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측 집중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manual Intensive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2, 2020년, pp.119 - 135  

홍호진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정란 (가톨릭관동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 치매전문재활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양측 집중 훈련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양손 집중 훈련군 9명, 한손 집중 훈련군 9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양손 집중 훈련군에는 환측 손과 건측 손을 함께 사용하는 과제훈련을, 한손 집중훈련군에는 환측 손만을 이용한 과제훈련을 매 회 1시간 씩, 주 5회, 4주간 적용 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교차분석(Chi-square test),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nged rank test), 만-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집단 내 비교에서는 양손 훈련군은 자가 평가에서 일상생활 활동 수행 시 환측 상지의 사용빈도와 움직임의 질이 향상되었고, 환측 상지의 기능향상 및 양측 상지의 협응 능력에 향상을 보였다. 또한, 24시간 동안 양손 움직임의 양을 측정한 결과 건측에 비해 환측의 사용 비율이 향상 되었다(p<.05). 한손 훈련군에서도 자가 평가에서 일상생활 활동 수행 시 환측 상지의 사용빈도와 움직임의 질, 환측상지의 운동기능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는 양손 집중 훈련군에서 한손 집중훈련군보다 양손의 협응 능력과 24시간 동안의 일상생활활동에서 환측의 참여 비율에 더 큰 향상이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측의 손 기능은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양손 집중 훈련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향상에 효과가 있고 한손 집중 훈련 치료보다 양손 협응 능력과 일상생활에서 환측의 사용 비율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치료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manual intensive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emiplegic strok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bimanua...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상지 기능장애가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양손 집중 훈련군과 한손 집중 훈련 군으로 나누어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손 집중 훈련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양손 협응 능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18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양손 집중 훈련군과 한손 집중 훈련군으로 나누어 4주간 중재 후 환측 상지 운동기능의 회복과 양손의 협응 능력 그리고 일상생활활동에서의 환측과 건측의 참여도 및 움직임의 질을 평가하였다.
  • Charles와 Gordon(2006)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단순한 대칭적 또는 교대적 양측성 상지 훈련이 아닌 다양한 task를 통한 손-팔 양손 집중 훈련(Hand-Arm Bimanual Intensive Training; HABIT)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 놀이 시에 마비측의 자발적인 참여가 증진 되었으며 손상된 상지의 사용량 및 양손 협응 능력의 증가를 확인하였다고 하였다(Charles & Gordon, 2006; Gordon, Schneider, Chinnan, & Charles, 2007).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양손을 이용한 단순 반복 훈련이 아닌 양손과 팔 전체기능(뻗기, 잡기, 집기 그리고 놓기 등) 훈련을 집중적인 과제 훈련 과양손 협응 훈련을 통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의 회복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 번째로 두 군 모두 일반적인 작업치료와 물리치료를 병행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치료의 효과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양손 집중 훈련 군과 한손 집중 훈련군 간의 연령, 성별, 발병 부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치료의 효과는 비슷한 수준이라는 가정 하에 양손 집중 훈련치료의 차이점을 비교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대상자들 대부분이 90일 이후 180일 이내의 아급성기 환자였으며 환측의 손 기능이 비교적 좋은 환자들이 모집되었기 때문에 일반화에 제한점을 가지며 이는 자연적인 회복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 치료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 치료 방법으로는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CIMT)와 로봇 보조 훈련(Robot-assisted training), 거울치료(Mirror therapy), 신경근육전기 자극치료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반복 적인 과제수행훈련(Repetitive task-oriented training) 등이 사용되고 있다(Shin, Kim, Lee, & Shin, 2014).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제유도운동치료 및 한손 반복 훈련 치료는 환측 상지의 사용 및 기능 증진에는 효과적이지만 실제 생활에 많이 요구되는 양손의 협응을 경험할 기회를 박탈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Page, Sisto, & Levine, 2002).
한국판 신경근육운동발달검사란? 한국판 신경근육운동발달검사는 MDS(McCarron-Dial System)의 하위검사로 소근육과 대근육 운동의 발달정도를 평가하는 도구이다(Park & Kim, 2006). 본 연구에서는 양손 민첩성을 평가하는 막대 구슬 꿰기와 너트 볼트만을 사용하였다.
강제유도운동치료 및 한손 반복 훈련 치료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훈련과 그 훈련의 특징은 무엇인가?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제유도운동치료 및 한손 반복 훈련 치료는 환측 상지의 사용 및 기능 증진에는 효과적이지만 실제 생활에 많이 요구되는 양손의 협응을 경험할 기회를 박탈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Page, Sisto, & Levine, 2002).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적 접근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양측성 상지 훈련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양측성 상지 훈련은 건측 상지의 움직임을 통해 환측 상지의 유사한 움직임을 촉진시키고, 양측 상지의 대칭적 움직임을 통해 일차운동영역과, 보조운동영역을 활성화시켜 환측의 수의적 근수축을 촉진시키는 신경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다(Cauraugh, Coombes, Lodha, Naik, & Summers, 2009; Debaere, Wenderoth, Sunaert, Van Hecke, & Swinne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auraugh, J. H., Coombes, S. A., Lodha, N., Naik, S. K., & Summers, J. J. (2009). Upper extremity improvements in chronic stroke: Coupled bilateral load training.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7(1), 17-25. doi:10.3233/RNN-2009-0455 

