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대중공개강좌(MOOC)를 위한 도서관 지원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Library Engagement and Models for Support of MOOC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3, 2016년, pp.293 - 308  

손태익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 수많은 대학들이 오프라인 강의를 MOOC 형태로 제작하여 온라인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움직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외 대학도서관들은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국외 문헌정보학 저널들에 게재된 MOOC 관련 논문들을 선정 분석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와 도서관 분야의 MOOC 지원 서비스 항목들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도서관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4년 동안의 해외 문헌정보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 논문 348편 중 최종 34편을 관련 논문으로 선정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 관련 MOOC 연구(24편)와, 문헌정보학 교육 관련 MOOC 연구(10편)로 나누어 요약 정리하였으며, 주요 MOOC 지원 서비스는 크게 5개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첫 번째 MOOC 강의 디자인 단계의 저작권 처리 및 컨설팅, 콘텐츠 라이센스, 오픈 콘텐츠 홍보 및 안내 서비스와 두 번째 강의 제작 단계에서 강의 제작 및 편집 지원과 자체 사서 MOOC 콘텐츠 제작, 세 번째, 강의 운영 단계에서 강의 운영 자료 및 학습 안내 자료 제작과 수강생 지원 서비스, 네 번째로 강의 평가 단계의 강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강의 운영 평가 서비스가 있으며 다섯 번째로 강의 재사용 단계에서 강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작성 및 아카이브 구축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도서관의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추후 MOOC 관련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universities are offering some of their offline courses for anyone to learn free online as an MOOC format. University libraries In response to changing university conditions,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are struggling to redefine their roles and provide new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fi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MOOC와 도서관에 관련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도서관 서비스에 관련한 연구와 문헌정보학 교육 분야로 구분하고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향후 한국에서 진행되어야 할 도서관 MOOC 서비스의 연구 방향과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MOOC와 사서에 관련된 연구에서 Massis (2013)는 도서관 관점에서 미래 교육 환경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MOOC의 현 위치를 조사하고 MOOC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사서들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도서관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의 이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 셋째로 강의 운영단계에서 도서관은 MOOC 수강생들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나 안내 자료들을 만들거나 MOOC 강좌를 위한 도서관 소장 자료들을 디지털화하여 강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또한 수강생들을 위한 검색 전략 교육 자료나 온라인 튜토리얼 자료를 제작하여 도서관의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가르친다. 그리고 MOOC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기술적․행정적 지원을 한다.
  • 둘째는 문헌정보학 교육 분야에 관련된 연구와 도서관과 관련된 연구를 구분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MOOC와 도서관 연구가 이루어질 방향과 국내 MOOC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 서비스 모델 방안에 대해 언급 한다.
  • 본 연구는 국외 문헌정보학 저널들에 게재된 도서관과 MOOC 관련 기존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현재까지 출판된 연구의 주제들을 분류하고 요약 정리하였으며, 기존 연구의 한계를 분석하여 국내 도서관과 문헌정보학 교육 분야의 MOOC 연구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에서 2015년까지 최근 4년 동안 국외 문헌정보학 저널들에 게재된 연구논문 34편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현재까지 연구된 도서관 관련 MOOC 연구들은 크게 도서관과 관련된 MOOC 연구와 문헌정보학 교육 관련 MOOC 연구로 나눌 수 있었으며, 2013년을 기점으로 그 연구의 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로 확산이 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국외 학술저널에 게재된 선행 연구들의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도서관계에서 필요한 MOOC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34편의 문헌을 정리하였다. 