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가요 아카이브에서 '이야기'컬렉션의 의미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Story Collection in Popular Song Archiv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6 no.3, 2016년, pp.69 - 97  

진현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임진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아키비스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중가요는 오랜 시간 시대의 희노애락을 함께하였다. 또한 시대의 흐름을 함께하며 그 안에서 의미를 가지게 되기도 한다. 대중가요는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중가요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는 어떤 가수가 있었으며, 어떤 노래가 있었는지, 어떤 가수가 어떤 노래를 불렀는지에 대한 기록을 어떻게 아카이빙할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따라서 기존의 대중가요 아카이브에는 그 노래가 유행하던 시대의 사회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중가요와 그 당대의 사회상을 함께 아카이빙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방법으로 '이야기'컬렉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야기 안에는 음악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대중의 삶을 반영하고 그 노래가 유행하던 당대의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대중가요사를 넘어 우리가 속해 있는 사회를 더욱 입체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을 기대해 볼 만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a long time, popular songs have been our source of happiness. They go along with the flow of the generation, allowing them to acquire a significant meaning. Popular songs thus reflect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in the study of popular song archives, there has been an interest only in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대중음악의 역할은?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대중음악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모티브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작품의 제목으로 활용되거나 작품의 배경 및 정서적 분위기로 표현된다. 둘째, 극의 전달요소의 기능으로 대중가요의 노래 가사가 뮤지컬 넘버의 대사로 바뀌면서 이야기를 전달하고 어느 장면에서의 배경음악이나 전환음악으로 사용되며 전달요소의 기능을 한다. 셋째, 관객층 확보에 효과적인 마케팅 기능을 하며 관객과 공감대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대중음악의 사용은 관객으로 하여금 뮤지컬에 사용된 음악과 그 시대를 실제로 즐기고 보냈던 세대가 무대로의 변화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하고, 다시 한 번 음악을 즐기고 그때를 추억하기 위한 좋은 요소로 관람욕구를 자극시킨다(박수연, 2013, p.
주크박스 뮤지컬이란 무엇인가? 주크박스 뮤지컬이란 대중에게 이미 발표한 바 있는 인기곡을 뮤지컬 스코어로 활용한 무대용이나 영화용 뮤지컬을 말한다. 뮤지컬에 이용되는 노래들은 극적 구조에 맞게 맥락화 된다.
음악영화를 세분화하면 어떤 것이 있는가? 이처럼 음악영화의 장르적 특성은 기본적으로 음악을 중심으로 극을 진행하는 영화, 즉 내러티브에 음악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영화를 뜻한다. 음악영화를 좀 더 세분화 시켜보면 음악가를 다룬 다큐멘터리에서부터 음악가의 일생을 그린 전기 음악영화, 그리고 음악이 영화의 흐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영화, 감정이나 대사 등을 음악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의 영화 등 음악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모든 범주를 포함하여 음악영화라고 지칭한다(이순화, 2011, p.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29, 3-33.(Kwak, Kun-Hong (2011). A Study on a Paradigm Shift to Archives of everyday lif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9, 3-33.) 

  2. 김용학 (2015). 한국 대중가요의 의미 연결망: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1(1), 145-171.(Kim, Yong-Hak (2015). Semantic Network of Korean Pop Songs - Changing meaning Structure from 1960's to 2000's. Journal of Popular Narative, 21(1), 145-171.) 

  3. 김정아 (2013). 미디어 음악.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 김종덕, 조나현 (2008). 개인 블로그를 통한 자기기술(自己技術)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8), 128-146.(Kim, Jong-Deok & Cho, Na-Hyun (2008). Changes of Technologies of the Self by Personal Blog. The Korea Contents Society, 8(8), 128-146.) 

  5. 김지미 (2014). 1980년대를 '기억'하는 스토리텔링의 전략: 와 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대중서사연구, 20(3), 7-39.(Kim, Ji-mi (2014). The Story-telling Strategies of 'Remembering' the '80s - Sunny and The Attorney. Journal of Popular Narative, 20(3), 7-39.) 

  6. 김철웅 (2015). 노래는 위로다. 서울: 시사IN북. 

