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버스, 승용차 O/D를 활용한 지방도시권의 교통네트워크 분석
An Analysis on Traffic Networks of Local Metropolitan area Based on Express Bus and Car O/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559 - 569  

장환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  김남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교통연계성에 따른 각 권역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우리나라의 국토공간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지역 간 흐름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향후 권역별 발전방향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교통DB센터에서 제공하는 2010년 전국 고속버스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단위의 교통 연계성을 먼저 살펴보고, 그 이후, 2010년 승용차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도, 서울특별시 등 총 7개 권역(125개 시군+서울특별시)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권역 내 교통연계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수도권과 전라권, 경상권을 중심으로 하는 교통연계성이 강하게 나타남과 동시에 각 권역별로 내 외부 연계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곧 권역마다 차별적인 발전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근거를 시사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계성 분석결과와 더불어 대표적인 지역진단지표인 성장잠재력과 결합한 권역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토공간의 균형적 발전과 각 권역별 맞춤형 정책개발 및 발전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flow between regions based o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erritory and characterized the flow patterns by analyzing regional networks via transportation connectivity. To accomplish this, transportation connectivity of the entire nation was examined using 2010 national express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속버스 O/D, 승용차 O/D자료를 기반으로 각 권역별 교통연계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성장잠재력과 연계하여 권역의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전국의 각 시군이 나아가야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연계성에 따른 각 권역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우리나라의 국토공간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지역 간 흐름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특징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교통DB센터에서 제공하는 2010년 전국 고속버스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단위의 교통 연계성을 먼저 살펴보고, 그 이후, 2010년 승용차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도, 서울특별시 등 총 7개 권역(125개 시군+서울특별시)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권역 내 교통연계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서울특별시는 우리나라의 수도라는 위계적 특성과 공간적 영향력을 고려하여 서울시 내부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 본 절에서는 2010년 고속버스 통행량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단위의 교통 연계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권역 단위의 세부 연계성을 살펴보기 전에 전국단위의 교통연계성을 살펴보는 것은 국토공간구조의 거시적 흐름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수행될 권역별 교통연계성의 특징과 결부되어 국토공간 정책의 기반으로 작용하기 위함이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연계성에 따른 각 권역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우리나라의 국토공간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지역 간 흐름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특징 및 발전방향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근통학지표의 영역성을 보완하고, 보다 포괄적 범위를 가지는 O/D자료를 이용하여 지역 간 연계성에 대한 합리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통근통학자료 외 고속버스, 승용차 O/D자료로 도시 간 연계흐름 파악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권역의 연계성 정도와 성장 잠재력의 수준으로 구분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성장잠재력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권역의 연계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연계성과 더불어 권역의 특성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14].
  • 국내외에서는 지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교통O/D를 활용한 공간연계적 흐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절에서는 교통O/D를 활용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해보고, 이를 통해 본 연구가 가지는 독창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ST 분석 방법은? MST 분석 방법은 결절점 간 Weight(Distance, Time, Cost 등)이 최소가 되도록 모든 결절점을 연결하는 방식이며, 각각의 결절점 간 Flow가 가장 큰 연결부터 차례로 연결시켜 나가는 알고리즘에 분석의 기반을 두고 있다[12].
위계적 공간질서를 파악하는 작업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권역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들은 지역 간 유기적인 연계를 맺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간 흐름을 통해 권역 내의 위계적인 공간질서가 출현하게 된다[2]. 이러한 위계적 공간질서를 파악하는 것은 지역 특성을 도출하고 각종 계획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작업은 곧 권역 내 각각의 지역마다 특화된 기능을 담당하고 다른 도시의 기능을 서로 공유하며 상생함으로써 해당권역의 균형적 발전을 추구하는 도시권 육성 대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능적 연계성을 바탕으로 권역 내 지역들의 실질적인 연계·위계 구도를 파악하고 맞춤전략을 마력하는 것이 필요한가? 그러나 이러한 5+2 광역경제권 정책은 광역시를 포함한 도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권역 내에서 발생하는 지역 간 연계성, 중심성 등 실증적 분석에 기반한 추진전략을 마련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실제 시행된 광역경제권 정책은 대도시 위주의 성장 정책과 기반 인프라 구축, 선도 프로젝트 추진 등에 그쳐 지역단위의 실질적인 사업효과성을 드러내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eong, Y. Y; Moon, T. H; Heo, S. Y; 2013.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y and Network City Develop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2); 35-50. 

  2. Jang, H. Y; Moon, T. H; 2012, Establishing city region based on connectivity and their development direction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1); 5-18. 

  3. Kim, K. C; 2002.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Central Place System in K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 Geographic Society, 36(3); 179-189. 

  4. Han, S. Y; 2006. An Analysis of Degree of Visitor Concentration of Forested National Parks Using the Gini Coefficients and Lorenz Curve, Journal of Korea Forestry Society, 95(4); 476-483. 

  5. Kim, J. H; 2010. Changes in Healthcare Utilizations of Cancer Patients since the Launch of KTX,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Railway, 13(2); 236-243. 

  6. Yang, O. H; 1979. A Study on the Urban System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Long Distance Telephone Calls between Cities, Journal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9(1); 203-223. 

  7. Sin, S. Y; 2003. Jobs-Housing Accessibility and Commuting: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8(4); 73-87. 

  8. Nam, Y. W; Han, M. H; W, G. S; 2005. The regional linkage systems of Seoul Metropolitan Area by trip mod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8(1); 7-16. 

  9. Son, S. H; 2007. The Changes and Time-Space Patterns of Spatial Interac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3); 421-433. 

  10. Lee, H. Y; Kim, H. J; 2006.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Commuting Network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9(1); 91-111. 

  11. Kim, B. S; Jeong, M. W; Jeon, S. E; Shin, D. B; 2015. Global Research Trends on Geospatial Information by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1); 69-77. DOI: http://dx.doi.org/10.9708/jksci.2015.20.10.069 

  12. Lee, K. S; Park, J. S; 2006, Travel Patterns of Transit Users in the Metropolitan Seoul,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9(3); 379-395. 

  13. Lee, S. D; Ji, W. S; Lee, S. J; Park, S. Y, Inter-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Co-prosperity of Gyeonggi-Do and Gangwon-Doon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 1-138, Gyeonggi Development Institute, 2011. 

  14. Noh, S. C; Sim, J. H; Lee, H. Y; 2012. A Study on the Delimitation of City-Regions based on Inter-Regional Functional Linkag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5(3); 23-43. 

  15. Kim, T. H; 2004. The Evaluation of Local Capacity for the Self-sustaining Development in Korea(I),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6. Lee, Y. E; Choe, S. C; 2007. An Empirical Analysis on Urban Growth Potential and Land Development Capabilities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2(4); 45-58. 

  17. Kim, H. B; Moon, D. J; Park, J, H; 2008. Indicator Development for Regional Diagnosis and Economic Growth Strateg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3(1); 183-196. 

  18. Hong, J. H; 2005. Decentralization and Disparities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and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s, Public Policy Review, 19(1); 165-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