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on Chronic Stroke Patients'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0, 2016년, pp.711 - 718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덕주 (청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능력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A병원에 내원한 뇌졸중 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과제 훈련은 전 후 평가를 제외한 총 4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버그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TS FreeEMG 300(BTS FreeEMG 300, BTS, Italy)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이중과제 훈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BBS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p<.05), CCR값에서도 어깨 및 팔꿈치 관절 동작 모두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능력 및 상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with chronic stroke. For seventee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we executed dual-task training for 4 weeks, five times per week, and 30 minutes each time. Before and after the dual-tas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중 과제 훈련이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마비측 근 활성도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뇌졸중 대상 중재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대상자들의 상지기능 향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Fugle-Meyer Motor Assessment(FMA),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Jebsen hand function test 등과 같은 평가도구들이 주로 사용되어졌는데[28], 이러한 평가도구들은 상지 움직임을 질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훈련된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지만 치료사의 주관을 배제할 수 없는 평가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Dean 등[24]은 이러한 치료 효과의 전이의 결과가 두 과제 간, 혹은 두 환경 사이의 유사성에 달려 있다고 보고하면서, 훈련한 환경에서의 모습들과 실제 환경에서의 모습들이 유사할수록 치료의 효과 내지는 학습의 전이가 더 잘 일어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단순한 과제 훈련을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과제들의 동시 수행이 요구되는 일상생활에 더 가까운 이중 과제 훈련을 적용하고 환자들의 균형 능력과 상지 기능 향상 측면에서의 그 치료적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CCR값은 활동의 정해진 구간 동안 이루어진 동작에서의 측정된 주동근의 RMS값(단위: μV)에 대한 길항근의 RMS값(단위: μV)으로 계산되어지며, 중재 후 감소된 CCR값은 더욱 향상된 협응력과 좀더 부드러운 움직임을 의미한다[23]. 본 연구에서는 뻗기 활동 시 어깨 및 팔꿈 관절의 CCR값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CCR값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그림 1].
  • 본 연구에서는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조절능력과 근활성도 분석을 이용한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중과제 훈련의 결과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은 버그 균형 척도(BBS)상에서 중재 전 89.
  • 98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도구이다[21]. 본 연구에서는 중재 전후 대상자의 균형능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졌다.
  • 하지만, 뇌졸중 환자 대상 이중과제 훈련 적용 중재로 인한 상지기능 향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었으며, 그에 더하여 상지기능 향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근활성도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조절능력과 근활성도 분석을 이용한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출혈이나 허혈 등의 문제로 인하여 뇌기능이 손상되어 운동 기능장애, 인지 및 지각 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등이 동반되는 질환이다[1]. 특히, 뇌졸중 환자들의 대부분은 근력의 약화, 비정상적인근 긴장도 및 움직임 패턴으로 인해 신체적 한쪽이 마비되는 편마비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2].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어깨와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서 CCR값이 이중 과제 훈련 후 모두 음의 변화량을 보인 이유는 무엇인가? 6%으로 중재 후 어깨 및 팔꿈치 모든 관절에서의 변화가 음의 값으로 나타나, 중재 이후 두관절 동작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이중 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기능의 협응능력 향상 및 좀 더 질적인 움직임 향상을 유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기존의 근활성도를 통해서 결과 측정 및 분석을 시행하지 않았지만 이중 과제 훈련을 통해서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향상을 언급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6][17].
뇌졸중 대상 중재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의 연구를 위해 사용된 FMA, ARAT,Jebsen hand function test 등의 평가도구들이 가진 제한점은 무엇인가? 또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중 과제 훈련이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마비측 근 활성도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뇌졸중 대상 중재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대상자들의 상지기능 향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Fugle-Meyer Motor Assessment(FMA),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Jebsen hand function test 등과 같은 평가도구들이 주로 사용되어졌는데[28], 이러한 평가도구들은 상지 움직임을 질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훈련된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지만 치료사의 주관을 배제할 수 없는 평가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손과 상지의 움직임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방법은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삼차원 동작분석과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역학적이고 분석적인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29], 이 중에서도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는 동안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 L. Reed, Quick Reference to occupational therapy, Aspen Publishers Inc, 1991. 

  2. F. R. Horak, "Clinical assissment of balance disorders," Gait & posture, Vol.6, pp.79-84, 1997. 

  3. S. G. Kirker, J. R. Jenner, and D. S. Simpson, "Changing patterns of postural hip muscle activity during recovery from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Vol.14, No.5, pp.618-626, 2000. 

  4. 정미정,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의 삶의 질,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5. C. G. Canning, L. Ada, and E. Woodhouse, "Miltiple-task walking training in people with mild to moderate Parkinson's disease: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Vol.22, No.3, pp.226-233, 2008. 

  6. G. L. Pellecchia, "Dual-task training reduces impact of cognitive task on postural sway," Journal of motor behavior, Vol.37, No.3, pp.239-246, 2005. 

