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대생의 농업교육훈련 만족도, 학습전이,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Learning Transfer, Learning Persistence of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Agricultural Student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3 no.3, 2016년, pp.233 - 242  

박혜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학교육혁신원)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persistence shown after actual education target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만족도 요인을 교육내용, 강사, 교육시설이나 환경 등으로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지 않았으며, 교육이나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만을 반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족도 관련 선행연구(손경옥, 2014; 정주영, 2013)에서 제시된 만족도의 다양한 유형 중 교육내용과 강사, 교육시설과 환경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구체화하여 교육내용 만족도, 강사 만족도, 교육시설 및 환경 만족도라는 다면적인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만족도 요인들이 학습전이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농업교육훈련에 참여한 농대생의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제외한 잠재변인의 모든 항목을 7점 척도로 문항 수는 변인별로 3~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농업분야에서 제공되는 현장실습 역량강화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농업인 경영체 현장실습교육의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업공동체나 농업경영체, 지역품목 실습장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기 실습형 또는 단기 실습형 체험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만족도와 실제 교육 후에 나타나는 학습 전이와 학습지속의향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Goldstein(1993)은 교육훈련에서 강사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을 촉진시키는 강사의 특성을 분석하려는 연구들이 미비하며, 교육훈련에서 강사의 능력과 전문성이 교육훈련에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대생을 대상으로 한 농업 교육훈련의 교육내용 만족도 및 교육시설 및 환경 만족도와 더불어 강사만족도를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설정하여, 위의 세 가지 만족도와 학습전이와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 전이 효과를 높이는데 있어 교육시설 및 환경 만족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현장실습 교육은 교육시설과 기자재를 활용하여 교육훈련에 참여하므로 교육시설과 기자재의 상태나 사용가능성 여부, 그리고 이와 관련된 만족도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분야는 어떠한 추세를 보이고 있는가? 농업분야는 급격한 사회변화로 농업 종사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업계 고교 및 대학 졸업생조차 농업분야의 진출을 기피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IT 기술의 발전, 신산업의 등장이 농업의 환경과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농업계 고교 및 대학 졸업생조차 농업분야의 진출을 기피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IT 기술의 발전, 신산업의 등장은 농업의 환경과 기술변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농업계 대학의 고민은 대학교육 본연의 목적 달성이라는 측면에서 농업의 학문 발전과 영농 중심 전문농업인 육성의 차세대 후계인력 양성이 현시대에 요구되는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김학섭, 2015; 차승봉, 남민우, 2015).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에 대한 효과성 향상 전략으로는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학습을 실제 현장이나 실무에 적용하거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이유진, 김진모, 2010).
농업계 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농업교육훈련만으로 현장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받는 이유는? 하지만 농업계 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 측면에서 볼 때 단기간 운영되는 농업교육훈련으로는 참여자의 교육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교육의 현장성 부족을 하나의 원인으로 제시하는 견해도 있다(김학섭, 2015; 이인세, 2006). 이는 농업의 특성상 원예, 토양, 농기계 관리, 농장시설관리 등 교육주제와 내용이 생산기술과 관련된 현장과 밀접한 교육이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통적인 강의보다는 실제 농업현장에서의 시범과 시연을 통해 농업 관련 지식과 정보, 기술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농업교육훈련은 현장중심교육의 효과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명숙, 양영석. (2010). 활용지향적 기술창업교육이 참여자의 만족과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산학 기술학회논문지 , 11(6), 2004-2012. 

  2. 김은혜, & 마희영. (2014).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교육만족도 분석. 상업교육연구, 28(5), 1-19. 

  3. 김종숙, & 윤지수. (2014).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 및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 17(4), 179-204. 

  4. 김지심. (2009).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진모. (1997). 기업교육훈련 참가자의 개인 및 상황적 특성이 교육훈련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교육학연구 , 3(1), 217-253. 

