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랜스미디어 시대에서 에디큐레이션의 의미에 대한 연구 - 출판 및 만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meaning of Edi-curation in Trans-media era - Based on the comic(webtoon) and publishing content -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4, 2016년, pp.235 - 261  

박세현 (만화문화연구소 엇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터넷 및 디지털 미디어의 환경에서 미디어 수용자는 동일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장르의 콘텐츠가 디지털 미디어의 기반에서 융합, 조합, 변형, 분화, 복제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콘텐츠의 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트랜스미디어라고 한다. 트랜스미디어 시대에서 성공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에디큐레이션의 작업이 필요하다. 에디큐레이션은 큐레이터의 큐레이션 작업에 편집과 의미를 부가하는 작업 행위이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시대에서 출판 및 만화 콘텐츠의 에디큐레이션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분석했다. 에디큐레이션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의 생산자가 곧 소비자며, 소비자가 곧 생산자인 프로컨슈머/프로듀저를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다. 디지털 플랫폼과 디바이스의 다양화, 디지털 1인(혹은 SNS) 미디어의 등장 등은 출판 및 만화 콘텐츠에도 다양한 방식의 에디큐레이션을 요구한다. 미디어 생산자(혹은 수용자)의 의도에 따라 콘텐츠는 복제, 짜깁기, 분해, 해체, 하이퍼텍스트, 압축, 재구성 등의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한다. 이처럼 에디큐레이션의 작업을 거친 출판 및 만화 콘텐츠는 미디어 생산자의 작업 방식은 물론, 미디어 수용자의 콘텐츠 독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에디큐레이션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출판 콘텐츠에서 에디큐레이션 작업은 챕터나 단락의 논리성 파괴, 구어체의 문장, 카드 뉴스의 활용, 동영상 및 미디어 콘텐츠의 변형 등이 있으며, 만화 콘텐츠에서는 칸의 파괴, 말풍선, 의성어, 의태어의 다양한 변형 등을 들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a consumers in the context of the Internet and digital media are using the same content to a variety of platforms. As such, the content of various genres is converted to the form of a new content through the process of fusion, combination, transformation, differentiation, reproduction, etc on th...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김일태 외, 만화애니메이션 사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8 

  2. 김정운, 에디톨로지, 21세기북스, 2014 

  3. 발터 벤야민, 최성만 옮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 길, 2007 

  4. 사사키 도시나오, 한석주 옮김, 큐레이션의 시대, 민음사, 2011 

  5. 질 들뢰즈, 이정하 옮김, 시네마 II 시간 - 이미지, 시각과언어, 2005 

  6. 헨리 젠킨스, 김정희원, 김동신 옮김, 컨버전스 컬처, 비즈앤비즈, 2008 

  7. 김기홍, 트랜스미디어 담론에 대한 집단지성론적 고찰,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p. 265 

  8. 김지연, 오영재, 웹툰에 있어서 서사구조에 따른 공간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10권 No.3, 한국영상학회, 2012, p.131 

  9. 김치훈, 웹툰의 그림글자로 표현된 의성어.의태어의 효과성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p.230-231 

  10. 남석순, 출판콘텐츠의 다중 미디어 확산 전략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제37권 제2호, 한국출판학회, 2011, p127-128 

  11. 남정은,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p.32-33 

  12. 목혜정, 웹툰의 사운드 표현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p.478-479 

  13. 서성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의 가능성과 한계,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2015, p.282 

  14. 윤보경, 디지털 화면에 구현된 한국의 웹툰과 프랑스 만화의 차이점,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p.96-98 

  15. 이용욱, 디지털서사체의 미학적 구조, 비평문학, 한국비평문학회, 2009, p.217 

  16. 이호영 외, 컨버전스 시대의 트랜스미디어 이용자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p.11 

  17. 전경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 2010, p.247 

  18. 정규하, 윤기헌, 웹툰에 나타난 특징적 말칸에 대한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p.393 

  19. 정소영, 빅데이터 시대에 카드뉴스의 유형과 활용 현황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4), 한국디자인문학학회, 2015, p.610 

  20. 최보람, 노선, 박진완, Scroll Tracking 실험을 통해 분석한 웹툰의 연출 기법, 디지털디자인학연구12(3),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p.41 

  2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0387&cid42617&categoryId42617, 2016, 07, 10 

  2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7045&cid42107&categoryId42107, 2016, 07, 10 

  2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6526&cid41810&categoryId41812, 2016, 07, 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