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시설 또는 조리도구 표면에서 땅콩 알레르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세척 방법
Cleaning Methods to Effectively Remove Peanut Allergens from Food Facilities or Utensil Surfa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8 no.4, 2023년, pp.228 - 235  

김솔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이정은 (경상국립대학교 스마트팜 연구센터) ,  신재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심원보 (경상국립대학교 스마트팜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품 제조시설 및 조리도구의 표면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겐인 땅콩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습식세척법을 평가하였다. 습식세척은 식품알레르겐 또는 잔류물질을 세척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식품 시설 또는 접촉 표면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나무, 플라스틱에 대해 온수로 5분간 불림 후 세척솔과 세척용제를 이용한 세척효과는 스테인리스> 유리> 플라스틱> 나무 순으로 확인되었다. 접촉 표면이 거친 나무는 끼임 등에 의해 세척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표면의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 온수(50℃±2)로 5분간 불림 후 세척솔과 차아염소산 나트륨으로 세척하였을 때 나무표면으로부터 땅콩 알레르겐 제거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품 제조시설 및 조리도구의 표면에 따라 땅콩 알레르겐 세척효과는 달리 확인되어 본 연구에 사용된 재질과 세척용제 이외에 대해서도 추가의 연구는 필요하다. 식품안전현대화법에서 식품알레르기 표시 제도 및 식품알레르기 교차오염 예방 등에 관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품 제조시설 및 조리도구 표면에 존재하는 식품알레르겐에 의한 교차오염의 예방과 관리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적인 세척 후에도 제조시설 및 도구의 표면에 땅콩 알레르겐의 잔류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식품제조시설에서 취급하고 있는 땅콩 알레르겐의 세척 및 저감과 적절한 재질의 시설 및 도구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anut is a well-known food allergen that causes adverse reactions ranging from mild urticaria to life-threatening anaphylaxis. Consumers suffering from peanut allergies should thus avoid consuming undeclared peanuts in processed foods. Therefore, effective cleaning methods are needed to remove food...

주제어

참고문헌 (23)

  1. Hwang, D.W., Nagler, C.R., Ciaccio, C.E., New and emerging concepts and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food allergy. Immunother. Adv., 2, ltac006 (2022).? 

  2. Anvari, S., Miller, J., Yeh, C.Y., Davis CM. IgE-mediated food allergy. Clin. Rev. Allergy Immunol., 57, 244-260 (2019).? 

  3. Kim, M.A., Kim, D.K., Yang, H.J., Yoo, Y., Ahn, Y., Park, H.S., Lee, H.J., Jeong, Y.Y., Kim, B.S., Bae, W.Y., Jang, A.S., Park, Y., Koh, Y.I., Lee, J., Lim, D.H., Kim, J.H., Lee, S.M., Kim, Y.M., Jun, Y.J., Kim, H.Y., Kim, Y., Choi, J.H., Pollen-food allergy syndrome in Korean pollinosis patients: a nationwide survey. Allergy Asthma Immunol. Res., 10, 648-661 (2018).? 

  4. Sampath, V., Abrams, E.M., Adlou, B., Akdis, C., Akdis, M., Brough, H.A., Chan, S., Chatchatee, P., Chinthrajah, R.S., Cocco, R.R., Deschildre, A., Eigenmann, P., Galvan, C., Gupta, R., Hossny, E., Koplin, J.J., Lack, G., Levin, M., Shek, L.P., Makela, M., Mendoza-Hernandez, D., Muraro, A., Papadopoulous, N.G., Pawankar, R., Perrett, K.P., Roberts, G., Sackesen, C., Sampson, H., Tang, MLK., Togias, A., Venter, C., Warren, C.M., Wheatley, L.M., Wong, G.W.K., Beyer, K., Nadeau, K.C., Renz, H., Food allergy across the globe. J. Allergy Clin. Immunol., 148, 1347-1364 (2021).? 

  5. LaBorde, L.F., 2020. The hazard analysis risk-based preventive controls (food safety engineering), 1st ed, Springer, New York, NY, USA, pp. 205-226.? 

  6. Cho, W., Kim, J., The current state of food allergy of preschool childcare facilities in Ha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 251-258 (2015).? 

