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요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도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로, 이용자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SNS 서비스 중 자동수집이 가능한 서비스인 트위터(Twittter)를 선정, 국내외 국립기록관의 트위터 운용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이용자들의 관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NARA를 비롯해 영국의 TNA, 호주의 NAA와 국내의 국가기록원의 트윗(tweet)을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 유형 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보 유형 분석은 국립기록관이 제공하는 정보가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부응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시계열 분석은 시간의 추이에 따른 이용자의 반응 추이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국의 국립기록관 트위터 운용의 비교분석을 통해 4가지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의 트위터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Social Network Service (SNS), which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way of communication, has become a most effective tool to improve easy of information use and accessibility for users. In this paper, we chose Twitter as the most representative SNS services because of automatic crawling an...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김지현 (2015).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미국과 영국 국립기록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225-253. http://dx.doi.org/10.16981/kliss.46.3.201509.225 (Kim, Ji-Hyun (2015). A study on interactions between archives and users by using social media - based on the cases of national archives of the U.S. and the U.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225-253. http://dx.doi.org/10.16981/kliss.46.3.201509.225) 

  2. 류승연 (2014). 인지된 유용성, 사용 용이성, 유희성, 주관적 규범이 사내 SNS 확대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언론학 전공. (You, Seungyean (2014). Influence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subjective norms on enterprise in-house SNS intention to use more: Focusing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Journalism at Yonsei University.) 

  3. 박덕란, 사공복희 (2014). 국가 기록관 웹사이트에 나타난 이용자 참여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261-281. http://dx.doi.org/10.16981/kliss.45.2.201406.261 (Park, Dukran, & Sakong, Bok Hee (2014). A study on the user participatory communication tools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261-281. http://dx.doi.org/10.16981/kliss.45.2.201406.261) 

  4. 오효정, 윤보현, 최남현, 유철중, 김용 (2014). 소셜 빅데이터 내용 분석 기반 사용자 그룹별 선호지역 및 이용패턴 시각화.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2(12), 195-203. http://dx.doi.org/10.14801/jkiit.2014.12.12.195 (Oh, Hyo-Jung, Yun, Bo-Hyun, Choi, Nam-Hyun, Yoo, Cheol-Jung, & Kim, Yong (2014). Visualization for preferred locations and moving patterns according to user groups based on contents analysis in social big dat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2(12), 195-203. http://dx.doi.org/10.14801/jkiit.2014.12.12.195) 

  5. 유훈식 (2010).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SNS의 인터랙션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 전공. (You, Hunsik (2010). A study on interaction characteristic of social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communication typ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Department of Digital Media Design.) 

  6. 이귀영, 김지현 (2015). 중앙행정기관의 소셜미디어 아카이브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3), 141-16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3.141 (Lee, Gwi-Yeong, & Kim, Jihyun (2015).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social media archive to the central gover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5(3), 141-16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3.141) 

  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과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6). A study on usage and trends of SNS. Gwacheon: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8. 최정원, 강주연, 박준형, 오효정 (2016). 공공기록관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 및 이용자 관심도 분석: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3(2), 135-156.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2.135 (Choi, Jungwon, Gang, Juyeon, Park, Junhyeong, & Oh, Hyo-Jung (2016). A study on social media usage of government archival services and users' interestedness: Focused 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2), 135-156.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2.135) 

  9. Alam, L., & Lucas, R. (2011). Tweeting government: A case of Australian government use of Twitter. Dependable, Autonomic and Secure Computing (DASC), 2011 IEEE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995-1001. 

  10. Fiske, J. (1990).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London: Routledge. 

  11. Kriesberg, A. (2014). Increasing access in 140 characters or less: Or, what are archival institutions doing on Twitter? The American Archivist, 77(2), 534-557. http://dx.doi.org/10.17723/aarc.77.2.7661l201544xv5qr 

  12. Westman, S., & Freund, L. (2010). Information interaction in 140 characters or less: Genres on Twitter. Proceedings of the third symposium on information interaction in context, 323-328. 

  13. Wigand, F. D. L. (2010). Twitter in government: Building relationships one tweet at a time. In Information Technology: New Generations (ITNG), 2010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 563-567). IEEE. 

  14.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6.7.5. http://www.archives.go.kr/next/organ/mainBusiness.do 

  15. Explore Your Archive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6.7.20. http://www.exploreyourarchive.org/ 

  16. NAA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6.7.5. http://www.naa.gov.au/about-us/ 

  17. NARA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6.7.5. http://www.archives.gov/about/ 

  18. TNA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6.7.5. http://www.nationalarchives.gov.uk/about/our-role/what-we-do/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