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환경 조성을 위한 주의회복이론 관점의 치유환경 고찰 - 청계천을 중심으로 -
A Healing Environment Study focused on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for Healthy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 A Case Study of Cheonggyecheon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1, 2017년, pp.94 - 104  

김무한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체 의학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일상적인 공간과 활동을 통한 건강증진에 많은 관심이 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환경에 대한 물리적 공간의 효용가치와 구체적인 공간 유형별 차이에 관해 다룸으로 근거중심디자인 관점에서 조경계획 및 설계단계에 유용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인위적으로 조성된 조경공간의 치유효과가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요구되며, 구체적인 공간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청계천 1.5km 구간을 대상으로 주의회복 효과와 공간 유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공간에 대한 해석과 주의회복환경 정도를 묻기 위한 회복환경 지각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계천 조사 구간의 평균 회복환경지각척도는 6.12로 도출되었다. 이는 선행 연구를 기준으로 옥상 정원이나 언덕 그리고 정원에 비해서는 높은 수치이고, 자연호수가 주는 주의회복효용 정도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둘째, 공간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각 5개 공간 유형별로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로 안쪽 경계부 공간 유형이 치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조경공간의 치유효과에 대한 근거자료가 되며, 세부 공간 유형 설계 시 치유공간 설계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ecent increasing interest in preventive medicine, observation has been made regard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routinized place that includes activity and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 value of a designed landscape for seeing a healing environment and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도심에 위치한 청계천의 치유환경 효용이 얼마나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청계천의 건강효용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둘째, 세부 공간 유형별 건강 효용을 분석함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치유환경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회복환경지각척도 점수의 높고 낮음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를 통해 청계천의 치유환경 효과가 높고 낮음을 논하였다. 지금까지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대상지별 회복환경지각척도 점수는 Figure 2와 같다.
  • 하지만 그 효용 정도가 어느 정도이고 크고 작은 환경간의 그 효용의 차이가 얼마나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내 대표 조경 공간인 청계천을 대상으로 치유환경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며, 그 안의 구체적인 공간 유형들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에 위치한 청계천의 치유환경 효용이 얼마나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청계천의 건강효용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둘째, 세부 공간 유형별 건강 효용을 분석함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치유환경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회복이론이란? 주의회복이론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인간의 지향적 주의(Directed Attention)와 인지되는 피로를 저감시키는 불수의적 주의(Involuntary Attention)에 대해 말한다(Bell et al., 2001). 지향적 주의는 집중과 노력을 요하는 일을 행할 때 작동하며, 지속될 경우 심리적, 육체적 피로(fatigue)가 유발된다.
세계보건기구가 정의한 건강이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가능한 최대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의 상태를 말한다. 이는 단순히 장기적인 질환이나 각종 질병이 없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상의 정의는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 상태의 수식어인 ‘가능한 최대의(complete)'라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시 공원의 장점은? 도시 내 녹지는 인간에게 육체적, 생리학적, 정신적, 심리적/감정적, 사회적 효용이 있음이 언급되고 있다(Sung, 2014). 도시 공원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도시 내 자연을 대표하는 공간으로서, 인간에게 건강 효용 가치가 크다. 도시 공원은 이용자 입장에서 크게 육체적, 정신적 건강효용을 제공할 수 있다(Kaplan, 1983; Hill, 2001; Shores and West,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exander, C.(Ed.)(1975) The Oregon Experiment (Vol. 3). Oxford University Press. 

  2. Bell, P. A., T. C. Greene, J. D. Fisher and A. Baum(2001) Environmental Psychology: Lawrence Erlbaum. 

  3. Berto, R.(2005) Exposure to restorative environments helps restore attentional capa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5(3): 249-259. 

  4. Cohen, D. A., T. L. McKenzie, A. Sehgal, S. Williamson, D. Golinelli and N. Lurie(2007) Contribution of public parks to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3): 509-514. 

  5. Floyd, M. F., J. O. Spengler, J. E. Maddock, P. H. Gobster and L. J. Suau(2008) Park-based physical activity in diverse communities of two US cities: An observatio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4(4): 299-305. 

  6. Hartig, T., A. Book, J. Garvil, T. Olsson and T. Garling.(1996) Environmental influences on psychological restor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37(4): 378-393. 