  7. Kim, S.H., Lee, S.M., Knowledge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y by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ho experience food allergies. J. Nutr. Health, 56, 184-202 (2023).? 

  8. Crevel, R.W.R., 2015. Food allergen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handbook of food allergen detection and control). 1st ed, Woodhead Publishing, Cambridge, UK, pp. 41-66.? 

  9. Holah, J., 2023. Hazard control by segregation in food factories (hygienic design of food factories), 2nd ed, Woodhead Publishing, Cambridge, UK, pp. 259-286.? 

  10. Jeon, Y.H., Kim, H.H., Park, Y.M., Jang, G.C., Kim, H.Y., Yum, H.Y., Kim, J., Ahn, K., Min, T.K., Pyun, B.Y., Lee, S., Kim, K.W., Kim, Y.H., Lee, J., Lee, S.Y., Kim, W.K., Song, T.W., Kim, J.H., Lee, Y.J., The current status and issue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Korea. Allergy Asthma Respir. Dis., 7, 67-72 (2019).? 

  11. Schlegel, V., Yong, A., Foo, S.Y., Development of a direct sampling method for verifying the cleanliness of equipment shared with peanut products. Food Control, 18, 1494-1500 (2007).? 

  12. Kim, S.A., Toushik, S.H., Lee, J.E., Shim, W.B., Detection of a thermal stable-soluble protein (TSSP) as a marker of peanut adulteration using a highly sensitive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based on monoclonal antibodies. J. Microbiol. Biotechnol., 33, 1-9 (2023).? 

  13. Kim, S.A., Toushik, S.H., Lee, J.E., Shim, W.B., Ultrasensitive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thermal stable-soluble proteins of buckwheat. Food Chem., 423, 136269 (2023).? 

  14. Nikoleiski, D., 2015. Hygienic design and cleaning as an allergen control measure (Handbook of food allergen detection and control). 1st ed, Woodhead Publishing, Cambridge, UK, pp. 89-102.? 

  15. Stephan, O., Weisz, N., Vieths, S., Weiser, T., Rabe, B., Vatterott, W., Protein quantification, sandwich ELISA, and realtime PCR used to monitor industrial cleaning procedures for contamination with peanut and celery allergen. J. AOAC Int., 87, 1448-1457 (2004).? 

  16. Roder, M., Baltruweit, I., Gruyters, H., Ibach, A., Mucke, I., Matissek, R., Vieths, S., Holzhauser, T., Allergen sanitation in the food industry: a systematic industrial scale approach ao reduce hazelnut cross-contamination of cookies. J. Food Prot., 73, 1671-1679 (2010).?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3, July 5). Food additives code.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upload/residue/3-3-5.pdf? 

  18. Jackson, L.S., 2018. Allergen cleaning: best practices (food allergens), 1st ed, Springer, New York, NY, USA, pp. 205-226.? 

  19. Bedford, B., Liggans, G., Williams, L., Jackson, L., Allergen removal and transfer with wiping and cleaning methods used in retail and food service establishments. J. Food Prot., 83, 1248-1260 (2020).? 

  20. Jackson, L.S., Al-Taher, F.M., Moorman, M., DeVries, J.W., Tippett, R., Swanson, K.M., Fu, T.J., Salter, R., Dunaif, G., Estes, S., Albillos, S., Gendel, S.M., Cleaning and other control and validation strategies to prevent allergen cross-contact in food-processing operations. J. Food Prot., 71, 445- 458 (2008).? 

  21. Soares, V.M., Pereira, J.G., Viana, C., Izidoro, T.B., Bersot Ldos, S., Pinto, J.P., Transfer of Salmonella Enteritidis to four types of surfaces after cleaning procedures and cross-contamination to tomatoes. Food Microbiol., 30, 453-456 (2012).? 

  22. Cipriani, F., Calamelli, E., Ricci, G., Allergen avoidance in allergic asthma. Front. Pediatr., 5, 103 (2017).? 

  23. Tarlo, S. M., Time for action on cleaning and disinfecting agents. J. Allergy Clin. Immunol. Pract., 9, 2366-2367 (2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