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십진분류법 기록관리학 분야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in KDC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7 no.3, 2016년, pp.25 - 50  

박수현 (전남대학교 도서관) ,  이명규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록관리학이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하지만 KDC를 비롯한 기존의 문헌분류표에서는 분류 항목 배열이 기록관리학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분류항목의 전개가 불합리한 부분이 있으며, 주제영역별 세목전개의 재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학의 학문 특성에 따라 주제영역을 기록관리 일반, 기록관리 법 정책, 기록물의 수집 선별 평가, 기록물의 조직, 기록정보서비스, 기록물 관리 및 보존, 기록관 운영, 기록관리 기관 등 8개 영역으로 설정하고, 현대 주요 문헌분류표인 KDC, DDC, NDC, UDC, LCC의 분류체계를 분석한 후, "대한민국 국가서지"의 기록관리학 분야 유별 자료현황 및 주제어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KDC 기록관리학 분야의 분류체계 수정 전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록관리학 관련 주제영역 8개 분야의 내용은 KDC 028로 통합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is being developed its own independent domains. However, the existing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 such as the KDC don't proper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This classification scheme has the irrational part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희진과 김정현(2013)은 『대한민국 국가서지』에서 체육학 분야 자료 38,585건을 추출하여 KDC 유별 자료현황 및 주제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분류기호에 상이한 자료가 집중되는 현상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기록관리학 범주에 속하는 주제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록관리학 개론서의 목차와 기록관리학 범주 관련의 선행연구 내용을 살펴보겠다.그리고 설정한 주제영역이 실제로 기록관리학의 학문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원 교과과정을 조사하여 해당 주제의 교과목 개설 여부를 파악하였다.
  • 기록관리학 범주에 속하는 주제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록관리학 개론서의 목차와 기록관리학 범주 관련의 선행연구 내용을 살펴보겠다.그리고 설정한 주제영역이 실제로 기록관리학의 학문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원 교과과정을 조사하여 해당 주제의 교과목 개설 여부를 파악하였다.
  • 기록관리학의 세부 주제영역을 연구한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록관리학’을 학문 명칭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기록관리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 및 연구영역을 조사하여 기본적인 주제영역을 고찰하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십진분류법(이하 ‘KDC'라 함), 듀이십진분류법(이하 ‘DDC’라 함), 일본십진분류법(이하 ‘NDC’라 함), 미의회도서관분류법(이하 ‘LCC’라 함) 등 현대의 주요 문헌분류표를 조사․비교하고, 대한민국국가서지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의 KDC 유별자료 현황 및 주제어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KDC 기록관리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이들 자료의 일부를 조사해 본 결과 기록관리학의 다양한 주제영역들로 세분될 수 있었으며, 일부 항목은 기록관리학의 학문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들 항목의 주제어를 분석하여 실제 자료의 세부 주제영역을 파악하고, 기록관리학의 학문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우선 1차적으로 기록관리학 범주에 속하는 주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에서 발행한 기록 관리학 분야 개론서의 목차를 살펴보았다.
  •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활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학제성이 높은 기록관리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 방안을 제안하여 관련 주제의 문헌분류 효용성을 높이고, 향후 문헌분류표나 연구분류표의 체계적인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관리학의 최초 교육과정은 어디서 시작되었는가? 국내 기록관리학의 최초 교육과정은 목포대학교 대학원에서 실시되어 1999년에는 기록관리학 협동과정이 되었고 이후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들이 늘어나면서 현재에이르고 있다. 대학의 기록관리학과 설치와 함께 학술단체로서 1999년에는 ‘한국기록관리학회’가 2000년에는 ‘한국기록학회’가 설립되었다.
기록관리학의 학문 영역은 특성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하지만 KDC를 비롯한 기존의 문헌분류표에서는 분류 항목 배열이 기록관리학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분류항목의 전개가 불합리한 부분이 있으며, 주제영역별 세목전개의 재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학의 학문 특성에 따라 주제영역을 기록관리 일반, 기록관리 법 정책, 기록물의 수집 선별 평가, 기록물의 조직, 기록정보서비스, 기록물 관리 및 보존, 기록관 운영, 기록관리 기관 등 8개 영역으로 설정하고, 현대 주요 문헌분류표인 KDC, DDC, NDC, UDC, LCC의 분류체계를 분석한 후, "대한민국 국가서지"의 기록관리학 분야 유별 자료현황 및 주제어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KDC 기록관리학 분야의 분류체계 수정 전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록관리학 관련 주제영역 8개 분야의 내용은 KDC 028로 통합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국내에서 기록관리 분야의 학술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기록관리학은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이하 ‘기록물관리법’이라 함)이 제정되면서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이 법은 기록관리의 제도적 근거일 뿐만 아니라 전문직 인력 양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 기록관리 분야의 학술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국립중앙도서관. 2013. "대한민국국가서지 2012".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3. 2012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 김규환, 장보성, 이현정. 2009.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분야의 연구영역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417-439. (Kim, Gyu-Hwan, Bo-Seong Jang, and Hyun-Jung Yi. 2009.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in Korea: Based on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of Article Titles."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417-439.) 

