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깨관절의 이마면과 어깨면에서 벌림각도에 따른 중간 등세모근과 아래 등세모근의 근 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EMG Activity for the Middle and Lower Trapezius Muscle in the Frontal and Scapular Plane According to Shoulder Abduction Angles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4 no.2, 2016년, pp.131 - 137  

김병곤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명희 (위덕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le activities in the frontal plane and scapular plane of the middle fiber and lower fiber of the trapezius muscle at different shoulder abduction angles. Methods: Twenty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간 등세모근과 아래 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어깨면과 이마면에서의 4개의 어깨관절 벌림 각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중간 등세모근은 Ekstrom 등(2005)의 연구결과인 어깨관절 90° 벌림 각도에서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인 것과 다르게 어깨관절 160°벌림 각도에서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마면과 어깨면에서의 근 활성도를 비교함으로써 어깨관절의 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효율적이며 기능적으로 운동을 적용시키기 위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차후 좀 더 많은 대상자를 연구에 참가하도록 하여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 어깨관절의 역학적 축과 길이-장력 관계, 어깨관절 주머니의 관계에 따라 이마면과 어깨면에서의 벌림시에 근 활성도에의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어깨관절의 벌림을 이마면과 어깨면에서 모두 실시하고 그것을 비교함으로써 어깨관절의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훈련을 적용하기 위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간 등세모근과 아래 등세모근의 소실이 초래하는 것은? 등세모근 근 섬유중 하나라도 약화되면 길이 장력 관계(length-tension relationship)와 짝힘에 변화가 발생하며 근 불균형이 나타나고 근 지구력이 감소하여 어깨뼈-위팔뼈 리듬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Ebaugh & Spinelli, 2010; Moseley et al, 1992). 특히 중간 등세모근과 아래 등세모근은 어깨가슴관절(scapulothoracic joint)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이들의 소실은 충돌 증후군(subacromial syndrome)과 같은어깨관절의 기능손상과 어깨관절의 불안정성 증가를 초래한다(De Mey et al, 2009).
아래 등세모근은 75°, 90°, 125°, 160°의 순으로 근 활성도가 증가하고, 160° 벌림 각도에서 아래 등세모근이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이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아래 등세모근은 75°, 90°, 125°, 160°의 순으로 근 활성도가 증가하고, 160° 벌림 각도에서 아래 등세모근이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였다. 이렇게 벌림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래 등세모 근의 근 활성도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첫 번째로 지레팔의 길이를 들 수 있다(Wise et al, 2004). 등세모근의 근 섬유별 지레 팔을 알아본 연구에서 다른 등세모근들은 어깨관절이 90°이상 벌림 되면 지레 팔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반면 아래 등세모근은 벌림 각도가 90°이상 증가하면서 지레 팔도 함께 증가하였다(Johnson & Pandyan, 2005). 두 번째로 아래 등세모근은 어깨뼈의 상방회전이 증가함에 따라 아래 등세모근의 근 활성도가 같이 증가한 것이다(Lee et al, 2011). 마지막으로 어깨관절이 100°이상 벌림 되면 어깨뼈의 후방 경사가 나타난다(Borstad & Ludewig, 2002). 또한 아래 등세모 근의 근 섬유 방향이 145° 방향이기 때문에, 근 섬유의 방향과 일치하는 벌림 각도에서 근 활성도가 많이 나온다고 하였다(McMahon et al, 1996).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어깨관절 125°, 160° 벌림각도에서 75°, 90°보다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인 것은, 75°, 90°보다 근 섬유의 방향이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기존의 어깨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평가 및 재활은 어디에 집중되어 왔나? 어깨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평가 및 재활은 신체의 시상면, 이마면, 가로면 즉 일차적인 운동면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에 집중되어 왔으나, 사람의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움직임이 이마면과 시상면 사이에 있는 중간면에서 더 기능적이고 자연스러운 형태로 일어나기 때문에 어깨면에서의 움직임에 대해 논의되기 시작했다(Cahalan et al, 1991). 이것은 어깨뼈가 이마면에서 30∼45도 전방으로 놓여 있어 위팔뼈의 벌림과 굽힘은 어깨면을 향하여 위팔뼈가 정렬되었을 때 어깨세모근(deltoid)과 돌림근띠(rotator cuff)가 팔를 움직이는데 적절한 길이-장력 관계에 놓이게 되어 어깨면에서의 벌림 시 위팔뼈의 회전을 요구하지 않게 된다 (Poppen & Walker, 197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llantyne BT, O'Hare SJ, Paschall JL, et al.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shoulder muscles in commonly used therapeutic exercises. Physical Therapy. 1993;73(10): 668-677. 

