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남의 지방하천에 설치된 하천횡단구조물의 현황과 개선방안
Improvement study of river-crossing structures in geyongnam prefectur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0, 2016년, pp.809 - 821  

김기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형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혜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범위는 경남의 지방하천 671개소(총연장 3,741 km)이며, 연구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천횡단구조물의 총수는 7,730개소로 조사되었으며, 하천연장 1 km 당 구조물이 평균 2.1개소씩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용수보가 4,006 (51.82%)개소였으며, 하상 유지시설(낙차공)은 3,670 (47.48%)개소였고 및 나머지(하상도로 등)는 54 (0.70%)개소로 조사되었다. 상하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높이 1.0 m 이상은 3,897 (51%)개소, 영향이 비교적 미미한 높이 0.5 m 이하는 1,109 (14%)개소로 분석되었다. 어도는 153 (23%)개 하천에 640 (8%)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천횡단구조물이 치수적 측면에서 홍수시 수위상승을 초래하고 생태환경적 측면에서는 생태통로를 단절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었다. 따라서, 도출된 문제점을 기초로 하천횡단구조물에 대한 공학적인 몇 가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rea is local river of 671 (total length 3,741 km) in Gyeongnam prefe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tal number of river-crossing structures was investigated as 7,730, and it was found that structures were installed in 2.1 sites per 1 km (river length) on average. Diversion weirs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남의 지방하천에 설치된 대표적인 하천횡단 구조물인 보 및 낙차공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구조물의 제원, 형식, 사용재료 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남의 지방하천에 설치된 하천횡단구조물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의 20개 시ㆍ군 671 개소의 지방하천에 설치된 7,730개의 하천횡단구조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구조형식, 높이, 재료, 어도 설치 여부, 세굴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폭, 하상고, 하상경사, 굴입정도, 유사량 등의 하도특성 및 용수이용 여건 등을 고려하여 유공관을 이용한 집수매거, 석재 아치의 원리를 이용한 분산형 저낙차 보/낙차공, 부분 램프 설치 및 소(pool) 형식의 바닥보호공 설치 등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 1%)개소, 연직 낙차 1,057 (14%)개소, 계단식 낙차 59 (1%)개소 및 돌붙임 (붓기) 435 (6%)개소로 나타났으며, 최근에는 어류의 소상과 강하가 가능하도록 완경사형 돌붙임(붓기) 단면이 증가하는 추세이다(Table 6). 하천횡단구조물은 구조물의 높이로 인하여 수서동물의 종적 연속성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어도를 설치한다. 경남의 671개 지방하천 중 153 (23%)개 하천에 640 (8%)개소에 어도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분석결과는 어도의 형식 및 기능 여부에 대한 평가 없이 조사된 자료이다(Table 7).
  • 현재 경남의 지방하천에 대한 하천기본계획 수립율이 80%, 하천정비율이 39%인 점을 감안하여 향후 시행될 하천 정비사업에서 하천횡단구조물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하천횡단구조물에 의한 구조적, 환경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학적 개선 방안은 하폭, 하상경사, 굴입정도 및 유사특성 등의 하도특성 및 용수이용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제시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란 무엇인가? 하천횡단구조물은 용수공급을 위한 보 및 하상의 유지를 위한 낙차공 또는 대공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하천의 기능과 관련되는 구조물은 보와 하상유지공이라 할 수 있다. 보는 「각종 용수의 취수, 주운 등을 위하여 수위를 높이고 조수의 역류 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설치하여 제방의 기능을 갖지 않는 시설」, 낙차공은 「하상경사를 완화하기 위 하여 보통 50 cm 이상의 낙차를 둔 하상유지시설」, 대공은 「하상의 저하가 심한 경우에 하상이 계획하상고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며, 낙차가 없거나 매우 작은(보통 50 cm 이하) 하상유지시설」로 정의하고 있다(MLTM, 2009). 현재 하천의 수위를 유지하거나 취수를 목적으로 설치된 보는 전국에 33,848개소(2016년 1월 기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국가어도정보시스템, www.
낙차공이란 무엇인가? 하천횡단구조물은 용수공급을 위한 보 및 하상의 유지를 위한 낙차공 또는 대공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하천의 기능과 관련되는 구조물은 보와 하상유지공이라 할 수 있다. 보는 「각종 용수의 취수, 주운 등을 위하여 수위를 높이고 조수의 역류 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설치하여 제방의 기능을 갖지 않는 시설」, 낙차공은 「하상경사를 완화하기 위 하여 보통 50 cm 이상의 낙차를 둔 하상유지시설」, 대공은 「하상의 저하가 심한 경우에 하상이 계획하상고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며, 낙차가 없거나 매우 작은(보통 50 cm 이하) 하상유지시설」로 정의하고 있다(MLTM, 2009). 현재 하천의 수위를 유지하거나 취수를 목적으로 설치된 보는 전국에 33,848개소(2016년 1월 기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국가어도정보시스템, www.
하상유지를 위한 낙차공과 대공을 포함하면 이보다 훨씬 많은 하천횡단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예시는? kr), 하상유지를 위한 낙차공과 대공을 포함하면 이보다 훨씬 많은 하천횡단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경남지방의 경우 국가어도정보시스템에는 5,448개소의 보가 설치되어 있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7,730개소의 하천횡단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H. K., Woo, H. S., Rhee, D. S., and Kim, K. H. (2008). "Stream eco-corridor restoration by out-aged small dam removal."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1, No. 3, pp. 40-54. 

