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와 보육시설의 유아 당류 섭취 줄이기 영양교육 실태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ildren's Sugar Intake Reduction among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and Child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3, 2017년, pp.539 - 551  

김미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남희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연지영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유아 당류 줄이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115개)와 보육시설(646개) 총 761개소의 유아 당류 교육실태, 유아의 당류 섭취 줄이기 영양교육 요구도, 유아 당류 교육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 등을 조사하였다. 유아를 대상으로 당류 섭취 줄이기를 주요 주제로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비율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14.8%, 보육시설이 31.9%로 나타났고, 영양교육의 내용 중에 일부 포함하여 교육을 실시한 경우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47.8%, 보육시설 42.4%였다. 유아 대상 당류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서는 센터와 보육시설 두 곳 모두 90% 이상이 필요하다는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당류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에 대하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다른 시급한 영양교육이 많아서, 보육시설은 당류 영양교육 자료가 부족하여서의 비율이 높았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당류 섭취를 주제로 영양교육을 실시한 비율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및 보육시설 모두에서 20% 정도로 낮았고, 학부모 대상 유아의 당류 영양교육을 실시한다면 적합한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에 대하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집단교육을 통한 강연의 비율이 높았으며, 보육시설은 영양상담의 비율이 높았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교사 또는 원장은 유아 당류 섭취를 주제로 교육을 실시한 경우는 14.8%로 낮았던 반면, 보육시설에서 유아 당류 섭취교육 관련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는 비율은 68.0%로 높았다. 유아 대상 영양교육을 할 경우, 적합한 교육 실시 내용으로 두 곳 모두 '당류 섭취와 충치'와 '당류 섭취와 비만'이 높은 반면, '당류 함량이 높은 식품'과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한 실천행동'은 낮았다. 효과적인 영양교육 방법으로는 '동화나 인형극을 활용한 교육'이 두 군 모두 80% 이상 높게 나타났고, 영양교육 담당자로는 센터 영양사와 보육시설 담임교사가 함께 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두 군 모두에서 높았다. 바람직한 영양교육 요구 횟수에 대하여 센터는 평균 2.7회, 보육시설은 4.0회로 보육시설에서 원하는 교육 횟수가 높았고, 바람직한 교육모형으로 센터의 방문교육 후 추가적인 교육은 교재 교구 배부 후 교사들이 교육하는 방법이 두 군 모두에서 90% 정도로 높았다. 유아의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한 표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두 기관 모두 90% 이상의 비율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유아 당류 섭취에 관한 교육은 유아, 학부모, 교사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비율이 낮으며, 수행되더라도 영양교육의 일부로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한 요구도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의 형태나 횟수, 내용, 방법 등에 대한 조사자료는 전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와 센터회원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이므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유아 당류 섭취 줄이기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유아 당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교육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국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영유아 당류 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to help reduce children's sugars intake at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M, n=115), and Child Care Facilities (CCF, n=646)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October $5^{th}$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육시설의 경우,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회원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통하여 회원 시설에 설문조사를 안내하도록 하였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사업규모는 지역에 있는 100명 미만 어린이급식소의 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업규모별로 설문조사에 참여할 회원 시설의 수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당시 센터의 사업규모는 1억원에서 7억원까지 였으며, 센터를 대상으로 한 설문은 센터별 1부,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는 센터 사업 규모별 최소 조사 협조 요청 부수(1억원: 3부, 2억원: 5부, 3억원: 7부, 4억원: 9부, 5억 원: 11부, 6억원: 13부, 7억원: 15부)에 대하여 안내를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국에 200여 개소 이상이 설치 되어 어린이 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해 급식 및 위생 지원과 함께 영양교육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및 어린이의 보육과 영양섭취 및 영양교육에 직접적 노출이 가장 큰 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과 같은 보육시설에서 유아의 당류 섭취관련 영양교육 실태 및 요구도를 조사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당류 섭취 관련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류의 과다 섭취가 유발하는 질환은? 당류의 과다 섭취는 비만, 충치, 기억력 손상, 당뇨병, 관상 동맥질환, 유방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성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러 연구를 통하여 보고되고 있다 Mann 등 2007; Lustig 등 2012; Te Morenga 등 2012; Te Morenga 등 2014;
당 함량이 높은 탄산음료 섭취는 어떤 방법으로 노화를 촉진시키는가? Carwile 등 2015).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Leung 등(2014)의 연구에서 당 함량이 높은 탄산음료 섭취는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를 짧게 하여 질병 진행과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음료를 하루 1캔 이상 마시는 청소년은 비만 위험이 2.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HIDI 2014).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어릴 때 부터 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는? 당류 과잉 섭취에 따른 건강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올바른 식품 기호도 및 식습관이 형성되어야 한다. 성인의 경우, 건강과 영양의 질에 따라 식품을 선택할 수도 있는 반면, 유아나 아동들은 본능적인 감각에 따라 식품을 선택하기가 더 쉽다 (Mustonen 등 2009).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 중에서 식품 기호는 섭취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Birch L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irch LL. 1999. Development of food preferences. Annu Rev Nutr 19:41-62 

