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새꼬막 주 생산해역인 전남 여자만에 대하여 해수 및 패류의 세균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위생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동 해역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물 등급기준에 따른 해역분류 및 한국패류위생계획에 근거한 '수출용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4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여자만에 설정한 50개소의 조사정점별 해수의 위생지표세균 조사결과, 대장균군분변계대장균 수의 범위는 각각 <1.8~5,400 및 <1.8~350 MPN/100 mL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동식물 생산해역 등급설정 기준'(MOF, 2013a)에 따라 청정해역의 기준에 충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출용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 지정을 위해서는 미국이나 유럽연합 등의 기준을 충족하여야 하며 본 조사결과 미국의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U.S. FDA, 2016)에 따라 해수의 수질은 허가해역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여자만은 주변에 오염원이 산재해 있고 강우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오염원 관리가 수반되어야 하는 조건부 허가해역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유럽연합의 Regulation (EC) No 854 (European Commission, 2004)에 근거하여 여자만의 패류(새꼬막)는 계절적 또는 시기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해역 분류기준 중 Class B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시기에 따른 분류(6~10월은 Class B, 11-5월은 Class A)도 가능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여자만의 위생안전성을 확보하고 외국으로 패류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오염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체계적인 오염원 현황파악 및 영향평가가 수반되어야 하며, 패류에 대한 중금속 및 패류독소 등의 추가조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sanitary state of seawater and shellfish in Yeoja bay from January 2014 to June 2016. The sampling stations for sanitary survey in Yeoja Bay was composed of 50 stations for seawater and 4 stations for ark shell and the samples have been collected monthly at a stated dat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새꼬막 주 생산해역인 전남 여자만에 대하여 해수 및 패류의 세균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위생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동 해역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물 등급기준에 따른 해역분류 및 한국패류위생계획에 근거한 수출용 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물 등급기준에 따른 해역분류 및 한국패류위생계획에 근거한 ‘수출용 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새꼬막 주 생산해역인 전남 여자만에 대하여 해수 및 패류의 세균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위생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동 해역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물 등급기준에 따른 해역분류 및 한국패류위생계획에 근거한 수출용 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새꼬막 주 생산해역인 전남 여자만에 대하여 해수 및 패류의 세균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위생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동 해역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물 등급기준에 따른 해역분류 및 한국패류위생계획에 근거한 수출용 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류는 어떤 형태로 먹이를 공급하는가? 패류는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식(Filterfeeding) 으로 먹이를 공급하기 때문에 서식하는 환경이 오염되었을 경우, 패류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패류가 생산되는 해역이 주변의 육․해상오염원들의 영향으로 오염되었을 경우 패류는 먹이섭이 과정에서 이러한 오염물질을 농축할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오염된 패류 섭취로 인한 식중독 사고 또한 자주 보고되고 있다(Prato et al.
해역의 위생조사에서 기본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위생조사의 기본이 되는 것은 해수 및 패류의 분변오염 정도의 파악에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인 축의 분변에서 유래하는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및 Escherichia. coli (E. coli)의 농도를 파악하여 해역을 분류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해수의 대장균군 또는 분변계대장균의 농도에 따라 허가해역, 제한해역 및 금지해역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의 경우는 패류의 E.
패류가 생산되는 해역이 위생관리가 수반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패류는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식(Filterfeeding) 으로 먹이를 공급하기 때문에 서식하는 환경이 오염되었을 경우, 패류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패류가 생산되는 해역이 주변의 육․해상오염원들의 영향으로 오염되었을 경우 패류는 먹이섭이 과정에서 이러한 오염물질을 농축할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오염된 패류 섭취로 인한 식중독 사고 또한 자주 보고되고 있다(Prato et al., 2004; Sh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P.H.A.(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47. 

  2. Choi, Minkyu.Kim, Hyung Chul.Hwang, Dong-Woon.Lee, In-Seok.Kim, Young-Sook.Kim, Ye-Jung & Choi, Hee-Gu(2013).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Shellfish Farming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6, 424-436. 

  3. European Commission(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ic rules for the organization of official control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icial journal European Communities. L139, 206-321. 

  4. Ha, Kwang Soo.Yoo, Hyun Duk.Shim, Kil Bo.Kim, Ji Hoe.Lee, Tae Seek.Kim, Poong.Lee, Hee Jung & Yu, Hong Sik(2013). The effect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around the port of Jeokyang and Jangpo after rainfall events on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the Changseon area,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6, 160-167 

  5. ISO(2015). Microbiology of the food chain-Horizontal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beta-gluccuronidasepositive Escherichia coli Part 3: Detection and most probable number technique using 5-bromo-4-chloro-3-indoly- $\beta$ -D-glucuronid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6649-3. 

  6. Kim, Hyung-Chul.Lee, Won-Chan.Kim, Jong-Gu.Hong, Sok-Jin.Kim, Kyoung-Mi.Cho, Yoon-Sik.Park, Sung-Eun & Kim, Jin-Ho(2011). Assessment of permissible inflow loa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Yeoja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7, 345-356. 

  7. Kwon, Ji-Young.Park, Kunbawui.Song, Ki Cheol.Oh, Eun-Gyoung.Lee, Hee-Jung.Kim, Ji Hoe & Son, Kwang-Tae(2012).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water in Kamak bay,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5, 460-464. 

  8. MOF(2013a). Classification Standard of sedentary Fisheries growing area.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rticle 2013-154. 

  9. MOF(2013b). Designation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forexport.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rticle 2013-153. 

  10. MOF(2016). Korean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1. Oh, Jun-Young(2014). Analysis of the inhabited environment and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 of useful shellfish harvested from Yeoja bay. Department of Fisheries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 Park, Kunbawui.Jo, Mi Ra.Kim, Yeon Kye.Lee, Hee Jung.Kwon, Ji Young.Son, Kwang Tae & Lee, Tae Seek(2012).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inland pollution sources after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Narodo area,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5, 414-422. 

  13. Prato, R..Lopalco, P. H..Chironna, M..Barbuti, G..Germinario, C. & Quarto M.(2004). Norovirus gastroenteritis general outbreak associated with raw shellfish consumption in South Italy. BMC Infectious diseases. 4, 37 

  14. Shin, SoonBum.Oh, Eun-Gyoung.Lee, Hee-Jung.Kim, Yeon-Kye.Lee, Tae Seek & Kim, Ji-Hoe(2014). Norovirus quantification in oysters Crassostrea gigas collected from Tongyeoung,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7, 501-507. 

  15. Todd, K. E. & Campbell, A. R.(2002). Growing area 1508 sanitary survey report. Marlborough Public Health Unit, Marlborough, New Zealand, 58. 

  16.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2016).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Retrieved from http://www.fda.gov/Food/GuidanceRegulation/FederalStateFoodPrograms/ucm2006754.htm on August 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