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래거북의 국내 현황 및 관리방안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Alien Turtles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5, 2016년, pp.319 - 332  

이도훈 (국립생태원) ,  김영채 (국립생태원) ,  장민호 (국립생태원) ,  김수환 (국립생태원) ,  김동언 (국립생태원) ,  길지현 (국립환경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붉은귀거북(Trachemys) 속 전종이 2001년 환경부의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어 수입이 금지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외래거북 국내 도입과 자연생태계 서식 현황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 도입된 외래거북의 종류와 서식 실태를 밝히고 자연생태계에 대한 영향 및 향후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외래거북은 국내에 총 9과 73종이 도입되었으며, 2008년 이후 연간 6,000kg 이상의 거북이 수입되어 동물판매업체와 재래시장, 개인 간 거래를 이용하여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자연생태계 서식현황을 조사한 결과, Chrysemys picta, Pseudemys concinna, P. nelsoni, P. peninsularis, P. rubriventris, Mauremys sinensis, Macrochelys temminckii, Trachemys scripta 등 3과 8종이 발견되었다. 국내에 도입된 외래거북 중 국외의 침입외래생물 관리 및 지정 현황을 검토하여 자라과(Trionychidae), 남생이과(Geoemydidae), 늪거북과(Emydidae), 늑대거북과(Chelydridae)에 속하는 4과 13종을 외부 유출과 자연생태계 유입 관리가 필요한 외래거북으로 구분했다. 외래거북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서는, 수입되는 외래거북은 수입목록에 등재하고, 수입목적, 유통, 관리실태 등 종합적인 정보를 관련 기관에서 공유해야 한다. 사육 및 유통자는 거북의 식별조치 및 관리기록을 의무화하고 관리기관은 거북의 이동 및 양도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유입과 확산을 조기에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연 서식하는 외래거북 개체군의 변화를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확산으로 인한 생태적 영향이 큰 도서지역 및 생태경관보전지역 등의 지역에서는 즉각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유입된 외래거북은 생태계에 대한 정기적 위해성평가를 통해 필요시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하고, 본 연구에서 외부 유출 및 자연생태계에 대한 유입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제시한 4과 13종을 포함한 자연생태계 미유입 외래거북은 필요시 위해우려종에 포함하는 등 법제적 관리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ien turtles belonging to Genus Trachemys have been designated as Invasive Alien Species since 2001 and their import has been banned in Korea. However, current status of import and distribution of the other alien turtles have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taxa of 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래거북 수입과 유통과정에서의 문제를 파악하고 국내에 도입된 외래거북을 조사하여 관리에 필수적인 종 목록을 정리하였으며, 자연에 유입되어 서식하고 있는 외래거북을 확인했다. 더불어, 자연생태계 유입 관리가 필요한 외래거북을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침입외래생물 대응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생태계 위협 요인 관리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래거북 수입과 유통과정에서의 문제를 파악하고 국내에 도입된 외래거북을 조사하여 관리에 필수적인 종 목록을 정리하였으며, 자연에 유입되어 서식하고 있는 외래거북을 확인했다. 더불어, 자연생태계 유입 관리가 필요한 외래거북을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침입외래생물 대응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생태계 위협 요인 관리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붉은귀거북은 언제부터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었는가? 붉은귀거북(Trachemys) 속 전종이 2001년 환경부의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어 수입이 금지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외래거북 국내 도입과 자연생태계 서식 현황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 도입된 외래거북의 종류와 서식 실태를 밝히고 자연생태계에 대한 영향 및 향후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외래생물의 국가 간 이동도 증가하게 된 이유는?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나타난 세계화로 교역과 수송, 여행, 관광업이 활발해졌으며, 이로 인해 외래생물의 국가 간 이동도 증가되었다. 새로운 서식지에 도입된 외래생물 가운데 정착지역에서 생존하고 번성하는 외래생물은 먹이자원과 서식지 측면에서 고유의 자생 생물을 압도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확산 하며 개체수를 증가시키며 도입된 범위 내에서 생태 계를 교란하게 된다(Kil 2012).
척추동물 중 거북이를 서식장소별로 어떻게 나누었는가/ 척추동물로 파충강(Reptilia) 거북목(Testudines) 에 속하는 거북은 형태적 특성에 따라 잠경아목 (Cryptodira)과 곡경아목(Pleurodira)으로 구분되 며, 현재 14과 약 300여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Reptile Database 2016).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하는 거북은 서식 장소에 따라 육지거 북, 반수생거북, 바다거북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이중 반수생거북은 약 200여종 이상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Bickham et al. 2007; Gibbons & Greene 2009; Vitt & Caldwell 2013; van Dij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rnold EN, Ovenden DW. 2002. Reptiles and amphibians of Europe (Vol. 288).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Animal sale [Internet]. 1993-2015. Animal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Cited 2016 Jun 28]. Available from: http://www.animal.go.kr/portal_rnl/sale/sale_list.jsp?s_wrk_cdA 

