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 일부지역 영유아보육시설 급식의 나트륨 함량 실태조사
Study on Sodium Contents of Kindergarten Lunch Meals in Gyeoungsangbuk-do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5, 2016년, pp.648 - 655  

송단비 (경산시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이경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lunch meals served at foodservice center for children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Methods: Five foodservice centers for children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were investigated for salt and sodium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북 경산지역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된 점식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경산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어린이급식소 5개소를 대상으로 한 끼 당 총 소금 및 나트륨 함량과 한 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어린이급식소의 한 끼당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 영유아 보육시설에서 제공된 점심급식 메뉴를 전량 수거하여 실제 제공하는 점심급식 한 끼에 함유된 소금 및 나트륨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어린이급식소에서의 나트륨 저감화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습관과 관련된 영유아기는? 영유아기는 평생의 식습관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영유아기의 영양은 육체적, 정신적인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일생동안의 건강상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유아에 대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Jung HR 등 2010).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한 이유는? 영유아기의 영양은 육체적, 정신적인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일생동안의 건강상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유아에 대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Jung HR 등 2010).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점식식사와 1-2회의 간식을 제공하는 급식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가정에서 제공하는 음식 이상으로 영유아의 건강 및 영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JN 등 2013).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08년 3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하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설립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유아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 어린이급식소를 대상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위생관리와 영양관리를 지원하고 있다(Park GN 2012).
영유아에 대한 영양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영유아기는 평생의 식습관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영유아기의 영양은 육체적, 정신적인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일생동안의 건강상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유아에 대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Jung HR 등 2010).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점식식사와 1-2회의 간식을 제공하는 급식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가정에서 제공하는 음식 이상으로 영유아의 건강 및 영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JN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HS, Lim HJ. 1994.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I. Assessment of the nutrition awareness and involvement in food-related activities-. Korean J Diet Cult 9(3):311-321. 

  2. Altschul AM, Grommet JK. 1980. Sodium intake and sodium sensitivity. Nutr Rev 38(12):393-402. 

  3. Ann BC, Joung HJ. 2005. Socioeconomic cost of obesity in Korea. Korean J Nutr 38(9):786-792. 

  4. Coruzzi P, Biggi A, Musiari L, Ceriati R, Mossini GL, Guerra A, Novarini A. 1993. Calcium and sodium handling during volume expansion in essential hypertension. Metab 42(10):1331-1335. 

  5. He FJ, Marrero NM, MacGregor GA. 2008. Salt intake is related to soft drink consump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link to obesity? Hypertens 51(3):629-634. 

  6. Jung HR, Lee MJ, Kim KC, Kim JB, Kim DH, Kang SH, Park JS, Kwon KI, Kim MH, Park YB. 2010. Survey on the sodium contents of nursery school meal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4):526-534. 

  7. Kim JA, Kim YH, Ann MY, Lee YK. 2012. Measurements of salinity and salt content by menu types served at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17(5):637-651. 

  8. Kim JN, Park SY, Ahn SH, Kim HK. 2013. A survey on the salt content of kindergarten lunch meals and meal providers’ dietary attitude to sodium intake in Gyeonggi-do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8(5):478-490. 

  9. Korean Food Foundation. 2016. International Korean menu guide. Available from: http://www.hansik.org. Accessed March 11, 2016. 

  10. Lee EM, Park YG, Jung WY, Kim MR, Seo EC, Jung RS, Na MA, Lee JH, Heo OS. 2010. Survey on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as well as sodium and potassium intake by students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6):853-862. 

  11. Lee HJ, Lee CH, Lee KS, Jung YG, Ha SH, Jung YY, Kim DS. 2010.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85-91. 

  12. Lee KH, Choi IS, Oh SH. 1995. A study on intake/excretion of sodium and calcium in Korean children. Korean J Nutr 28(8):749-758. 

  13. Lee SK, Chang EJ, Choi JC, Bahn KN, Kim MH. 2010. Current assess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school m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578-585. 

  14. Lim HS, Ko YS, Shin DS, Heo YR, Chung HJ, Chae IS, Kim HY, Kim MH, Leem DG, Lee YK. 2013.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8):1303-1317. 

  15. Park GN. 2012. Analysis of the effect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on safety control of meal in child-care facility and kindergarten.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p 2-14. 

  16. Park SY, Lee KA. 2016. Study on the salt and sodium contnet of middle school lunch meals in Gyeongsangbuk-do Area -Focus on application of 'SamSam food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5):757-764. 

  17.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1):1-12. 

  18. Son SM, Huh GY. 2006. Dietar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5):661-67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