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도시유형별 내부 인구이동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on Internal Population Mig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737 - 744  

김상원 (화성시청 기획예산담당관) ,  이훈래 (상지영서대학교 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간 인구이동보다는 내부 인구이동이 증가하고 있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전출입 인구현황을 파악하고, 도시유형을 분석한 후 유형별 인구이동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수도권 시 군 구별 전출입 인구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는 송파구, 인천시는 서구, 남동구, 경기도는 용인시, 화성시 등으로 인구가 집중하였다. 수도권 시 군 구간 전출입 현황에서는 수원시에서 화성시, 성남시에서 용인시로 이동하는 인구가 많았다. 고용밀도와 인구밀도를 변수로 한 도시유형분석에서는 4개의 도시유형(도심형, 자족형, 주거형, 도농형)으로 분류되었다. 도심형인 유형1은 전세가격, 도로연장, 지하철역 수, 자족형인 유형2는 총소득 증가율, 주택보급률, 도로연장, 주거형인 유형3은 주택보급률, 도시공원면적, 전세가격, 인구밀도, 도농형인 유형4사업체밀도, 주택보급률, 주택공급, 지하철역 수, 교육시설 등이 인구이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주택보급률은 전입인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인구밀도의 경우 전출인구에 영향을 주었다. 도로, 지하철역 수의 경우 도심형은 전출인구에 영향을 주었으나, 자족형과 도농형에서는 전입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형별로 각기 다른 영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changed by fierce internal migration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o determine the regional structure, we analyzed the in-and-out migration pattern and main factors affecting the intense of mobility. The migration within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e shows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구이동현상과 인구이동요인에 대해 수도권 전역에 대한 연구 분석은 많았지만, 도시유형 등 지역을 세분화해서 분석한 사례는 부족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인구 이동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수도권 도시유형을 분석하였고, 도시 유형별 인구이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사회적 인구증가가 점차 둔화되고 있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시ㆍ군ㆍ구간 내부 순이동인구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인구이동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 유형을 세분화하며, 유형별 인구이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해당 유형별 지방정부에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인구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고, 인구이동 현황과 도시유형을 구분 한다.
  • 본 연구는 사회적 인구증가가 점차 둔화되고 있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시ㆍ군ㆍ구간 내부 순이동인구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인구이동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 유형을 세분화하며, 유형별 인구이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해당 유형별 지방정부에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지역간 인구이동보다는 내부 인구이동이 증가하고 있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전출입 인구현황을 파악하고, 도시유형을 분석한 후 유형별 인구이동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 인구이동 현황은 통계청 전출입자수 자료를 활용하여 수도권 시ㆍ군ㆍ구간 순이동인구를 분석하며, 도시 유형은 인구밀도와 고용밀도를 기준으로 도시유형을 분류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형별 인구이동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수도권 내부 인구이동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인구 증가를 위해 도심지역에 필요한 정책은? 사회적 인구 증가를 위해서 도심지역(유형1)에서는 전세가격 상승, 도로 확충, 지하철역 수 증가는 인구감소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기반시설 확충보다는 주택공급 및 관리의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도심 내 산재한 국공유지를 활용하여 공공임대주택 확대나 도시정비사업 시행시 공공임대주택 건설 의무화 등을 통해 저렴한 주택공급 정책이 필요하다. 일자리, 주거, 쇼핑 및 문화 시설 등이 갖춰진 자족형 지역(유형2)에서는 총소득 증가율, 주택보급률, 도로연장이 증가할 때 인구유입이 발생하고, 인구밀도, 문화시설이 추가 증가하면 인구감소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도시의 장기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것은? 이런 인구의 이동행태는 도시계획적 측면에서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한 도시의 장기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목표년도의 총량적, 세부지역별 또는 연령집단별로 인구 예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시계획의 궁극적인 목표가 미래의 도시성장에 대비한 각종 기반시설의 확충과 도시 성장의 효율적인 관리에 있는 만큼 미래의 도시인구를 가능한 한 정확히 예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2].
수도권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은? 인구 증가의 대부분은 대도시로 집중했으며, 대표적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인구집중이 가장 컸다. 통계청에서 제공한 2013년 말 주민등록인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의 49.4%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 비율 변화는 지난 5년이 가장 낮은 0.57% 증가하는데 그쳤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ttp://kosis.kr/ 

  2. Korea Planning Association, Urban Planning Theory, Bosenggak, 2010. 

  3. Kim, Hong-Bae, Lee, Chang-Woo, "Development of a Migration forecasting Model with Regional Utility Using ANP Method",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4, no. 7, pp. 61-70, 2009. 

  4. Kim, Hyeong-Ki, "A Estimation of Convergent Popul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4, no. 7, pp. 185-199, 2009. 

  5. Kim, Kwang-Sik,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eoul's Urban Form",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21, no. 1, pp. 99-118, 1986. 

  6. Kim, Hong-Bae, Kim, Jae-Koo, Lim, Byung-Chul, "Model Development for forecasting Regional Population: Using Cohort-Component Method and Markov Chain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4, no. 6, pp. 139-146, 2009. 

  7. William H. Frey, "Population movement and city-suburb redistribution: an analytic framework", Demography 15, no. 4, pp. 571-588, 1978. DOI: http://dx.doi.org/10.2307/2061208 

  8. Tony Champion, "The continuing urban-rural population movement in Britain: trends, patterns, significance", Space Populations Societies 1, no. 2, pp. 37-51, 2001. DOI: http://dx.doi.org/10.3406/espos.2001.1975 

  9. Kim, Keoung-Su, Yim, Ha-Kyoung, "An the Study for Analyzing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ty Between Different Size of Regions in Dongnam Distributionke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6, no. 3, pp. 37-46, 2001. 

  10. Jeon, Yu-Shin, "A Study on Population Immigration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Development Project in Kyeonggi-do",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4, no. 5, pp. 113-123, 2009. 

  11. Byung Ho Park, Jun Yong Kim, "An Analysis if the Decline Types of Small-and-Medium Sized C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12, no. 3, pp. 125-137, 2009. 

  12. Han, In-Goo, Choi, Bong-Moon, "A Study on Urban Planning in Accordance with Urban Type in the times of Low Population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6, no. 4, pp. 59-70, 2014. 

  13. http://nland.kbstar.com/quics?pageB0259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