첫째, 국외 저널에 출판된 논문들을 도서관과 사서에 직접적으로 관련한 논문과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련된 논문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 본 연구는 국외에서 출판된 MOOC와 도서관 그리고 문헌정보학에 관련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필요한 연구의 방향과 서비스 모델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Pritchard(2014)는 대학 도서관의 최신 연구 서비스들을 언급하고 변화하는 고등 교육 환경과 도서관 환경 속에서 MOOC 도입에 따라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이슈들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MOOC 도입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정보와 자원들을 전달하기 위해 정보 서비스 방식을 다시 수정하고 도서관 기금 마련과 도서관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을 연구하였다. Green(2014)은 영국의 MOOC 플랫폼 사이트인 FutureLearn에 제공하고 있는 Leeds와 Helen Howard 대학의 MOOC 콘텐츠 제작에 참여한 대학 도서관의실 사례를 연구하였다.
  • Sun and Liao(2014) 연구는 도서관이 가진 자원들을 활용하여 MOOC 교육 환경에 맞는 도서관 서비스들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 기반의 디스커버리 모델을 통해 도서관의 자원들을 MOOC 환경에 맞게 재구축하고 서비스 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Ariew(2013)는 오픈 예일 강좌에서 제공하고 있는 MOOC 강좌를 포함하여 미국 내에서 온라인 수강생들을 위해 만들어진 강의 영상들을 도서관 자원내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주요 MOOC 지원 서비스로는 저작권 처리 및 컨설팅, 오픈 콘텐츠 홍보 및 안내, 교육 지원, 수강생 지원, 직접적인 제작 지원, 자체 MOOC 콘텐츠 제작 그리고 강의 콘텐츠 아카이브 수집 및 검색 제공 등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도서관의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며 추후 MOOC 관련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
  • Bond and Leibowitz(2013)는 사서의 MOOC 운동 참여 관점에서 MOOC 문제들을 다루고 MOOC의 기회와 도전에 대해 언급하였다. 특히 MOOC 강의에서 사용되는 교재와 도서관 자원들 간의 연결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 Miller(2013)의 연구에서는 미국 내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에서 MOOC 서비스를 제공할 때 도서관과 사서들의 다양한 역할들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사서들이 원거리 수강생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저작권 문제 해결과 오픈액세스 콘텐츠 제공 그리고 보다 폭 넓은 수준의 MOOC 지원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Barnes(2013)는 사서들이 적극적으로 콘텐츠 개발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에서 다양한 종류의 MOOC 강의를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Liyanagunawardena and Williams(2014)는 MOOC 플랫폼에서 제공하고 있는 의학 및 보건 분야 MOOC 강좌를 다룬 문헌들을 조사하고 지역별 대상 수강생, 강의 길이, 이수 학점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의료 보건 분야에 있어 MOOC 강의의 한계와 기회들을 다루고 향후 보완할 연구를 제시하였다. Toven-Lindsey and Lozano (2015)는 고등 교육에서의 MOOC 영향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MOOC 강의에 다룬 교수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그러나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외 도서관과 MOOC에 관련한 모든 학술저널을 망라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향후 계속되는 연구에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MOOC 서비스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실질적인 국내 도서관 서비스 모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OC는 무엇인가? 2012년 11월 뉴욕타임즈는 2012년을 MOOC의 원년이라 부르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시작을 알렸다. MOOC는 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약어로 대규모 수강생들이(Massive), 누구든지 수강 가능한(Open), 온라인기반(Online) 강의(Course)를 의미한다. 긴 분량의 강의 영상을 짧게 나누어 강의 집중도를 높여 온라인상에서 질의응답과 퀴즈, 토론 등의 학습을 하면서 교수와 수강생, 또는 수강생과 수강생간의 상호 소통과 참여가 가능한 양방향 학습 강의이다.
MOOC 강의 교재개발 시 도서관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MOOC 기반의 강의 교재개발 시 도서관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할 부분은 강의 교재의 저작권과 라이센스 문제이다. 대규모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강의 교재를 서비스해야 하는 MOOC 서비스의 특성상 교재들의 저작권과 라이센스 같은 법적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으면 강의가 제공될 수 없다.
교육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 21세기 새로운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통적인 대학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은 교수자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오프라인 수업에서 온라인 강의로 옮겨가고 있다. 대규모 온라인 오픈 강좌인 MOOC는 이 모든 변화의 중심에서 미래교육의 핫 트렌드로 주목받으며 새롭게 진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lman, G. 2013. "Keeping an Open Mind." CILIP Update, 12(6): 3. 

