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ng the Influ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Migration of Popul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3 = no.49, 2020년, pp.479 - 492  

김희재 (Smart City Research Center, Kangnam University) ,  김근영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Kangnam University)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도권을 대상으로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의 66개 기초지자체는 2010~2016년 인구이동자료 분석을 통해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단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권역 내부의 인구이동 결정요인과 권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분석결과로 수도권 전 지역에서의 인구이동에서는 지역의 아파트 수 증가율, 단독·다세대주택 증가율, 고용자 수 증가율, 제조업체 증가율,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 GRDP증가율, 지하철역 신규개통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아파트 수 증가율,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 GRDP 증가율, 지하철 역 신규개통은 인구유입을 늘리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권역별로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이 1권역의 인구유입에 크게 기여했으며, 2권역에서는 지하철역 신규개통과 GRDP증가율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수 증가율과 지하철역 증가율은 3권역에서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population movement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Method: To this end, 66 basic ent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by analyzing the demographic movement data from 2010 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서 수도권 내 지역적 특성이 간과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관심을 두지 않은 수도권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인구이동에 대해 다음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인구이동 요인을 탐구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도권 66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권역을 구분하고,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이동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절반을 점유하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66개 기초지자체를 기반으로 2010~2016년 인구이동자료 분석을 통해 수도권지역을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단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각 권역별 내부의 인구이동 결정요인과 권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인구이동에 미치는 요인을 수도권 권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수도권 권역을 설정하는 것은 권역별 도시계획의 비전과 목표를 위해 사용하기도 하며, 주택시장 측면에서 주택 하위시장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도권을 대상으로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66개 기초지자체를 3개 권역으로 구분하였고, 2010~2016년 인구이동자료를 이용하여 단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권역 내부의 인구이동 결정요인과 권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의 인구 구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3가지 요인은? 지역의 인구 구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3가지 요인은 출생과 사망, 인구이동이다.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에 급속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은 행정당국과 학계의 관심 속에서 다양한 정책과 연구를 통해 핵심 정책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인구이동 관련정책과 연구들은 아직도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Choi et al.
생애주기 이론이란? 개인 효용 극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이론과 달리 인구이동을 사회학 요소에 적용한 생애주기(Life Cycle) 이론도 있다(Rossi, 1955). 생애주기 이론은 인구이동 행태가 가족 구성원 또는 개인의 생애주기와 관련하여 결정된다는 것 이다. 생애주기 이론에 따르면 생애주기에 따른 독립, 결혼, 자녀들의 교육, 개인의 노후 등에 따라 개인 또는 가족의 인구이동 행태가 결정된다.
인구구조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한 결과로 얻은 공통점은? 선행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인구이동을 결정하는 요인은 대규모 개발, 일자리, 교통, 교육, 주택가격, 지자체 재정, 공공서비스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이동을 결정하는 요인 중 일자리가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분석 대상으로 전국, 수도권 및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한 시점 또는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이동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넷째, 선행 연구들은 수도권을 하나의 주택시장으로 간주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onso, W. ( 1964). Location and Land Use: Toward a General Theory of Land Ren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2. Cho, D.-H. (2018). "A spati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prices and migration: Focusing on rental prices in the capital reg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Vol. 7, No. 3, pp. 449-462. 

  3. Choi, J.-H. (2008). "Selectivity and reasons for move of inter_provincial migrants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pital reg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1, No. 3, pp. 159-178. 

  4. Choi, S.-H., Lee, B.-H., Park, J.-H. (2016). A Study on Effects of Internal Migration in Seoul Capital Area on Employment Structure of Local Labour Markets. Basic Research 2016-14, Gyeonggi Research Institute. 

  5. Gyeonggi-Do (2012). Gyeonggi-Do Comprehensive Plan 2012-2020. Gyeonggi-Do, 71-6410000-000510-01, Suwon, Gyeonggi. 

  6. Hong, S.-H., Yu, S.-Y. (2012). "Determinants of interregional migration by age cohort among Korean cities, counties or wards." Seoul Studies, Vol. 13, No. 1, pp. 1-19. 

  7.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5). 2030 Incheon City Master Pla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cheon. 

  8. Jun, S.-J, Kang, M.-N., Park, J.-E. (2016), The Patterns of Residential Mobility and New Housing Supply in the Capital Region and the Countermeasures of Urban Management. Seminar report fro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nyang, Gyeonggi. 

  9. Kim, H.-A. (2008). "An empirical analysis of interregional migration."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Vol. 10, No. 2, pp.75-103. 

  10. Kim, H.-J., Kim, G.-Y. (2018). "Analyzing impacts of urban characteristics to employments of knowledge, culture and leisure industr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30, No. 3, pp. 65-86. 

  11. Kim, L.-Y., Yang, K.-S. (2013). "Empirical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 factors determining net inflow and outflow of the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5, No. 3, pp. 1-20. 

  1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3). Microdynamic Analysis and Policy Simulation Model on Real Estate Market in Korea(I).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HRIS2013-29, Korea. 

  13. Lee, H.-Y., Lee, S.-M. (2008). "The influence of new town development on the changes of the migration and commuting patterns in the capital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3, No. 4, pp. 561-579. 

  14. Lee, S.-I., Kim, K.-Y., Jaegal, Y. (2012). "A geocomputational approach to the delineation of housing market areas: An application to the capital reg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15, No. 3, pp. 59-75. 

  15. Lee, W.-H. (2010). A Study on the Selectivity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in Gyeonggi-Do, Basic Research 2010-1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Suwon, Gyeonggi. 

  16. McFadden, D. (1978). Modelling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In: Karlqvist, A., Lundqvist, L., Snickars, F., Weibull, J. ( eds.) Spatial Interaction Theory and Planning Models, North Holland, Amsterdam, pp. 75-96. 

  17. Min, B.-G., Park, M.-j. (2018). "Regional development implications based on residential mobility analysis in Bundang and Ilsan." Gri Review, Vol. 20, No. 43, pp. 47-68. 

  18. O'Sullivan, A. (1993). Urban economics. 2d ed. Homewood: Irwin, Boston 

  19. Rossi, P.H. (1955). Why Families Move: A Study in the Social Psy chology of Urban Residential Mobility. Free Press, Glencoe. 

  20. Seoul City (2018). 2030 Seoul Community Plan, Seoul City, Seoul 

  21. Wiseman, R.F. (1980). "Why older people move theoretical issues." Research on aging, Vol. 2, No. 2, pp. 141-154. 

  22. Yun, K.-S. (2015). "An analysis of migration characteristics in Dong-nam economic region and its implica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7, No. 2, pp.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