learning.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Special Issue 21(10-11), 981-996. 

  43. Zahra, S. A. & George, G.(2002),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2), 185-203. 

  44. 강원진.이병헌.오왕근(2012),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7(1), 35-45. 

  45. 권미영.정해주(2012), 기업가, 기술 및 네트워크 특성이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7(1), 7-18. 

  46. 성태경(2004),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 지역 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학회. 13(4), 21-53. 

  47. 이병기(2002), 외국인 직접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48. 연태훈(2003), 외국인직접투자의 산업 간 생산성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개발원. 

  49. 정세은.김봉한.2009),. 외국인 직접투자의 생산성, 투자, 고용 효과. 한국경제의 분석, 15(2), 105-160. 

  50. 최석준.서영웅(2010), 국내기업과 외국인직접투자(FDI)기업의 경영및 기술혁신 성과 비교. 기술혁신학회지. 13(3),446-458. 

  51. 최승학.허정(2011), 외국인 소유 지분율이 한국 제조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응용경제. 13(3), 187-219. 

  52. STEPI.(2012), 2012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제조업 부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