  7. 박범종 (2015). 대중가요로 읽어내는 정치와 시대상. 동북아 문화연구, 45, 169-186.(Park, Beom-Jong (2015). Politics and The phases of the times reading with Popular Songs.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45, 169-186.) 

  8. 박성서 (2010).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과 증언. 서울: 책이 있는 풍경. 

  9. 박수연 (2013). 한국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사용된 대중음악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Bak, Su-Yeon (2013). A Study on Popular Music Used in Korean's Jukebox Musical - A Focus on Variation and Function -.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rts and Design, Department of Musical, Theatre, Prodution, Diret, Act.) 

  10. 박재환,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 (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파주: 한울아카데미. 

  11.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32, 3-44.(Seol, Moon-Won (2012). Building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2, 3-44.) 

  12. 신동흔 (2009). 현대의 여가생활과 이야기의 자리: 생활현장 속 이야기문화의 회복을 위하여. 실천민속학회. 실천민속학연구, 13, 5-34.(Shin, Dong-Hun (2009). Leisure in Modern Life and Storytelling Assemblies - For Revival of Storytelling Culture in Everday Life. The Study of Practice Folkloristics, 13, 5-34.) 

  13. 심성보 (2011). 일상 아카이브즈를 통한 생활세계 연구의 가능성.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국제한국학연구, 5, 93-109.(Sim, Sung-bo (2011). Possibility of the Studies on the Everyday World by Using an Archives of Ordinary Life. The Jounal of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5, 93-109.) 

  14. 안병직 (2012). 한국 생활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역사학회. 역사학보, 213, 409-423.(Ahn, Byung-Jik (2012). Some Reflections on Kiho Song's Study on Daily Life in Korean History. The Korean Historical Review, 213, 409-423.) 

  15. 앙리 르페브르 (2005). 현대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역). 서울: 기파랑. (원전 발행년 1990). 

  16. 우정권 (2009). 문명의 변화와 내러티브. 서울: 월인. 

  17. 이순화 (2011). 1960년대 한국 음악영화에 나타난 신파성.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영화전공.(Lee, Soon-Hwa (2011). Sinpa of Korean music films in the 1960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Dept. of Theater & Film.) 

  18. 이형수 (2012). 대중음악가 아카이빙 방안 -김광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사학과.(Rhee, Hyung-Soo (2012). The Methods of Archiving for Pop Musicians' Records - Centering around the Relics and Records of Kim Kwang Seok -.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19. 장유정, 서병기 (2015). 한국 대중음악사 개론. 파주: 성안당. 

  20. 전호순 (2012). 대중가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조용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Jeon, Ho-Soon (2012). A Study on the Establishing of Popular Singer Digital Archives - Case Study of Cho,Yong-Pil -.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ves Management.) 

  21. 정효진 (2016). 주크박스 뮤지컬에서 사용되는 김광석의 음악에 관한 연구: 뮤지컬 그날들과 바람이 불어 오는곳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대중공연예술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전공.(Jung, Hyo-Jin (2016). A Study on the Kim Gwang-seok's songs Applied in Jukebox Musical: Focused on the Study on Musicals; "That Day" and "Where Wind Comes from".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rt & Design.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22. 조정임 (2010). 대중음악 기록관의 구축과 기록관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Cho, Jung-Im (2010). Establishment and Records Management of Popular Music Archiv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ansin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ves Management.) 

  23. 주혜성 (2013). K-POP 아카이브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기록물관리학전공.(Ju, Hye-Seong (2013).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K-POP Archiv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Department of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Science, Major in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24. 최효진, 임진희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46, 95-152.(Choi, Hyo Jin & Yim, Jin Hee (2015). Value and Prosect of individual diary as research materials: Based on the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6, 95-152.) 

  25. 키스 젠킨슨 (1999).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최용찬 역). 서울: 혜안. (원전 발행년 1991). 

  2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음악산업백서 2014. 한국콘텐츠진흥원. 

  27. 조윤식 (2015). “[책 속을 걷다] 책장을 넘어 산을 오르자!”. moutain. 검색일자: 2016. 3. 17.http://www.emount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02 

  28. 보도자료 (2015). "다큐1 광복70년 시대의 사운드트랙 2부작(1TV, 9월24일-25일)", MyloveKBS, 검색일자: 2016. 4. 28. http://office.kbs.co.kr/mylovekbs/archives/1786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