  7. Hartig, T., F. G. Kaiser and P. A. Bowler(1997) Further development of a measure of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Institute of Housing Research, Working paper(5). 

  8. Hartig, T., K. Korpela, G. W. Evans and T. Garling(1997) A measure of restorative quality in environments. Scandinavian Housing and Planning Research 14(4): 175-194. 

  9. Hill, K.(2001) Design and Planning as Arts: The Broader Context of Health and Environment. Ecology and Design: Frameworks for Learning, 203. 

  10. Hwang, J. Y., K. C. Cho and S. W. Yang(2011) Analysis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o Cheonggyecheon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2): 185-192. 

  11. Kang, Y. A., J. Y. Lee and S. Lee(2013) Influences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toward leisure satisfaction in a Waterfront Park: Focused on Hangang Park. The Han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8(3): 353-373. 

  12. Kaplan, R.(1983) The role of nature in the urban context. In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Springer US. pp. 127-161. 

  13.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UP Archive. 

  14. Kaplan, S.(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3): 169-182. 

  15. Kim, M., J. S. Sung and J. M. Park(2014) Behavior setting theory draws Chonggyecheon.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4): 35-46. 

  16. Korpela, K. M., T. Hartig, F. G. Kaiser and U. Fuhrer(2001) Restorative experience and self-regulation in favorite places. Environment and Behavior 33(4): 572-589. 

  17. Korpela, K. and T. Hartig(1996) Restorative qualities of favorite pla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6(3): 221-233. 

  18. Laumann, K., T. Garling and K. M. Stormark(2001) Rating scale measures of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1): 31-44. 

  19. Lavoie, C.(2005) Sketching the landscape: Exploring a sense of place. Landscape Journal, 24(1): 13-31. 

  20. Lee, S. H. and M. H. Hyun.(2003)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PRS).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8(2): 229-241. 

  21. Lee, S. Y. and K. Park.(2014)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college campus with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4): 37-47. 

  22. Lee, Y. G. and H. S. Kim(2013) Place image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resultant behavior of Cheonggyecheon: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s and foreigner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5(3): 67-89. 

  23. Maller, C. J., C. Henderson-Wilson and M. Townsend(2009) Rediscovering nature in everyday settings: Or how to create healthy environments and healthy people. EcoHealth, 6(4): 553-556. 

  24. Moon, S. M. and K. N. Mun(2007) The study on the encounter norm and personal space's influence on perceived crowding focused on the visitors in Cheonggyeche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2(3): 41-63. 

  25. Park, S. A. and M. W. Lee(2016)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by types of forest space-Focused on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and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4): 75-85. 

  26. Purcell, T., E. Peron and R Berto(2001) Why do preferences differ between scene types?. Environment and Behavior 33(1): 93-106. 

  27. Ruddell, E. J. and W. E. Hammitt(1987) Prospect refuge theory: A psychological orientation for edge effects in recreation environ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9(4): 249-260. 

  28. Seamon, D.(1987) Phenomenology and environment-behavior research. Advances in Environment, Behavior, and Design 1: 3-27. 

  29. Sema, M., D. Z. Tugba and O. Z. Ali(2010) Prospect and refuge as the predictors of preferences for seating areas. Scientific Research and Essays 5(11): 1223-1233. 

  30. Shores, K. A. and S. T. West(2010) Rural and urban park visits and park-based physical activity. Preventive Medicine 50: S13-S17. 

  31. Sung, J. S.(2014) Green-health topology. Environmental Reserach 53(1): 71-78. 

  32. Tenngart Ivarsson, C. and C. M. Hagerhall(2008)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gardens-Assessing the restorativeness of a mixed built and natural scene type.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7(2): 107-118. 

  33. Velarde, M. D., G. Fry and M. Tveit(2007) Health effects of viewing landscapes-Landscape type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4): 199-212. 

  34. Yi, Y. G.(2006) Influence of the restorative quality of landscape on the visit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tourist destination: An evaluation of heritage landscape of Kyongju by America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1-13. 

  35. Yi, Y. G.(2013) Restorative quality of traditional landscape and visiting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4): 68-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