  2. Charles, R., Rodney, D., and Jeremy, P. (2003). "River Weirs-Good Practice Guide, Guide-Section A." Mott MacDonald Ltd and University of Hertfordshire, pp. 9-11. 

  3. Douglas, G. L. (2000). "Dam removal and stream restoration on goldsborough creek in western washington state." Joint Conference on Water Resource Engineering and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2000, pp. 1-10. 

  4. Freeman, G. (2004). "Sediment transport and stream behavior upon dam removal-A primer." World Water and Environmental Resources Congress 2004 ; Critical Transitions in Water and Environmental Resources Management, pp. 1-11. 

  5. Fukudome, S., Arikawa, T., Nishiyama, Y., and Fukuoka, S. (2010). "Near natural desigh for drop works in mountain rivers."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66, No. 4, pp. 490-503. 

  6. Gravelius, H. (1914), Flusskunde : Goschensche Verlagshandlung, Berlin, p. 176. 

  7. Grindeland, T., Hadley, H., and Raman, A. (2000). "Dam removal sedimentation evaluation." Water Resources(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oint Conference on Water Resource Engineering and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2000, pp. 1-10. 

  8. Im, D. K., Kang, H. S., Kim, K. H., and Choi, S. U. (2011). "Changes of river morphology and physical fish habitat following weir removal." Ecological Engineering 37, pp. 883-892. 

  9. KE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4). "Fish ways at rivers and dams : current status, and futur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Technical Report No. WO-05. 

  10. KIC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08). "The stream eco-corridor restoration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weir removal with its function lost." Technical Report No. 051-051-015. 

  11. Kil, H. K., Kim, D. G., Jung, S. W., Shin, I. K., Choi, K. H., Woo, H. S., and Bae, Y. J. (2007).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after a small dam removal from the gyeongan stream in Gyeonggi-do,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1. 25, No. 4, pp. 385-393. 

  12. Kim, M. K., Shin, J. K., and Ji, H. K. (2005). "Probe of algal growth potential (AGP) by physio-biochemical analysis of microalgae in the stagnant watershed." Algae, Vol. 20, No. 2, pp. 127-132. 

  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Rivers Design Criteria."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p. 661-679. 

  14. Nakamura, S. (1997). "The story of fishways." Sankaido, pp. 141-158. 

  15.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2006). "Reducing the impact of weirs on aquatic habitat-New South Wales Detailed Weir Review." Report to the New South Wales Environmental Trust, pp. 4-5. 

  16. Peterw, D., Yanto, C., John, K., Wooster, S., Dusterhoffer, R., and Derek, B. B. (2009). "Managing reservoir sediment release in dam removal projects." An approach informed by physical and numerical modelling of non-cohesive sediment, Vol. 7, No. 4, pp. 433-452. 

  17. Takamura, Y., Akamatsu, Y., and Nagano, H. (2014). "A Study on river bed variation after the consolidation of the weir in Saba river."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er. B1 (Hydraulic Engineering) Vol. 70, No. 4, pp. I_1069-I_1074. 

  18. Takeyoshi, C. (2010). "Characteristics of riffle-pool structure formed by a drop structure."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er, B, Vol. 66, No. 3, pp. 223-234. 

  19. William, L. Graf. (2002). "Dam removal research-status and prospects." The Heinz Center, Proceedings of The Heinz Center's Dam Removal Research Workshop, pp. 67-79. 

  20. Yamamoto, K. (2004). "Structural fluviology." Sankaidou, Tokyo, pp. 126-137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