  2. Borstad JD, Ludewig PM. Comparison of scapular kinematics between elevation and lowering of the arm in the scapular plane. Clinical Biomechanics. 2002;17(9-10):650-659. 

  3. Cahalan TD, Johnson ME, Chao EY. Shoulder strength analysis using the Cybex II isokinetic dynamometer.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1991;271:249-257. 

  4. Chae YW. An evaluation for isokinetic strength during shoulder rotation movement in the scapular plane with various abdu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0;12(2):95-105. 

  5. Chester R, Smith TO, Hooper L, et al. The impact of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on muscle activity patterns of the shoulder complex: a systematic review of electromyographic studies.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10;11:45. 

  6. Cools AM, Witvrouw EE, Declercq GA, et al. Scapular muscle recruitment patterns : Trapewius muscle latency with and without impingement symptoms.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3;31(4):542-549. 

  7. Cram JR, Kasman GS.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Aspen. 1998. 

  8. De Mey K, Cagnie B, Danneels LA, et al. Trapezius muscle timing during selected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9;39(10):743-752. 

  9. Ebaugh DD, Spinelli BA. Scapulothoracic motion and muscle activity du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phases of an overhead reaching task.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10;20(2):199-205. 

  10. Ekstrom RA, Donatelli RA, Soderberg GL.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exercises for the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3;33(5):247-258. 

  11. Ekstrom RA, Soderberg GL, Donatelli RA. Normalization procedures using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for the serratus anterior and trapezius muscles during surface EMG analysi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05;15(4):418-428. 

  12. Faria CD, Teixeira-Salmela LF, Gomes PF. Applicability of the coactivation method in assessing symergies of the scapular stabilizing muscles.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2009;18(5):764-772. 

  13. Hislop HJ, Montgomery J. Daniels and Worthingham's muscle testing: Techniques of manual examination and performance testing. Philadelphia. Saunders. 2002. 

  14. Johnson GR, Pandyan AD. The activity in the three regions of the trapezius under controlled loading conditions--an experimental and modelling study. Clinical Biomechanics (Bristol, Avon). 2005;20(2):155-161. 

  15. Kendall F, McCreary E, Provance P,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16. Kinney E, Wusthoff J, Zyck A, et al. Acti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during varied forms of Kendall exercises. Physical Therapy in Sport. 2008;9(1):3-8. 

  17. Lee WH, Ha SM, Park KN, et al. A comparison of EMG activity for middle and lower trapezius muscle according to shoulder abduction angles. Physical Therapy Korea. 2011;18(1):47-56. 

  18. McMahon PJ, Jobe FW, Pink MM, et al. Comparativ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shoulder muscles during planar motions: anterior glenohumeral instability versus normal.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1996;5(2 Pt 1):118-123. 

  19. Moseley JB Jr, Jobe FW, Pink M, et al. EMG analysis of the scapular muscles during a shoulder rehabilitation program.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1992;20(2):128-134. 

  20.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St. Louis. Mosby Inc. 2002. 

  21. Poppen NK, Walker PS. Normal and abnormal motion of the shoulder. The Journal of Bone & Joint Surgery. 1976;58(2):195-201. 

  22. Sahrmann S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St. Louis. Mosby Inc. 2002. 

  23. Tucker WS, Armstrong CW, Gribble PA, et al. Scapular muscle activity in overhead athletes with symptoms of secondary shoulder impingement during closed chain exercis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0;91(4):550-556. 

  24. Whitcomb LJ, Kelley MJ, Leiper CI. A comparison of torque production during dynamic strength testing of shoulder abduction in the coronal plane and the plane of the scapula.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1995;21(4):227-232. 

  25. Wise MB, Uhl TL, Mattacola CG, et al. The effect of limb support on muscle activation during shoulder exercises.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2004;13(6):614-6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