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집중 피로회복이론의 장으로 본 경주 옥산서원 강학 및 유식공간의 일원적 공간성
A Study on the Coexistance of Ganghak(講學) and Yusik(遊息) space of Oksan Confucian Academy, Gyeongju: Directe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Perspective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3, 2016년, pp.50 - 66  

탁영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최종희 (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  김순애 (서울여자간호대학)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 중기 대표적 서원중의 하나인 옥산서원을 사례대상으로, Kaplan의 "주의집중회복이론 틀"을 적용시켜, 서원의 기호학적 의미체계로서의 강학과 유식공간 상호 간의 보완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전통조경의 함축적 의미 도출과 경관해석의 지평을 넓히고, 현대적 학교 공간계획과 조경설계에 일조할 수 있는 논거를 구축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옥산서원의 강학과 유식공간의 공간과 경관의 일원성을 통해 주의집중과 회복, 자연과의 합일 그리고 심성론과 수양론을 관통하는 성리미학적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정보처리과정을 위한 주의집중을 효과적으로 재개하는 회복적 공간특질로 설명할 수 있다. 옥산서원과 그 주변 환경은 입지와 공간구성, 공간포치 그리고 당호 등을 통한 기호체계의 일부로서, 강학과 유식공간의 일원성을 설명하는 유기체적 환경이며 이는 주의집중으로 부터의 네 가지 회복적 환경요소과 결부되어 나타난다. 즉 자연완상은 강학의 연장인 유식을 통해 강학의 궁구함을 가져오는 체험을 넓히게 한다. 요컨대 '공부'와 '쉼'의 과정은 완물적정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고 인간의 심성을 수양하며 도덕을 체득하게 유도되고 있다. 옥산서원은 입지적으로 읍치로 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벗어남'과 서원의 조망경관과 공간 포치를 이용한 영역 간의 일체감을 통한 '확장감'이 부상되며, 폐쇄성 강한 서원내부에서 자연 우월적 외부공간으로 이르는 다양한 출구 또한 자연으로의 확장을 돕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옥산서원에서는 강학과 유식의 호환 및 양립성을 통해 본 '부합성' 등에 기반한 서비스스케이프가 잘 드러난다. 회복관경의 극점은 학문적 존양자인 회재의 자연 유상공간인 사산오대 및 옥산구곡과 관련된 경물 체험을 통해 환기되는 '매혹감'에서 더욱 여실히 나타난다. 이는 강학과 유식이라는 서로 다른 기능공간을 일원적으로 통합하는 내적 질서이자 중요한 회복환경의 가치임을 일깨운다. 특히 옥산서원 주변에 펼쳐져, 회재로부터 정의되고 의미를 부여 받은 사산오대는 성리학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자연의 숭고미와 격물치지를 이해하는 매우 유효한 학습환경일 뿐 아니라 주의집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서비스스케이프로써, 최적화한 회복환경이 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d explain how "Directed Attention Restorative Environment (DARE)" is managed and fostered in "Gang-Hak (講學)" and "Yu-Sik (遊息)" spaces both inside and outside of Oksan Seowon Confucian Academy, Gyeongju. Directed Attention is a pivotal element in human informa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적 환경 경험의 개념적 요소란? Kaplan은 주의집중 회복이론(Attentional Restoration theory: ART)을 통해, 회복적 환경 경험의 개념적 요소를 설명하고 있다. 이는 인지 혹은 지각(cognition or mind's eye)과 장소(places)의 상호작용에 의한 요소들로서 환경을 특질화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요소이다[10]. 주의 집중 능력은 인지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효율적인 사고와 행위를 위해 집중능력의 회복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11].
서원이란?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성리학의 도통을 이어가기 위해 사림세력에 의해 성립되었으며, 사립교육기관인 동시에 향촌 자치운영기구로서 여러 분야에 걸쳐 영향을 끼친 문화적 산물이었다. 16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설립된 서원은 성리학적 세계관을 종교 및 교육적 기능 차원에서 응축시켜 승화하고 있다.
서원이 본격적으로 설립된 시기는?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성리학의 도통을 이어가기 위해 사림세력에 의해 성립되었으며, 사립교육기관인 동시에 향촌 자치운영기구로서 여러 분야에 걸쳐 영향을 끼친 문화적 산물이었다. 16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설립된 서원은 성리학적 세계관을 종교 및 교육적 기능 차원에서 응축시켜 승화하고 있다. 즉 절제되고 추상적인 미학에 바탕을 두고 예제에 의한 규범과 밀도 높고 짜임새 있는 공간구성으로 성리학적 가치관·세계관·자연관이 반영된 물리적 표상(表象)인 것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S. H.(1998). Seowon, Seoul, Yeolhwadang. 

  2. Jung, G. C.(2000). Meaning of Nam-kye Auditorium in History of Architecture.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Art Studies. 1: 393-425. 

