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 공동구 시설물의 지진취약도 분석
Seismic Fragility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9 no.5, 2016년, pp.413 - 419  

이득복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창수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신대섭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진시 사회 인프라시설물의 피해는 시설물 자체의 피해보다 사회 전반에 걸친 2차 피해를 야기한다. 그 중, 지하 공동구 구조물은 통신, 가스, 전기 등 사회의 라이프라인에 해당하여 지진에 대한 취약성을 정확히 평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 공동구의 지진 발생 지반가속도에 따른 파괴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한 입력지반운동은 해외 실측 지진데이터와 한반도에서 발생가능한 인공지진파를 차용하였으며, 지진해석 방법은 응답변위법시간이력해석법을 사용하였다. 파괴여부를 판별하는 한계상태는 휨모멘트와 전단 파괴를 바탕으로 하였다. 취약도 함수 도출을 위한 방법은 최우도법이 사용되었으며, 그 분포함수는 대수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이는 지진시 지하 공동구 시설물의 피해 평가는 물론 지하 공동구 시설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age of infrastructures by an earthquake causes the secondary damage through the world at large more than the damage of the structures themselves. Amomg them, underground utility tunnel structures comes under the special life line: communication, gas, electricity and etc. and it has a need to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진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질토 점성토에 대해서 진행하였으며, 해석 방법을 응답변위법과 시간이력방법을 고려하여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지하 공동구의 안전성과 지진의 영향을 파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지하 공동구에 대한 지진 취약도에 대한 연구로써, 지진에 대한 지하 공동구의 안전성과 영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대표 시설물은 연장길이의 비율이 큰 서울시 지하 공동구로 선정하였으며, 지하 공동구 형식은 1연과 2연 공동구로 지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결과적으로, 현 지하 공동구 내진설계에서 적용하고 있는 재현주기 1,000년 지진에서는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그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는 입력지진의 종류에 따라 그 손상의 경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된 관망 지하 시설물(가스, 수도, 상수도 등)과 다른 구조 형식을 따르는 지하 공동구의 지진 취약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진시 지하 공동구 시설물의 피해 예측 및 대응 방안에 대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하 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도 분석의 목적은 무엇인가? 지진취약도 시설물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지진취약도 개발이 필요하다. 취약도 분석의 목적은 구조물의 지진응답이 내력을 초과하여 파괴 혹은 손상에 이르게 되는 지진가속도를 확률적으로 평가하는데 있으며, 취약도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외부하중에 대한 시설물의 취약도 곡선(fragility curve)을 구성할 수 있다. 지진취약도 곡선을 구성하기 위한 지진취약도 함수는 개발 방법부터 적용에 이르기까지 최근 20여 년간 지진공학 연구 분야의 주 관심대상이었고, 지금까지 많은 양의 지진취약도함수가 개발되었다.
지진재해의 특성은 무엇인가? 지진재해는 일반적으로 피해규모가 크고 피해지역이 광범위하며, 예측 불가능한 특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도시화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인구의 약 80%가 도시에 거주 (Statistics Korea, 2010)하는 국내 상황에서의 지진재해 위험도는 더욱 증가할 것이며, 특히 거대도시일수록 지진 발생에 따른 재해위험은 증대될 것이다.
지진취약도(seismic fragility) 분석 기술의 개발이 어떤 효과를 가져올것으로 기대되는가? 특히 최근 일본, 중국등 주변 국가에서의 대규모 지진발생시 다양한 라이프라인 시설 등 도시기반 네트워크 시설의 피해로 2차 재해 발생의 경우를 고려할 때, 도시기반 네트워크 시설물의 피해 예측 기술개발을 통한 대규모 지진재해에 대한 피해저감기술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보다 정확한 지진취약도(seismic fragility) 분석 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러한 평가기술의 개발은 라이프 라인 시설물의 위험도를 추정하여 한정된 자본과 인력으로 지진재해의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예방투자 및 피해 복구를 가능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Faccioli, E., Pessina, V., Calvi, G.M., Borzi B. (1999) A Study on Damage Scenarios for Residential Buildings in Catania City, J. Seismol., 3, pp.327-343. 

  2. Han, S.R., Lee, H.D., Lee. C.S. (2016) Seismic Fragility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s Considering Probabilistic Site Response Analysis, J. Korean Soc. Hazard Mitig., 16(3), pp.31-37. 

  3. Hus, C.C., Lai, M.C., Sung, Y.C., Tsai, I.C., (2008) Rapid Seismic Damage Assessment System of Existing Bridges in Taiwan, The Twenty-First KKCNN Symposium on Civil Engineering, Singapore. 

  4. Hwang, H., Huo, J. R. (1998) Probabilistic Seismic Damage Assessment of Highway Bridges, 6th US 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Seattle, WA. 

  5. Lee, C. S. (2015) Development of Seismic Fragilities for Urban Infrastructure Network,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of Korea. 

  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Utility-Pipe Conduit design Standar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7. Park, D.H., Kwak, D.Y., Jeong, C.G. (2009) Development of New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and Seismic Coefficients of Korea Part I: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a Novel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rocedure, J. Korean Geo-Environ. Soc., 10(7), pp.103-109. 

  8. Shinozuka, M., Feng, M.Q., Lee, J., Naganuma, T. (2000) Statistical Analysis of Fragility Curve, ASCE J. Eng. Mech., 126(12), pp.1224-1231. 

  9. Shinozuka, M., Takada, S., Ishikawa, H. (1979) Some Aspects of Seismic Risk Analysis of Underground Lifeline Systems, ASME J. Press. Vessel Tech., 101, pp.3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