  2. Cauraugh, J. H., & Kim, S. (2002). Two coupled motor recovery protocols are better than one: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and bilateral movements. Stroke, 33(6), 1589-1594. doi:10.1161/01.STR.0000016926.77114.A6 

  3. Cauraugh, J. H., Lodha, N., Naik, S. K., & Summers, J. J. (2010). Bilateral movement training and stroke motor recovery progress: A structured review and meta-analysis. Human Movement Science, 29(5), 853-870. doi:10.1016/j.humov.2009.09.004 

  4. Chan, M. K., Tong, R. K., & Chung, K. Y. (2009). Bilateral upper limb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4), 357-365. doi:0.1177/1545968308326428 

  5. Charles, J., & Gordon, A. M. (2006). Development of hand-arm bimanual intensive training (HABIT) for improving bimanual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8(11), 931-936. doi:10.1017/S0012162206002039 

  6. Cooper, J. E., Shwedyk, E., Quanbury, A. O., Miller, J., & Hildebrand, D. (1993). Elbow joint restriction: Effect on functional upper limb motion during performance of three feeding activ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8), 805-809. doi:10.1016/0003-9993(93)90005-u 

  7. Dancause, N., Barbay, S., Frost, S. B., Plautz, E. J., Chen, D., Zoubina, E. V., ... Nudo, R. J. (2005). Extensive cortical rewiring after brain injury. Journal of Neuroscience, 25(44), 10167-10179. doi:10.1523/JNEUROSCI.3256-05.2005 

  8. Debaere, F., Wenderoth, N., Sunaert, S., Van Hecke, P., & Swinnen, S. P. (2004). Cerebellar and premotor function in bimanual coordination: Parametric neural responses to spatiotemporal complexity and cycling frequency. Neuroimage, 21(4), 1416-1427. doi:10.1016/j.neuroimage.2003.12.011 

  9. Desrosiers, J., Rochette, A., Hebert, R., & Bravo, G. (1997). The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Reliability, validity and reference values studies with healthy elderly peopl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5), 270-276. doi:10.1177/000841749706400504 

  10. Gordon, A. M., Schneider, J. A., Chinnan, A., & Charles, J. R. (2007). Efficacy of a hand-arm bimanual intensive therapy (HABIT)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 trial.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9(11), 830-838. doi:10.1111/j.1469-8749.2007.00830.x 

  11. Hayward, K. S., Barker, R. N., & Brauer, S. G. (2010). Advances i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upper limb post-stroke. Physical Therapy Reviews, 15(4), 309-319. doi:10.1179/174328810X12786297204918 

  12. Hwang, J. H., Kim, H. M., & Lee, J. S. (2011). The effects of bilateral upper limb movement on the bilateral coordin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5(1), 13-25. 

  13. Jancke, L., Peters, M., Himmelbach, M., Nosselt, T., Shah, J., & Steinmetz, H. (2000). fMRI study of bimanual coordination. Neuropsychologia, 38(2), 164-174. doi: S0028-3932(99)00062-7 

  14. Jebsen, R. H., Taylor, N., Trieschmann, R. B., Trotter, M. J., & Howard, L. A. (1969).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0(6), 311-319. 

  15. Kang, J. Y. (2002).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using self-efficacy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hemiplegic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Kim, D. Y., Jeon, S. H., Kang, S. Y., & Kim, N. H. (2011). Customized estimating algorithm of physical activities energy expenditure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2), 103-111. doi:10.5392/JKCA.2011.11.12.103 

  17. Kim, J. H., Kang, H. S., Kim, W. O., Wang, M. J., & Chang, C. Mi. (2006).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 at hom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1), 49-55. 

