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응이동훈련을 위한 PNF 패턴의 결합
The Combination of PNF Patterns for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1 no.1, 2013년, pp.17 - 25  

임재헌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문규 (씨티재활병원 재활치료센터) ,  김태윤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고효은 (새미래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identify importance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we reviewed the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using sprinter & skater with respect to motor control theory. Methods : We reviewed literatures related with sprinter & skater and coordination.. Results : The coordinative locomot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논문의 목적은 사지간 협응운동인 sprinter & skater를 이용한 보행협응훈련을 운동조절 관점에서 조명하고, 보행능력 향상을 위해 보행협응훈련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 앞서 사지간의 협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유도를 어떻게 하면 줄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와 맥락조건가변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협응능력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자유도를 어떻게 하면 제한시킬 수 있으며, 맥락조건가변성 즉, 다양한 자세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근육의 작용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가가 문제가 된다.
  • 또한 각 근육이 약 100개의 운동단위를 보유하고 있다면 통제할 운동단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 모든 운동단위를 뇌에서 통제하고 조절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운동동작을 만들어 내느냐의 자유도의 문제를 제시했다. 또한 근육의 활동은 운동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맥락조건 가변성(context-condition variability)의 문제를 제시했다(김선진, 199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보행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 보행능력이 손상되면 인간은 다양한 활동을 시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하지와 상지가 반대국면을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것이 인간보행의 특징이다(Wagenaar과 van Emmerik, 2000). 생활에서 간단하게 볼 수 있는 이러한 이동 동작(locomotor)은 생체역학적, 신경근육학적 요소들이 서로 결합된 협응이 되어 나타나는 것이다(이경옥, 2004).
물리치료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주된 치료 목표는 무엇인가? 물리치료실에 내원하는 많은 환자들이 주로 삼는 치료목표는 독립적인 보행이다. 인간이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보행능력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삶 속에서 수행하는 아주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운동이다.
신경계환자들과 근골격계 환자들은 어떤 작용으로 반복 연습을 통해 수행능력이 향상되는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동작의 가변성이 감소하고 수행능력이 향상된다. 과연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무엇이 학습되고, 무엇이 행동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일까?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연습은 감각운동시스템의 구성에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폼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며, 반복적인 연습을 한 사람일수록 보다 더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