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AO 수산 가이드라인과 국내 수산경영학 교과와 내용 구성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Curriculum Contents between FAO Technical Guidelines and Korean Fisheries Management 원문보기

水産經營論集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47 no.3, 2016년, pp.93 - 110  

이동호 (경상대학교 수산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changes that make paradigm shift have been involved international level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 resource and structure problems in these days. Resolving those common issues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UN FAO) has played most important role in fisheri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차이는 대학생을 대부분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수산경영학 교육과 수산업의 경영자를 대상으로 하는 FAO 가이드라인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완전히 두 내용이 상반되거나 독립된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 대학에서의 수산경영학 교과목의 교육내용에 책임 있는 수산업 가이드라인을 포함하여 수산경영학 교육에 어떠한 내용들이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 물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육내용의 구성이 완벽하거나 절대적인 것은 결코 아니며,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서 그 구성이 변화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연구의 제안을 시작으로 학계와 연구자들 그리고 실무담당자들이 수산경영학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을 위한 담론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이후에서 제안하는 교육구성 내용의 범주화는 연구자의 관점이나 시각에 따라서 상당히 다르게 존재할 수도 있기에 건설적인 비판을 통해서 충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 물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육내용의 구성이 완벽하거나 절대적인 것은 결코 아니며,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서 그 구성이 변화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연구의 제안을 시작으로 학계와 연구자들 그리고 실무담당자들이 수산경영학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을 위한 담론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이후에서 제안하는 교육구성 내용의 범주화는 연구자의 관점이나 시각에 따라서 상당히 다르게 존재할 수도 있기에 건설적인 비판을 통해서 충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 여기서 FAO 가이드라인이 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독자적인 주제로 구성할 것인가 아니면 각 개별주제에 병렬식으로 해당부분을 서술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일장일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자적인 내용으로 정보기술관리, 지속가능어업, 경영전략 등의 주요주제로 구성에 포함하는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지속가능한 산업으로서의 수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국내의 실정과 현실을 반영하고 세계적인 추세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FAO의 책임 있는 수산업 기술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전반적인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와 함께 국내 대학에서 강의되는 수산경영학 교과의 내용을 함께 비교하여 분석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서 수산경영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야 될 주제나 내용들에 대한 부분을 규명하고 향후 수산경영학의 교육내용에 필요한 변화와 보완될 부분들에 대해서 논의하도록 하였다.
  • 연구에서는 이러한 FAO의 문서들 중에서 수산경영학과 관련된 문서를 검토하고 이를 국내 대학에서 교육되고 있는 수산경영학 교과목의 구성내용을 분석하여 주요한 주제들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학 교과목의 구성내용의 경우 상당한 부분의 내용들이 현시점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들이 많았으며, 특히 다른 특수 분야의 경영학의 경우와는 달리 최근성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산경영학 교과목의 다양한 내용과 주제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는데, 아직 그 수준이 완벽하다고 보기는 어려워서 향후 지속적인 검토와 논의를 통하여 개선되어야 될 부분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FAO의 책임 있는 수산업 기술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전반적인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와 함께 국내 대학에서 강의되는 수산경영학 교과의 내용을 함께 비교하여 분석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서 수산경영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야 될 주제나 내용들에 대한 부분을 규명하고 향후 수산경영학의 교육내용에 필요한 변화와 보완될 부분들에 대해서 논의하도록 하였다.
  • 특히 수산경영학 연구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연구가 수산정책이라는 점과 수산업의 태생적 특성상 한정된 자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기에 발생하는 자원관리 부분 그리고 그 자원관리나 수산업의 전반적 큰 틀을 결정하게 하는 수산관련 법규나 정책에 대한 내용들이 향후 보완되어야 할 부분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더구나 현재 대학에서 수산경영학의 교육교재로 사용되는 저서들이 거의 10년 이전에 출판된 것이기에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고 보기에는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AO에서 수산경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문서에는 무엇이 있는가? FAO에서 출판된 책임 있는 수산업 관련 문서들 중에서 수산경영과 관련된 다수의 문서들이 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대표적인 문서로는 책임 있는 수산업 기술 가이드라인에 속하는 Fisheries Management와 수산업 기술 문서(Fisheries Technical Paper) 424 A Fishery Manager’s Guidebook을 꼽을 수 있다. 이후에서는 이 두 문서를 중심으로 논의하도록 한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의 설립 목적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는 국제연합(UN)기관 중 하나로‘인류의 생활 및 영양 수준 개선, 식량 생산 및 분배 효율성 개선, 농촌 주민의 생활수준 향상, 세계 경제발전과 인류 기아퇴치에 기여’를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Korea FAO Association, 2015). FAO에서는 농수산업 및 식량분야에서 정기적으로 많은 문서들을 출간하고 있는데, 수산분야에서는‘책임 있는 수산업 기술 가이드라인(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이라는 주제의 문서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임 있는 수산업이 수산업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된 이유는? FAO에서는 농수산업 및 식량분야에서 정기적으로 많은 문서들을 출간하고 있는데, 수산분야에서는‘책임 있는 수산업 기술 가이드라인(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이라는 주제의 문서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임 있는 수산업이라는 주제가 수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된 이유는 선행연구(Lee, 2015b)에서 그 과정과 절차 그리고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지만, 간략하게 요약을 하면 수산자원의 감소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수산질서의 확립(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을 위해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자원관리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그리고 국제관계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산업으로서 수산업이 존재하기 위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J. Y. (2007),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Hae-Am. 

  2.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http://fba.ac.kr/?zcontents.subject01. 

  3. Department of Marine Business & Economics, http://mbe.pknu.ac.kr/sub02/sub01.asp. 

  4.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1995 & 2011), Code of Conduct for Responsible Fisheries. 

  5.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1996-2015), 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6.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1997), Fisheries Management. 

  7.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2002), A Fishery Manager's Guidebook. 

  8.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5), http://www.fao.org/fishery/publications/ technical-guidelines/en. 

  9. Jang, S. H. (1986), "A Study on the Essence of the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Part I The subject of study,"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17 (1), 16-39. 

  10. Kim, W. S. (1998),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Gu-Duk. 

  11. Korea FAO Association(2015), http://www.fao.or.kr/unfao/a_greeting.php. 

  12. Lee, D. H. and Jung, L. S. (2007), "A Bibliometric Analysis and Keyword-based Meta-Analysis of Fisheries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8 (2), 1-24. 

  13. Lee, D. H. (2014), "An Analysis of the Course Fulfillment Change in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urriculum with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5 (2), 39-59. 

  14. Lee, D. H. (2015a), "Study of Curriculum Construction and Changes in High School Textbook of the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General,"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 (5), 1343-1351. 

  15. Lee, D. H. (2015b), "Study on Implications, Constructions and Changes of the FAO 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 (6), 1717-1726. 

  16. Lee, D. H. (2016), "Study of Contents Construction Analysis in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Focused on High School and College Textbook,"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In Press. 

  17. Lee, D. H., Choi, M. G. and Song, J. H. (2008), "An Analysis of Curricular Constitution and Change in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9 (3), 139-170. 

  18. Lee, S. R. (1993), "The Problem of Fisheries Economics Arising from the Liberalization of korean Economy,"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24 (1), 65-84. 

  19. Ma, Imyoung (1998), COFI Responsible Fisheries'progress and countermeasure, KMI Fisheries Review, 168, 36-48. 

  20.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 http://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8921. 

  21.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MOMAF, 1998), The Code of Conduct for Responsible Fisheries, MOMA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