  3. 김수정. 2013. KDC 제6판 디자인학 분야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3): 53-72. (Kim, Soojung.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Design Field in the 6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3): 53-72.) 

  4. 김정하. 2007. "기록물관리학 개론". 서울: 아카넷. (Kim, Jung-Ha. 2007. European archival science. Seoul: Acanet.) 

  5. 김정현. 2012.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의류학 분야의 수정 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01-120. (Kim, Jeong-Hyen. 2012. "The Improvements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Field in the 5th Edition of KDC."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101-120.) 

  6. 김정현. 2014.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관광학 분야의 분류체계 수정 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 103-123. (Kim, Jeong-Hyen. 2014. "The Improvements of the Tourism Field in the 6th Edition of KDC."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103-123.) 

  7. 김정현, 문지현. 2001. 한국십진분류법 농학류의 분류기호 수정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1): 223-248. (Kim, Jeong-Hyen and Ji-Hyun Moon. 2001. "A Study on the Revision and Extension for Agricultural Field of the KDC."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1): 223-248.) 

  8. 김희정. 2005.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207-224. (Kim, Hee-Jung. 2005. "A Study on Comparison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3): 207-224.) 

  9. 문지현, 김정현. 2009. 어린이도서 분류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27-46. (Moon, Ji-Hyun and Jeong-Hyen Kim.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brary Classificatio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27-46.) 

  10. 박희진. 2014. Archivaria 리뷰를 통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99-125. (Park, Heejin.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in North America through the Review of Archivaria."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14(4): 99-125.) 

  11. 이재윤, 문주영, 김희정. 2007.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45-372. (Lee, Jae-Yun, Ju-Young Moon, and Hee-Jung Kim. 2007.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al Science in Korea with Text Mining."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345-372.) 

  12. 이희진, 김정현. 2013.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체육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301-317. (Lee, Hee-Jin and Jeong-Hyen Kim. 2013. "The Improvements of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in the 6th Edition of KDC."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301-317.) 

  13. 장로사, 김유승. 2009. 한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87-100. (Chang, Ro-Sa and You-Seung Kim. 2009.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cience in Korea: Focused on the Information Scienc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87-100.) 

  14. 최정태. 2006. "기록학 개론". 개정판. 서울: 아세아문화사. (Choe, Jung-Tai. 2006. An introduction to archival studies. Seoul: The Asian Culture Press.) 

  15. 최정태 외. 2005. "기록관리학사전". 파주: 한울. (Choe, Jung-Tai et al. 2005. The glossar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aju: Hanol.) 

  16.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기록관리론". 3판. 성남: 아세아문화사.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2013.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3rd ed. Seongnam: The Asian Culture Press.) 

  17.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Dictionary of records and archival terminology. Seoul: Yuksabipyungsa.) 

  18. 한국도서관협회 분류분과위원회. 2013. "한국십진분류법". 6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Committee of Classification,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6th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 한미경, 노영희. 2011. "기록 및 기록관리의 이해". 파주: 학술정보. (Han, Mi-kyung and Younghee Noh. 2011. Records archive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20. 日本圖書館協會. 2014. "日本十進分類法". 新訂10版.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21. Schellenberg, Theodore R. 2002. "현대 기록학개론". 이원영 역. 서울: 진리탐구. (Schellenberg, Theodore R. 2002. Modern archives. Trans. Won-Young Lee. Seou: Jinritamgu.) 

  22. Williams, Caroline. 2008. "기록관리학의 이해". 남태우, 김유승 역. 대구: 태일사. (Williams, Caroline. 2008. Managing archives. Trans. Tae-Woo Nam, You-Seung Kim. Daegu: Taeilsa.) 

  23. Dewey, Melvil. 2011.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3th ed. Dublin, Ohio: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24. National Library [online]. [cited 2016.5.20]. . 

  25.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nline]. [cited 2016.3.17]. . 

  26. Pusan National University [online]. [cited 2016.3.17]. . 

  27. Wonkwang University [online]. [cited 2016.3.17]. . 

  28. Ewha Womans University [online]. [cited 2016.3.17]. . 

  29.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nline]. [cited 2016.3.17]. . 

  30. Chung-Ang University [online]. [cited 2016.3.17]. . 

  31.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online]. [cited 2016.7.22].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