  7. 이예진, 정민예,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신경재활치료과학, 제5권, 제1호, pp.27-36, 2016. 

  8. Y. R. Yang, R. Y. Wang, Y. C. Chen, and M. J. Kao, "Dual-task exercise improves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8, No.10, pp.1236-1240, 2007. 

  9. K. I. Erickson, S. J. Colcombe, R. Wadhwa, L. Bherer, M. S. Peterson, P. E. Scalf, J. S. Kim, M. Alvarado, and A. F. Kramer, "Training-induced functional activation changes in dual-task processing: An FMRI study," Cerebral Cortex, Vol.17, No.1, pp.192-204, 2007. 

  10. A. Bowen, R. Wenman, J. Mickelborough, J. Foster, E. Hill, and R. Tallis, "Dual-task effects of talking while on velocity and balance following a stroke," Ages Ageing, Vol.30, No.4, pp.319-323, 2001. 

  11. J. Muhaidat, D. A. Skelton, A. Kerr, J. J. Evans, and C. Ballinger, "182 are we using the right dual tasks to detect mobility problems? perspectives from older people," Gait & Mental Function, Vol.16, No.1, pp.852-853, 2010. 

  12. I. Melzer, I. Tzedek, M. Or, G. Shvarth, O. Nizri, K. Ben-Shitrit, and L. E. Oddsson, "Speed of voluntary stepping in chronic stroke survivors under single- and dual-task conditions: a case-control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0, No.6, pp.927-933, 2009. 

  13. P. Silsupadol, V. Lugade, A. Shumway-Cook, P. van Donkelaar, L. S. Chou, U. Mayr, and M. H. Woollacott, "Training-related chages in dual-task walking performance of elderly persons with balance impairment: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Posture, Vol.9, No.4, pp.634-639, 2009. 

  14. 박해균, 이중과제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5. 김여진, 뇌졸중 환자의 이중과제 균형 훈련이 균형과 일상생화동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6. 이재한,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운동과제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 능력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7. 장연식, 백지영, 오명화, 이성아, "이중과제수행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제16권, 제2호, pp.311-331, 2012. 

  18. M. F. Folstein, S. E. Folstein, and P. R McHugh,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ic research, Vol.12, No.3, pp.189-198, 1975. 

  19.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28권, 제1호, pp.125-135, 1989. 

  20. K. O. Berg, S. L. Wood-Dauphinee, and J. I. Williams, "Measuring balance in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Vol.41, pp.304-311, 1989. 

  21. L. D. Bogle Thorbahn and R. A. Newton, "Use of the Berg balance test to predict falls in elderly persons," Physical Therapy, Vol.76, Vol.6, pp.576-583, 1996. 

  22. F. Molteni, A. Caimmi, A. Cazzaniga, G. Gasperini, E. Giandomenico, and C. Giovanzana, "Using surface dynamic electromyography during upper extremity robotic training," Europa Medicaphysica. Vol.44, No.3, pp.1-3, 2008. 

  23. M. E. Busse, C. M. Wiles, and R. W. van Deursen, "Muscle co-activation in neurological conditions," Physical Therapy Reviews, Vol.10, No.4, pp.247-253, 2005. 

  24. C. M. Dean, L. R. Carol, and M. Fransine,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Physical Therapy, Vol.81, No.4, pp.409-417, 2000. 

  25. J. J. Lee, H. J. Lee, J. H. Park, E. Y. Han, M. J. Kim, and H. Y. Jung, "The Korean version of berg balance scale as an index of activity related to ambulation in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1, No.4, pp.400-403, 2007. 

  26. 최재호, 이중과제훈련이 급성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7. 지상구, 남기원, 김명권, "운동 이중 과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3호, pp.331-345, 2012. 

  28. 김경, 김진섭, 오덕원,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의 하지와 상지 기능향상을 위한 상상연습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9권, 제4호, pp.201-220, 2010. 

  29. 정민예, 전혜선, 박흥석, 최문석, 김정란, 유은영, "편마비 환자의 강제유도운동치료가 편측 상지의 운동 형상학적 변수에 미치는 효과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7-80, 2007. 

  30. H. E. J. Veeger, D. J. Magermans, J. Nagels, E. K. J. Chadwick, and F. C. T. van der Helm, "A kinematical analysis of the shoulder after arthroplasty during a hair combing task," Clinical Biomechanics, Vol.21, pp.39-44, 2006. 

  31. 황규연, 씨름 샅바 잡기유형별 상지의 근전도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2. H. Ma and C. A. Trombly,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reaction time and movement kinematics in elderly peop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8, No.2, pp.150-158, 2004. 

  33. J. E. Cooper, E. Shwedyk, A. O. Quanbury, J. Miller, and D. Hidebrand, "Elbow joint restriction: effect on functional upper limb motion during performance of three feeding activ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4, No.8, pp.805-809,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