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개발과 활용
Specification and Application of Learning Outcomes in Basic Medical Education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8 no.3, 2016년, pp.119 - 124  

이병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KAMC) has been developing learning outcomes for basic medical education (BME) since 2012. This initiative is designed to help medical schools implemen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KAMC divided the BME competencies into three domains (clinical p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역량바탕 의학교육에 대해 먼저 간략하게 기술하고, 각 대학이 역량바탕 의학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그동안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가 기본의학교육 학습 성과를 개발한 의미와 활용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바탕 의학교육의 주요 원리는 무엇인가? , 2010b). 점점 더 많은 사회적 책무성을 요구하는 현 시점에서 의학 교육과정(medical curriculum)은 모든 졸업생이 모든 필수적인 영역에서 필요한 역량을 반드시 갖출 수 있도록 학습 성과와 표준(준거)에 초점을 맞추어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명확하게 제시하고, 실제로 모든 졸업생이 사회적 건강 요구에 부합하는 능력과 바람직한 태도를 성취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의학교육은 학생이 하나의 교육단위에서 학습을 위해 보내는 시간보다는 제시한 학습성과와 준거에 실제로 도달하였는지를 반드시 확인한 후에 다음 교육단위를 이수하게 하고, 이전의 교육단위에서 학습성과를 성취하지 못한 경우 재교육(remediation)을 통해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학생이 학습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engagement)할 수 있도록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Frank et al., 2010b; Rhee, 2016).
역량바탕 의학교육은 무엇인가? 역량바탕 의학교육은 사회와 환자의 건강 요구사정을 통해 도출한 졸업역량(graduate competencies)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는 접근 방법으로, 교육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의학교육의 사회적 책무성과 유연성을 보장하면서 학습자 중심 의학교육을 실행하는 방법이다(Frank et al., 2010a).
의사의 직업전문성 역량이란 무엇인가? 졸업생이 갖추어야 할 역량, 즉 의사의 직업전문성 역량이란 의료를 제공받는 개인 또는 지역사회의 이익을 위하여 매일의 직무현장에서 의사소통, 관련 지식, 기술적 술기, 임상추론, 감정, 가치, 성찰 등을 습관적으로 현명하게 사용하는 능력이다(Epstein & Hundert, 2002). 이러한 역량은 지식, 술기, 가치, 태도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합한 능력으로 관찰이 가능하고, 습득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England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16). The milestones guidebook. Retrieved from http://www.acgme.org/Portals/0/MilestonesGuidebook.pdf 

  2.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14).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Curriculum developer's guide. Retrieved from https://members.aamc.org/eweb/upload/Core%20EPA%20Curriculum%20 Dev%20Guide.pdf 

  3. Brown, T. C., McCleary, L. E., Stenchever, M. A., & Poulson, A. M. Jr. (1973). A competency-based educational approach to reproductive biology. Am J Obstet Gynecol, 116(7), 1036-1042. 

  4. Burgi, H., Rindlisbacher, B., Bader, C., Bloch, R., Bosman, F., Gasser, C.,... Stuck, A. E. (2008). Swiss catalogue of learning objectives for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2nd ed.). Bern: University of Ber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5. Carraccio, C., Wolfsthal, S. D., Englander, R., Ferentz, K., & Martin, C. (2002). Shifting paradigms: From Flexner to competencies. Acad Med, 77(5), 361-367. 

  6. Englander, R., Cameron, T., Ballard, A. J., Dodge, J., Bull, J., & Aschenbrener, C. A. (2013). Toward a common taxonomy of competency domains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competencies for physicians. Acad Med, 88(8), 1088-1094. 

  7. Epstein, R. M., & Hundert, E. M. (2002). Defin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e. JAMA, 287(2), 226-235. 

  8. Ferguson, K. J. (2014). Facilitating student learning. In K. N. Huggett & W. B. Jeffries (Eds.), An introduction to medical teaching (2nd ed., pp. 1-9). New York, NY: Springer. 

  9. Frank, J. R., Mungroo, R., Ahmad, Y., Wang, M., de Rossi, S., & Horsley, T. (2010a). Toward a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definitions. Med Teach, 32(8), 631-637. 

  10. Frank, J. R., Snell, L. S., Cate, O. T., Holmboe, E. S., Carraccio, C., Swing, S. R., ... Harris, K. A. (2010b).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ory to practice. Med Teach, 32(8), 638-645. 

  11. Gronlund, N. E., & Brookhart, S. M. (2009). Gronlund's writing instructional objectives (8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12. Harden, R. M. (2002). Developments in outcome-based education. Med Teach, 24(2), 117-120. 

  13. Harden, R. M. (2013). 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In J. A. Dent & R. M. Harden (Eds.), A practical guide for medical teachers (4th ed., pp. 8-15). London: Elsevier. 

  14. Harden, R. M., Crosby, J. R., & Davis, M. H. (1999). An introduction to outcome-based education. Med Teach, 21(1), 7-14. 

  15. Iwasiw, C. L., & Goldenberg, D. (2015). Curriculum development in nursing education (3rd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16. Kennedy, D., Hyland, A., & Ryan, N. (2006). Writing and using learning outcomes: A practical guide. Retrieved from http://www.tcd.ie/teaching-learning/ academic-development/assets/pdf/Kennedy_Writing_and_Using_Learning_Outcomes.pdf 

  17.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14). Qualifying objectives of the written examination for medical licensure. Seoul: Kanghyun Publishing. 

  18.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2). Learning outcomes of basic medical education: Clinical competency-based. Anyang: Academia. 

  19.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4). Learning outcomes of basic medical education: Scientific concept-and principle-centered. Seoul: Hwasan Cultural Planning. 

  20.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6). Learning outcomes of basic medical education: Clinical competency-based (2nd ed.). Paju: Gabwoo. 

  21. McGaghie, W. C., Miller, G. E., Sajid, A. W., & Telder, T. V. (1978).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39703/1/WHO_PHP_68.pdf 

  22. Newble, D., Stark, P., Bax, N., & Lawson, M. (2005). Developing an outcome-focused core curriculum. Med Educ, 39(7), 680-687. 

  23. Pasquale, S. J., & Krane, N. K. (2014). Designing a course. In K. N. Huggett & W. B. Jeffries (Eds.), An introduction to medical teaching (2nd ed., pp. 161-172). New York, NY: Springer. 

  24. Posner, G. J., & Rudnitsky, A. N. (2006). Course design: A guide to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s (7th ed.). Boston, MA: Pearson Education. 

  25. Rhee, B. D. (2016). Transforming the medical education: 21st century learning in medicine. In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onsei University (Ed.), The 20th anniversary memorial symposium on medical education (pp.19-23). Seoul: Yonsei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