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회의원의 입법정보 이용행태와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Behavior and Demand Forecasting of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for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3, 2016년, pp.155 - 169  

조정권 (국회도서관 정보기술지원과) ,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대 전반기 국회의원의 속성에 따른 입법정보 이용행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20대 전반기 국회의원의 입법정보 수요예측과 입법정보서비스의 정책적 함의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입법정보 지원기관인 국회도서관의 참고질의회답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의원의 정치속성과 관계속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소속정당 선출방식 내향중심성에 따라 국회도서관의 입법정보 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함께 20대 국회가 여소야대의 국회의원 구성과 3당 체제의 원내구성이라는 점에서 국회도서관의 입법정보 수요가 증가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olicy and to predict the needs of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For this purpose,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use behavior of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attribute for the member of the 19th Nation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입법행위자와 다른 행위자들과의 관계적 측면을 1) 내향중심성, 2) 외향중심성, 3) 중개자 역할, 4) 대표자 역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입법정보 이용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중심성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입법정보 이용이 얼마나 증가하는가를 보기 위하여 각 개인별 소수점의 수치에 10을 곱하여 0과 6사이의 값으로 범주화하였다. 대표성과 중개성 역시 개인별 링크 건수로 이를 1과 5사이의 값으로 서열화하여 범주화함으로써 단위증가별 입법정보 이용의 증가량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이 통계분석에 필요한 데이터의 기초 통계 값은 <표 4>와 같다.
  • 본 연구는 19대 전반기(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29일)의 국회의원의 입법정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이다.
  •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생산적인 국회가 될 수 있도록 의원과 정보, 입법활동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국회의원의 의회 내 입법지원기관의 입법정보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양질의 입법정보서비스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대 전반기의 입법활동을 대상으로 국회도서관을 활용한 입법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20대 국회의 국회도서관 이용수요를 예측하고 20대 국회에서 필요한 입법정보서비스와 관련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법정보란? 의원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공개적 토론장으로 끌어들여 쟁점화 하는 주체이다. 이러한 입법과정에서 입법의 주체인 의원의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가 바로 입법정보라 할 수 있다.
남혜진에 따르면, 국회의원의 속성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의원의 속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남혜진(2009)은 입법행위자인 의원의 속성을 개인적 배경과 제도적 배경으로 나누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이전 직업으로, 국회업무 특성 요인은 여·야당, 당선횟수, 지역구, 상하반기 상임위원회, 상임위원회 유임여부로 구분하였다.
국회의원은 어떻게 활동하는가? 국회의원은 입법을 위해 사회문제를 인지하고 입법행위자로서 국회라는 제도적 공간에서 활동한다. 의원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공개적 토론장으로 끌어들여 쟁점화 하는 주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란우. 2009. 법안투표행태에서 드러난 정치 네트워크 영향력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사회학과 . Kim, Lanu. 2009. The Contingency of Influence Network Effect on Political Voting Decision:A Case Study of 17th Korean National Assembly. M.A. thesis, Department of Sociology,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 김장수. 2006. 의원발의의 미시적 동인 분석: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46(4):203-220. Kim, Jang Su. 2006. "An Analysis on Legislator's Incentive to Bill Proposal: In-Depth Interview."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46(4): 203-220. 

  3. 남해진. 2009. 국회의원의 입법활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17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관리학과. Nam, Hye Jin. 2009. Study on Lawmaking Activity Determinants of Members of the NationalAssembly: Based on the Seventeenth National Assembly. M.A. thesis, Department of HealthPolicy and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Korea. 

  4. 박영희. 2007. 입법과정에서의 정보이용과 수요예측: 16대 및 17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Park, Young Hee. 2007. Information Use and Demand Forecasting during the LegislativeProcess. Ph.D. diss.,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5. 서현진, 박경미. 2009. 17대 국회 의원발의 법안의 가결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43(2): 89-112. Seo, Hyun-Jin and Park, Kyungmee. 2009. "An Analysis on Passage of the Legislators' Bills."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43(2): 89-112. 

  6. 유승익. 2006. 17대 국회의원의 인구사회학적인 배경분석: 역대국회와의 비교. 의정연구, 13(1):101-127. You, Seng Ick. 2006. "The Comparison of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of 17th NationalCongress with Previous Ones."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13(1): 101-127. 

  7.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Lee, Soo-Sang. 2012. Network Analysis Methods. Seoul: Nonhyung. 

  8. 이현출. 2009. 17대 국회 의원입법안 분석: 발의, 내용, 심의결과. 한국정당학회보, 8(1): 255-286. Lee, Hyunchool. 2009. "Member's Bill Proposal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of Korea."Korean Party Studies Review, 8(1): 255-286. 

  9. 최준영. 2006. 의원발의의 동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사건계수 분석기법(Event Count Analysis)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16(2): 307-326. Choi, Jun Young. 2006. "What Makes Legislators Introduce Bills?." The journal of 21st Century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6(2): 307-326. 

  10. Bimber, B. 1991. "Information as a Factor in Congressional Politics."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16(4): 585-605. 

  11. Bratton. 2011. "Networks in the Legislative Arena: How Group Dynamics Affect Cosponsorship."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36(3): 423-460. 

  12. Cohen, R. E. 1973. "Information Gap' Plagues Attempt to Grapple with Growing Executive Strength." National Journal, 5: 379-388. 

  13. Davidson, R. H. and Oleszeck, W. J. 1990. Congress and Its Members. Washington, D.C.:CQ Press. 

  14. Fenno, R. Jr. 1973. Congressmen in Committees. Boston: Little, Brown. 

  15. Fowler, J. H. 2006a. "Connecting the Congress: A Study of Cosponsorship Networks." Political Analysis, 14(4): 456-487. 

  16. Fowler, J. H. 2006b. "Legislative Cosponsorship Networks in the U.S. House and Senate." Social Networks, 28(4): 454-465. 

  17. Griffith, E. S. 1967. Congress: Its Contemporary Role.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18. Jones, C. O. 1976. "Why Congress Can't Do Policy Analysis." Policy analysis, 2(2): 251-264. 

  19. Kingdon, J. W. 1989. Congressmen's Voting Decision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 Maisel, L. S. 1981. "Congressional Information Sources." In Joseph C. and G. C. M. 1981. The House at Work.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1. March, J. G. and Herbert A. S. 1958. Organization. New York: John Wiley. 

  22. Rieselbach, L. N. 1977. Congressional Reform In the Seventies. Morristown, NJ: General Learning Press. 

  23. Ripley, R. B. 1978. Congress: Process and Policy. New York: W.W. Norton & Company. 

  24. Sabatier, P. and Whiteman, D. 1985. "Legislative Decision Making and Substantive Policy Information: Models of Information Flow."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10(3): 395-421. 

  25. Schick, A. 1976. "The Supply and Demand for Analysis on Capitol Hill." Policy Analysis, 2(2): 215-234. 

  26. Schneier, E. 1970. "The Intelligence of Congress: Information and Public Policy Patterns." Analysi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388: 14-24. 

  27. Sundquist, J. L. 1981. The Decline and Resurgence of Congres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28. Whiteman, D. 1985. "The Fate of Policy Analysis in Congressional Decision Making: Three Types of Use in Committees." Western Political Quarterly, 38(2): 294-311. 

  29. Zwier, R. 1979. "The Search for Informatio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in the U. S. House of Representatives."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4(1): 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