  18. Kim, J. H., Kim, I. S., & Han, T. R. (2007). New scoring system for jebsen hand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6), 623-629. 

  19. Kim, T. H. (2015). Kinematics of bimanual complementary movemen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4), 342-349. doi:10.5392/JKCA.2015.15.04.342 

  20. Kwakkel, G., Wagenaar, R. C., Kollen, B. J., & Lankhorst, G. J. (1996). Predicting disability in stroke-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ge Ageing, 25(6), 479-489. doi:10.1093/ageing/25.6.479 

  21.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22. Lee, S. H., & Jung, M. Y. (2002). Normative data of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0(2), 119-126. 

  23. Lin, K. C., Chang, Y. F., Wu, C. Y., & Chen, Y. A. (2009).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therapy versus bilateral arm training on motor performance, daily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5), 441-448. doi:10.1177/1545968308328719 

  24. Lin, K. C., Chen, Y. A., Chen, C. L., Wu, C. Y., & Chang, Y. F. (2010). The effects of bilateral arm training on motor control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4(1), 42-51. doi:10.1177/1545968309345268 

  25. Luft, A. R., McCombe-Waller, S., Whitall, J., Forrester, L. W., Macko, R., Sorkin, J. D., ... Hanley, D. F. (2004).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and motor cortex activation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2(15), 1853-1861. doi:10.1001/jama.292.15.1853 

  26. May-Lisowski, T. L., & King, P. M. (2008). Effect of wearing a static wrist orthosis on shoulder movement during feed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4), 438-445. doi:10.5014/ajot.62.4.438 

  27. Miltner, W. H., Bauder, H., Sommer, M., Dettmers, C., & Taub, E. (1999).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patients with chronic motor deficits after stroke: A replication. Stroke, 30(3), 586-592. doi:10.1161/01.str.30.3.586 

  28. Nachev, P., Kennard, C., & Husain, M. (2008). Functional role of the supplementary and pre-supplementary motor areas. Nature Reviews Neuroscience, 9(11), 856-869. doi:10.1038/nrn2478 

  29. Noorkoiv, M., Rodgers, H., & Price, C. I. (2014). Accelerometer measurement of upper extremity movement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1(1), 144. doi:10.1186/1743-0003-11-144 

  30. Page, S. J., Sisto, S. A., & Levine, P. (2002).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chronic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1), 870-875. 

  31. Park, H. C., & Kim, J. I. (2006). The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MAND(McCarron assessment of neuromuscular development) in Korea.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6(1) 83-103. 

  32. Renner, C. I., Woldag, H., Atanasova, R., & Hummelsheim, H. (2005). Change of facilitation during voluntary bilateral hand activation after stroke.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39(1), 25-30. doi:10.1016/j.jns.2005.07.005 

  33. Shin, M. J., Kim, S. H., Lee, C. H., & Shin, Y. I. (2014). Optimal strategies of upper limb motor rehabilitation after stroke. Brain and NeuroRehabilitation, 7(1), 21-29. doi:10.12786/bn.2014.7.1.21 

  34. Stewart, K. C., Cauraugh, J. H., & Summers, J. J. (2006). Bilateral movement training and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44(1-2), 89-95. doi:10.1016/j.jns.2006.01.005 

  35. Summers, J. J., Kagerer, F. A., Garry, M. I., Hiraga, C. Y., Loftus, A., & Cauraugh, J. H. (2007).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52(1), 76-82. doi:10.1016/j.jns.2006.10.011 

  36. Taub, E., & Uswatte, G. (2000).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nd massed practice. Stroke, 31(4), 986-988. doi:10.1161/01.str.31.4.983-c 

  37. Waller, S. M., & Whitall, J. (2008). Bilateral arm training: Why and who benefits? NeuroRehabilitation, 23(1), 29-41. doi:10.3233/NRE-2008-23104 

  38. Wu, C. Y., Chen, C. L., Tsai, W. C., Lin, K. C., & Chou, S. H. (2007).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elderly stroke survivors: Changes in motor impairment, daily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3), 273-278. doi:10.1016/j.apmr.2006.11.021 

  39. Wu, C. Y., Hsieh, Y. W., Lin, K. C., Chuang, L. L., Chang, Y. F., Liu, H. L., ... Wai, Y. Y. (2010). Brain reorganization after bilateral arm training and distributed constraint- induced therapy in stroke patients: A preliminar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Chang Gung Medical Journal, 33(6), 628-6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