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진적 앉은 자세에서의 PNF운동이 소뇌 손상환자의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일 사례 연구-
Effects of Using PNF in Progressive Sitting Position on Dynamic Balance in a Patient with a Cerebellar Injury -Single Subject Design-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4 no.2, 2016년, pp.149 - 155  

김대경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부산시회) ,  나은진 (드림병원 물리치료실) ,  문상현 (드림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exercise in the progressive sitting position on the dynamic balance ability of a patient with a cerebellar injury. Methods: The subject had ataxia due to cerebellar injur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NF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이 요통이나, 뇌졸중 등의 연구에는 많은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소뇌 손상 환자에게 적용한 PNF운동은 아직도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뇌 손상환자에게 점진적 앉은 자세에서의 PNF운동이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 명의 소뇌 손상환자에게 점진적 앉은 자세에서의 PNF 운동이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전체의 연구기간은 총 4주였으며, 초기 1주일 동안 초기 기초선 측정을 한 후 1일 30분씩, 주6회, 2주 동안 모두 12회 동안 PNF 운동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NF를 이용한 몸통운동이 뇌졸중과 요통 환자에게 균형능력에 효과를 가져왔기에 이를 소뇌 손상환자에게 적용해 보았다. PNF를 이용하여 몸통의 운동을 시행한 결과 동적균형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평가한 BBS가 운동 전보다 2점이 증가하였고, 운동이 끝난 후에도 첫 번째 기초선 보다 점수가 향상되어 동적균형능력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임상에서 PNF로 소뇌 손상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운동들을 적용하여 몸통의 안정성에 관여하고 동적균형능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뇌에 손상이 가해졌을 경우 어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가? 그러나 이러한 운동조절은 소뇌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대뇌와도 깊은 관계를 맺으면서 일어난다. 소뇌에 손상이 오면 운동기능이나 평형감각을 조절할 수 없어 정밀하게 움직일 수없게 되며 걸음걸이도 불안정하게 된다. 소뇌 손상의 임상적 증상으로는 운동거리조절이상(dysmetria), 활동떨림(intentional tremor), 근육협동장애(dyssynergia), 시각운동협동운동장애(visuomotor incoordination), 상반운동반복수행장애(dysdiadochokinesia), 자세와 보행(posture and gait), 근육긴장저하(hypotonia), 눈떨림 (nystagmus), 조음곤란(dysarthria),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등이 나타날 수 있다(Kim et al, 2007).
균형이란 무엇인가? 환경 안에서 여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기저면 (base of support, BOS) 위에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운동 조절 요소 중 하나이다(Carr & Shepherd, 2003). 균형은 기저면과 지지하는 관절에 연계된 신체 분절의 운동을 조절하는 것이다(Mackinnon & Winter, 1993). 우리가 일상생활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저면 위에서 신체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우리가 움직일 때 균형을 유지하는 역학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은 운동 기술의 수행을 통합하며, 수행될 동작이나 동작이 발생 하는 환경에서 분리할 수 없다(Carr & Shepherd, 1998). 우리가 움직일 때 균형을 유지하는 역학적인 문제점은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에 대한 변화이다. Ghez (1991)는 움직이고 자세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조절(adjustment)은 중력과 다른 외부적인 힘에 대항해 신체를 지지하기, 기저면(BOS)위에서 신체 중심 (center of mass, COM)을 정렬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다른 부분을 움직일 때 신체의 분절을 안정시키기 등의 3가지 목표를 가진다고 하였다(Carr & Shepherd,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dler S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4th ed. Heidelberg. Springer. 2014. 

  2.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2;83(2):7-11. 

  3. Carr JH, Shepherd RB.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Butterworth-Heinemann. Oxford. 1998. 

  4.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1ed. Butterworth-Heinemann. Oxford. 2003. 

  5. Chini G, Ranavolo A, Draicchio F, et al. Local stability of the trunk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cerebellar ataxia during walking. Cerebellum. 2016;1(25):1-8. 

  6. Freund JE, Stetts DM. Use of trunk stabilization and locomotor training in an adult with cerebellar ataxia: a single system design.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2010;26(7):447-58. 

  7. Folz T, Sinaki M. A nouveau aid for posture training in 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Journal of Musculoskeletal Pain. 1995;3(4):59-70. 

  8. Ghez C. Posture.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3rd ed. Appleton and Lange. Norwalk. 1991. 

  9. Hwangbo PN, Kim KD.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neck pattern exercise on the ability to control the trunk and maintain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6;28(3):850-853. 

  10. Joen HJ, Lee MH. The effects of PNF technique versus trunk exercise program on the pain, disability, and balance in chronic LBP patients.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9;9(12):665-673. 

  11. Jung DK. The effect of trunk stability exercises on trunk control ability and daily living activities on the osmotic demyelination syndrome of a patient with hyponatremia(a case study).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14;12(4):249-258. 

  12. Kang TW, Ham KH. Effect of trunk stability exercises with stabilizing reversal and rhythmic stabilization of PNF for muscle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14;12(2):63-69. 

  13. Kim SH, Kim KJ, Kim SY, et al. System physical rehabilitation (II) in nervous system and cardiopulmonary. Seoul. Hanulbook. 2007. 

  14. Lee MK, Yoon TW, Kim YH, et al. Effect of gait training using PNF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person with chronic stroke(single subject design).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12;10(1):43-52. 

  15. Mackinnon CD, Winter DA. Control of whole body balance in the frontal plane during human walking. Journal of Biomechanics. 1993;26(6):633-644. 

  16.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and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1;39(2):142-148. 

  17. Shumway-Cook A, Brauer S, Woollacott M.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and go test. Physical Therapy. 2000;80(9):896-903. 

  18. Smeets CLM, Verbeek DS. Cerebellar ataxia and functional genomiscs: Identifying the routes to cerebellar neurodegeneratio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Molecular basis of disease. 2014; 1842(10);2030-2038. 

  19.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 Additional exercise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 Neural Repair. 2009;23(3):281-286. 

  20. Whitney SL, Wrisley DM, Marchetti GF, et al. Clinical mearsurement of sit-to-stand performance in people with balance disorders; validity of data for the five-times-sit-to-stand test. Physical Therapy. 2005;85(10):1034-10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