  3. Animal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animal.go.kr/portal_rnl/vicarious/public_info.jsp 

  4. Australian Government. Invasive species [Interne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Energy; [Cited 2015 May 26]. Available from: http://www.environment.gov.au/biodiversity/invasive-species 

  5. Branch WR. 1998. Field guide to snakes and other reptiles of southern Africa. Struik. 

  6. Bickham JW, Iverson, JB, Parham JF, Philippen, HD. 2007. An Annotated List of Modern Turtle Terminal Taxa with Comments on Areas of Taxonomic Instability and Recent Change Turtle Taxonomy Working Group. Chelonian research monographs. 4: 173-199. 

  7. CAAS: Species search [Internet]. Database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China; [Cited 2015 May 16].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Available from: http://www.chinaias.cn/wjPart/SpeciesSearch.aspx?daohan0 

  8. Cagle FR. 1946. The growth of the slider turtle, Pseudemys scripta elegan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685-729. 

  9. Conant R, Collins JT. 1998. A field guide to reptiles & amphibians: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Vol. 12). Houghton Mifflin Harcourt. 

  10. CBD: Alien species that threaten ecosystems, habitats or species [Internet]. 2002. COP6 decision VI/23.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ited 2015 May 16]. Available from: https://www.cbd.int/decision/cop/default.shtml?id7197 

  11. DAISE: Species Search [Internet]. Delivering Alien Invasive Species In Europe; [Cited 2015 May 3]. Available from: http://www.europe-aliens.org/speciesSearch.do 

  12. Feldman ML. 2005. The Red eared Slieder Turtle(Trachemys scripta elegans) in New Zealand. In Proceedings of the 13th Australian Vertebrate Pest Conference: 96-101. Manaaki Whenua-Landcare Research. 

  13. George RH. 1996. 14 Health Problems and Diseases of Sea Turtles. The biology of sea turtles. 1: 363. 

  14. Gibbons JW, Greene J. 2009. Turtles: The Animal Answer Guide. Th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MD. 

  15. Gibbons JW, Greene JL, Patterson KK. 1982. Variation in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aquatic turtles. Copeia.776-784. 

  16. GISD: Species [Internet].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Cited 2015 May 8]. Available from: http://www.iucngisd.org/gisd/ 

  17.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5. Current situation and main issue of pet Issue & Analysis.188: 1-20. 

  18. Hedges SB, Kumar S. 2009. The timetree of life. OUP Oxford. 

  19. INVASIVE.ORG: Species [Internet]. Center for Invasive Species and Ecosystem Health; [Cited 2015 May 23]. Available from: http://www.invasive.org/species.cfm 

  20. Kang YS, Yoon BI. 197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17 Amphibia-Reptilia. Mun'gyobu. [Korean Literature] 

  21. Kil JY. 2012. Invasive Alien Species A Threat to Biodiversit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2. Kil JH, Kim JM, Kim YH, Kim HM, Lee DH, Kim DE, Hwang SM, Lee CW, Sin HC. 2012. Invasive Alien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3. Kim SH, Lee HHM, Kim DE, Lee DH, Hwang IC, Lee CW, Kim HM, Lee HJ, Kim MJ, Kim DK, Song HY, Park EJ, Kim JM. 2014. Information on Alien Species o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Korean Literature] 

  2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4. The First National Mid-Long Term management Plan of Alien Species. [Korean Literature] 

  25. Korea Trade Statistics Promotion Institute. Statistics [Internet]. Trade Statistics Service; [Cited 2015 Dec 28]. Available from: http://www.trass.or.kr/service/statistic/StatisticsViewServlet?mainServiceURLP02M02D010 

  26. Limpus CJ. 1979. Notes on growth rates of wild turtles. Marine Turtle Newsletter. 10(3-5): 8. 

  27. Lovich JE, Barbour RW. 1994. Turtl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mithsonian Inst. Press. Washington, DC. 