  6. 김학섭. (2015). 농업교육훈련의 학습전이 관련 요인 간 구조적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학섭, 박성열, & 차승봉. (2015). 농대 미래전문농업경 영인 과정 참여 대학생의 학습전이 관련 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4), 1-26. 

  8. 나승일. (2003). 농업인적자원개발 전문가로서 농촌지도 요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35(3), 21-38. 

  9.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4). 2014년 농업농촌 교육훈련지원사업 결과보고 . 

  10. 마상진, & 김영생. (2006). 농업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1-26. 

  11. 문미경, & 진종순. (2010). 농업인대학 교육사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1(2), 215-239. 

  12. 박성열, 김수욱, 남민우, 차승봉, & 박혜진. (2010). 농업 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2), 31-52. 

  13. 박행모, 문승태, & 김희수. (2008). 농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 40(3), 33-53. 

  14. 박혜진, & 유병민. (2014).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 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649-674. 

  15. 배병렬. (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청람. 

  16. 배을규, 장민영, & 김대영. (2009). 학습전이 요인 및 수준의 조직간 비교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2(2), 29-60. 

  17. 손경옥. (2014).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18. 신은정. (2012).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유병민, 김정주, 최영창, 박혜진, & 김선희. (2010).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1), 45-74. 

  20. 윤현진, 윤관식, & 이병철. (2012).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전이 영향요인, 만족도, 학습, 학습전이 간의 관계 분석: KI교육원 사례 중심으로. 기업교육연구, 14(2), 65-98. 

  21. 이기하. (2010). 도시형과 도농복합형의 노인복지관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연주, & 이희수. (2014). 농업교육강사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6(1), 27-47. 

  23. 이유진, & 김진모. (2010). 대기업 직무교육훈련 참여자의 교육훈련전이와 전이동기 및 업무환경의 관계. 농업 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2(4), 249-274. 

  24. 이인세. (2006). 지식기반사회에서 현행 농업교육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 교육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임종훈. (2012). 사이버대학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과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장우환, 정호찬, & 이순석. (2011).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3(3), 95-117. 

  27. 정주영. (2013).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정진. (2013). 노인복지관 평생교육프로그램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차승봉, & 남민우. (2015).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 22(4), 435-444. 

  30. 차승봉, & 박성열. (2016). 농업계 고교 산업연계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 사회적 지원, 교육만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8(2), 1-23. 

  31. 최창환, & 정철영. (2008). 연구소 기술교육훈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0(3), 247-274. 

  32. 하영자, & 임연욱. (2010).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내재적 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예측. 한국HRD 연구, 5(4), 49-67. 

  33. 현영섭. (2004). Kolb의 경험학습모형을 적용한 기업교육 학습전이 모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Astin, A. W. (1973). The impact of dormitory living on students. Educational Record, 54(9), 204-210. 

  35.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Bass. 

  36. Baldwin, T. T., & Ford, J. K. (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1, 63-105. 

  37. Goldstein, I. L. (1993). Training in organizations: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Belmont, CA: Thomson Brooks. 

  38. Haskell, R. E. (2001). Transfer of learning: Cognitive, instruction, and reasoning. SD: Academic Press. 

  39. Kirkpatrick, D. L. (1994).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 Berret-Koehler. 

  40. Martinez, M. (2003). High attrition rates in e-learning: challenges, predictors, and solutions. The E-Learning Developers' Journal, 1-8. 

  41. Merriam, S. & Merriam, S. B. (2001). The new update on adult learning theory. San Francisco: The E-Learning Developers' Journal, 1-8. 

  42. Muller, T. (2008). Persistence of woman in online degree completion programs.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9(2), 1-18. 

  43. Noe, R. A. (1986). Traines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4), 736-749. 

  44. Ruben, B. D. (1995). Quality in Higher Education. New Brunswick, New Jersey: Transaction Publishers. 

  45. Willing, P. A., & Johnson, S. D. (2004).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decision to dropout of online courses.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 8(4), 105-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