  3. Kim, D. H. and Lee, S. H.(2013). An Interpretation on Location and Inner Part organization of Korean Seowons: Focused on Four Soewons Designated by Korea as National Historic Site.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5(2): 15-36. 

  4. Mitchell, D., Breiback, C., Agnew, J. A., and Duncan, J. S. (eds)(2011). Human Geography, John Wiley & Sons. pp.209-211. 

  5. Kaplan, S. and Kaplan, R.(1981). Cognition and Environment: Functioning in an Uncertain World. Michigan, Ulrich's. 

  6. Kim S. H. and Choi K. R.(2009). A Study on "YuSik" Space of Jung-ja Architecture in Choso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9): 197-204. 

  7. Wu, X.(2005). Yuelu Academy: Landscape and Gardens of Neo-Confucian Pedagogy.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and Designed Landscapes. pp.156-190. 

  8. Kaplan, S.(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 169-182. 

  9. Kaplan, R., Kaplan, S., and Ryan, R.(1998). With People in Mind: Design and Management of Everyday Nature, Washington DC: Island Press. 

  10. Kaplan, S.(2001). Meditation, Restoration, and the Management of Mental Fatigue. Environment and Behavior. 33: 480-508. 

  11. Berto, R.(2005). Exposure to Restorative Environments Helps Restore Attentional Capa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5: 249-259. 

  12. Kaplan, R.(2001). The Nature of the View from Home: Psychological benefits. Envrionment and Behavior. 33(4): 507-542. 

  13. Wilke, S. and Stavridou, A.(2013). Influence of Environmental Preference and Environment Type Congruence on judgements of Restoration Potential.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2(2): 163-170. 

  14. Ward Thompson, C. and Aspinal, P.(2011). Natural Environments and Their Impacts on Activity, Health, and Quality of Life, Applied Psychology: Health and Well-Being. 3(3): 230-260. 

  15. Velarde, M. and Tveit, M.(2007). Health Effects of Viewing Landscapes-landscape Type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4): 199-212. 

  16. Nightingale, F.(1996)(1860). Notes of Nursing: What it is and what it is not (Revised with additions). London: Balliere Tindall. 

  17. White, S., Humphryes, P., and Depledge, S.(2010). Blue space: The importance of water for preference, affect, and restorativeness ratings of natural and built sc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 482-493. 

  18. Sato, I. and Conner, T.(2013). The quality of time in nature: How fascination Explain and Enha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xperiences and Daily Affect. Ecopsychology. 5(3): 197-204. 

  19. Kaplan, R.(2001). The Nature of the view from Home: Psychological benefits, Environment and Behavior. 33(4): 507-542. 

  20. Keniger, L. E., Gaston, K. J., Irvine, K. N., and Fuller, R. A.(2013), What are the benefits of interacting with n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0(3): 913-935. 

  21. Volker, K.(2011). The Impact of Blue Space on Human Health and Well-being-Salutogenetic Health Effects of Inland Surface Water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pp.449-460. 

  22. Kim, E. J, and Joo, N. C.(1991). A Study on Site plan type and it's Transition of Seowon Archite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7(6): 123-131. 

  23. Song, Y. I.(2001). A Study on the Building Layout of Oksan-Seowon Chosun dynasty, Confucianism adopted as a new ruling ideology had strongly influenced on, Kumho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Unpublished Thesis. 

  24. http://kyujanggak.snu.ac.kr 

  25. Lee, S. H.(2014). An Interpretative Study on Location and Landscape of Korean Seowons-Focused on Seowons with Pavilion. Kyeongsang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Thesis. 

  26. Chung, Y. Y., Sung, J. S, and Pae, J. H.(2011). A Study on Managing the Landscape in Dok-Rak-Dang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1): 96-105. 

  27. Yeoju Lee SsiSebo(驪州李氏世譜). Vol.1. 

  28.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2011). The Oigin of Korean Geographic Names: Gyeungsangdo. 

  29. Choi, M. K.(2010). Architectural planning of SeoWon Lu in YoungNam province.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30. http://blog.naver.com/lacomi1/220641931151 

  31. Yang, S. Y.(1980). A study on the landscape of Seowon-Seoak and Oksan Seowon. Jinju Argricultural College Research. 18: 101-111. 

  32. http://www.seowonheritage.org 

  33. Yoo, I. H. and Ha, H. J.(2012). A Study on the Building Layout of Oksan-Seowon, Residential Environment. 10(2): 145-157. 

  3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7032&cid49277&categoryId49277 

  35. Rho, J. H., Huh, J., and Choi, J. H.(2014). Landscape configuration Reading of 'Jangseong Pilmaseowon'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2): 42-54. 

  36. Rho, J. H. and Shin, B. C.(2012). The Landscape Organization of the Dodong-Seowon in the Aesthetics of Mod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4): 44-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