  28. Lowe S, Browne M, Boudjelas S, De poorter M. 2000.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a Selection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Auckland, New Zealand.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The Guide for Convention of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Korean Literature] 

  30.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2016-112 (2016.6.17). Designation and notifica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Korean Literature] 

  3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Act on The Prevention of Contagious Animal Diseases [Internet]. Natio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15 Mar 28].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Act+on+The+Prevention+of+Contagious+Animal+Diseases&x54&y24#liBgcolor0 

  3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Internet]. Natio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15 Mar 2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Act+on+The+Prevention+of+Contagious+Animal+Diseases&x54&y24 

  3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Plant Protection Act [Internet]. Natio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15 Oct 12].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PLANT&x0&y0 

  3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Act 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Biodiversity [Internet]. Natio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15 Mar 23].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Korean Literature] 

  35.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5. List of Regulated Living Organisms under the Invasive Alien Species Act [Internet]. [Cited 2015 Jul 24]. Available from: http://www.env.go.jp/nature/intro/1outline/list/list.pdf 

  36. Ministry of the Environment. Invasive Alien Species Act [Internet]. Ministry of the Environment; [Cited 2015 May 18]. Available from: http://www.env.go.jp/en/nature/as/040427.pdf 

  37.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a. Nationwide Survey of Non-native Species in Korea(I). [Korean Literature] 

  38.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b. Ecological Studies of Alien Species (I). [Korean Literature] 

  3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Detailed Studies on Invasive Alien Species and Their Management(VII). [Korean Literature] 

  4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V). [Korean Literature] 

  4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A Study of Detailed on Invasive Alien Species on Korea and Designa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on Foreign Countries. [Korean Literature] 

  4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4. Wildlife Animal Survey. [Korean Literature] 

  43. NOBANIS: Alien species [Internet]. European Network on Invasive Alien Species; [Cited 2015 May 10]. Available from: https://www.nobanis.org/search-alien-species/ 

  44. NNSS: Non native species [Internet]. GB Non-Native Species Secretariat; [Cited 2015 May 7]. Available from: https://secure.fera.defra.gov.uk/nonnativespecies 

  45. Park JH. 2006. RFID Technology Trends and its applicatio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1(3): 137-146. 

  46. Plummer MV. 1977. Reproduction and growth in the turtle Trionyx muticus. Copeia. 440-447. 

  47. Powell R, Collins JT, Hooper ED. 1998. key to amphibians & reptiles of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and Canada. University Press of Kansas. 

  48. SCBD: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09.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Links Between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Impacts, Adaptation, and Mitigation. No. 42. UNEP/Earthprint. 

  49. The Reptile Database. Turtle [Internet]. 2016. [Cited 2016 Jul 7]. Available from: http://www.reptile-database.org/db-info/taxa.html#C8 

  50. van Dijk PP, Iverson JB, Rhodin GJ, Shaffer HB, R Bour. 2014. Turtles of the world, 7th Edition: annotated checklist of taxonomy, synonymy,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Chelonian Research Monographs. 5: 351-479. 

  51. Vitt LJ, Caldwell JP. 2013. Herpetology: an introductory biology of amphibians and reptiles. Academic Press. 

  52. Wyneken J, Godfrey MH, Bels V. 2007. Biology of Turtles: From Structures to Strategies of Life. CRC Press. 

  53. Zhao EM, Adler K. 1993. Herpetology of China. Oxford, Ohio, USA: Society for the Study of Amphibians and Reptiles in cooperation with Chinese Society for the Study of Amphibians and Reptile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