  2. Ariew, S. 2013. "Teaching and Learning with Online Educational Videos: A Subject List of Web Resources for Educators." Choice Reviews Online, 50(12): 2135-2148. doi: 10.5860/choice.50.12.2135. 

  3. Barnes, C. 2013. "Moocs: The Challenges for Academic Librarian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4(3): 163-175. doi: 10.1080/00048623.2013.821048. 

  4. Becker, B. W. 2013. "Connecting Moocs and Library Services." Behavioral & Social Sciences Librarian, 32(2): 135-138. doi: 10.1080/01639269.2013.787383. 

  5. Bond, P. and Leibowitz, F. 2013. "Moocs and Serials." Serials Review, 39(4): 258-260. doi: 10.1080/00987913.2013.10766407. 

  6. Ecclestone, M. 2013. "Moocs as a Professional Development Tool for Librarians." Partnership, 8(2): 1-6. doi: 10.21083/partnership.v8i2.2797. 

  7. Frederiksen, L. 2013. "Makers and Moocs." Public Services Quarterly, 9(2): 157-161. doi: 10.1080/15228959.2013.785897. 

  8. Gore, H. 2014.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and Their Impact on Academic Library Services: Exploring the Issues and Challenges."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20(1): 4-28. doi: 10.1080/13614533.2013.851609. 

  9. Green, R. 2014. "Moocing the Most of Library Resources." CILIP Update, 3: 33-39. 

  10. Gulati, A. 2013. "An Overview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Some Refl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Library Services, 3(4): 37-46. 

  11. Hovious, A. 2014. "Two Takes on How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May Affect Librarians and Library Services: Counter Point." American Libraries, 45(5): 35. 

  12. Hoy, M. B. 2014. "Moocs 101: An Introduction to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edical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33(1): 85-91. doi: 10.1080/02763869.2014.866490. 

  13. Kaushik, A and Kumar, A. 2015. "Periodical Literature on Moocs and LIS Domai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Technology, 5(1): 37-40. 

  14. Liyanagunawardena, T. R. and Williams, S. A. 2014. "Massive Open Online Courses on Health and Medicine: Review." J Med Internet Res, 16(8): e191. doi: 10.2196/jmir.3439. 

  15. Mahraj, K. 2012. "Using Information Expertise to Enhance Massive Open Online Courses." Public Services Quarterly, 8(4): 359-368. doi: 10.1080/15228959.2012.730415. 

  16. Mallon, M. 2013. "Moocs." Public Services Quarterly, 9(1): 46-53. 

  17. Massis, B. E. 2013. "Moocs and the Library." New Library World, 114(5/6): 267-270. doi: 10.1108/03074801311326894. 

  18. McKiel, A. and Dooley, J. 2013. "Changing Library Operations-Moocs Some Thoughts from Library Experience." Against the Grain, 25(6): 54-55. 

  19. Miller, W. 2013. "Massive Online Open Courses (Moocs) and Your Library." Library Issues, 33(5): 1-4. 

  20. Moher, D.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 doi: 10.7326/0003-4819-151-4-200908180-00135. 

  21. Nisha, F. and Senthil, V. 2015. "Moocs: Changing Trend Towards Open Distance Learn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ia." DJLIT, 35(2): 82-89. doi: 10.14429/djlit.35.2.8191. 

  22. Pappano, L. "Massive Open Online Courses Are Multiplying at a Rapid Pace." 2012. The New York Times. November 2nd. [online] 

  23. Pritchard, S. M. 2013. "Moocs: An Opportunity for Innovation and Research." Portal:Libraries and the Academy, 13(2): 127-129. doi: 10.1353/pla.2013.0015. 

  24. Pritchard, S. M. 2014. "Innovative Research in Academic Libraries: Do Editorials, Agendas, or Think Tanks Make a Difference?."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14(2): 133-136. doi: 10.1353/pla.2014.0007. 

  25. Pujar, S. and Bansode, S. 2014. "Moocs and LIS Education: A Massive Opportunity or Challenge." An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61(1): 74-78. 

  26. Smith-Cruz, S., Thistlethwaite, P. and Daniels, J. 2014. "Open Scholarship for Open Education:Building the Justpublics@365 POOC." Journal of Library, 5(2): 15-28. 

  27. Steel, L. 2013. "Will Moocs Change the World?." CILIP Update, 12(6): 38-39. 

  28. Stephens, M. and Jones, K. 2014. "Moocs as LIS Professional Development Platforms:Evaluating and Refining SJSU's First Not-For-Credit MOOC."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55(4): 345-361. 

  29. Stephens, M. 2013. "Moocs for LIS Professional Development: Exploring New Transforma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Roles." Internet Learning, 2(2): 72-88. doi: 10.18278/il.2.2.5. 

  30. Sun, J.-Z. and Liao, S.-F. 2014. "Study on the Patterns of Library Resource Construction and Services in MOOC." IJUNESST, 7(6): 85-90. doi: 10.14257/ijunesst.2014.7.6.08. 

  31. Toven-Lindsey, B., Rhoads, R. A. and Lozano, J. B. 2015. "Virtually Unlimited Classrooms:Pedagogical Practices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4: 1-12. doi: 10.1016/j.iheduc.2014.07.001. 

  32. Walsh, K. 2014. "Massive Open Online Courses on Health and Medicine: Will They Be Sustainable?." J Med Internet Res, 16(8): e197. doi: 10.2196/jmir.3798. 

  33. Wu, K. 2013. "Academic Libraries in the Age of Moocs." Reference Services Review, 41(3):576-587. doi: 10.1108/rsr-03-2013-0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