  2. Birch LL, Fisher JA. 1995. Appetite and eating behavior in childre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42:931-953 

  3. Birch LL, Marlin DW. 1982. I don't like it; I never tried it: effects of exposure on two-year old children's food preferences. Appetite 3:353-360 

  4. Brown EL. 1967. College student look at the basis for their food habit. J Home Econ 59:784-787 

  5. Carwile JL, Willett WC, Spiegelman D, Hertzmark E, Rich-Edwards J, Frazier AL, Michels KB. 2015.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age at menarche in a prospective study of US girls. Hum Reprod 30:675-683 

  6. Cho EJ. 1997. Management of snack tim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2:101-123 

  7. Chung HI. 2006. Research on mothers' actual management status of eating habits of children and understanding and needs of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MS Thesis, Sungshin Univ. Seoul. Korea 

  8. Frary CD, Johnson RK, Wang MQ. 2004. Children and adolescents' choices of foods and beverages high in added sugars are associated with intakes of key nutrients and food groups. J Adolesc Health 34:56-63 

  9. Jeong DY. 2015. An analysis of foodservice sanitation of the childcare centers by foodservic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n Jeju. MD Thesis,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10. Kim ES. 2015. Analysis of picture book contents and teacher's actual condition on the utilization of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health education. MS Thesis, Hanyang Univ. Seoul. Korea 

  11. Kim JY, Yoon EY. 2016. Analysis of diet contents and nutrition education in picture book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6:11-24 

  12. Kim NH, Kim MH. 2014.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Korean J Food Nutr 27:66-74 

  1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13. Food Industry Analysis Repor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14. A lack of sleep and stress raises the risk of adolescent obesity.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 [cited 21 January 2015] 

  15. Lee HJ. 2015. Study on nutritional and hygiene knowledg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 Focusing on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MS Thesis, Kyung Hee Univ. Seoul. Korea 

  16. Lee HO. 2007. Health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urriculum and the effects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J Food Nutr 20:202-208 

  17.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2014.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47:268-276 

  18. Lee KH, Park DY, Lee IY, Hong JY, Choi BC, Bae SS. 2001. The survey an the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ngdungpo. J Korean Diet Assoc 7:167-174 

  19. Lee MS, Lee K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to improve the vegetable intake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20:26-35 

  20. Lee YH, Joo N. 2016. The awareness level and needs for education on reducing sugar consumption amo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10:229-236 

  21. Leung CW, Laraia BA, Needham BL, Rehkopf DH, Adler NE, Lin J, Blackburn EH, Epel ES. 2014. Soda and cell aging: Associations between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leukocyte telomere length in healthy ad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Am J Public Health 104:2425-2431 

  22. Lustig RH, Schmidt LA, Brindis CD. 2012. Public health: The toxic truth about sugar. Nature 482:27-29 

  23. Mann J, Cummings JH, Englyst HN, Key T, Liu S, Riccardi G, Summerbell C, Uauy R, van Dam RM, Venn B, Vorster HH, Wiseman M. 2007. FAO/WHO Scientific update on carbohydrate in human nutrition: Conclusions. Eur J Clin Nutr 61:S132-S137 

  2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Guideline for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pp. 45-50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 Food and nutrition data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 [cited 25 July 2016] 

  2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7. Guideline for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pp.41-54 

  27. Oh SM, Yu YL, Choi HI, Kim KW. 2012.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vegetables, fruits and dairy foods consumption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75:517-529 

  28. Park S, Pan L, Sherry B, Li R. 2014. The associa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during infancy with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t 6 years of age. Pediatrics 134:S56-S62 

  29. Park SY, Park HY, Moon HY. 1999.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dietary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2:419-429 

  30. Seo JY, Choi BS, Lee IS. 2010.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r preschool children in the Deagu area: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tdes. J East Asian Soc Dietary 20:794-801 

  31. Son HN, Park MJ, Han JS. 2009.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food frequency of young children who like sweets. J Korean Diet Assoc 15:10-21 

  32. Stasch AR, Johnson MM, Spangler GJ. 1970. Food practices and preferences of some college students. J Am Diet Assoc 57:523-527 

  33. Te Morenga L, Howatson AJ, Jones RM, Mann J. 2014. Dietary sugars and cardiometabolic ris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he effects of blood pressure and lipids. Am J Clin Nutr 100:65-79 

  34. Te Morenga L, Mallard S, Mann J. 2012. Dietary sugars and body weigh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cohort studies. BMJ 346:e7492 

  3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pp.82 

  3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WHO opens public consultation on draft sugars guideline. http://www.who.int [cited 25 July 2016] 

  37. Yeom MY, Cho YO. 2016.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signed to reduce sugar intake in preschool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22:179-192 

  38. Yeon JY, Lee SK. 2016.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nutrition education, and frequency of snacking in children by the self-perceived sweet dietary habits of mothers in Busan. Nutr Res Pract 10:546-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