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야생에서 발견되는 외래거북류의 분포 특성 -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otic Turtles in Korean Wild - Based on Gangwon-do and Gyeongsangnam-do -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3, 2017년, pp.286 - 294  

구교성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권세라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도민석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김수환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수단의 발달은 국가 간의 장벽을 빠르게 낮추고 있지만 이는 과거보다 쉬운 생물종 이동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수 많은 종류의 외래생물들이 식량과 가죽, 애완 등의 목적으로 수입되고 있으며, 인위적 혹은 자연적으로 야생에 유입되어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외래생물종인 붉은귀거북을 비롯한 외래거북을 대상으로 국내 생태계로의 유입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에 위치한 총 126개의 저수지를 조사한 결과, 총 4속 8종 62개체의 외래거북들이 발견되었다. 그중 붉은귀거북의 발견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붉은귀거북의 자연 번식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붉은귀거북을 제외한 다른 외래거북들의 발견 빈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발견되는 지역의 범위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외래거북들은 공원 내 저수지와 같은 일반인의 접근이 비교적 높은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외래거북의 발견은 시가지라는 인위적인 요소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생태계에 유입되어 있는 외래거북류의 현황 파악과 동시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의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s rapidly reducing the barriers between countries, but this is causing the easier migration of species than the past. Typically, exotic species are imported for the purpose of food, leather, and pets. However, it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wild through artificiall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수 많은 종류의 외래생물들이 식량과 가죽, 애완 등의 목적으로 수입되고 있으며, 인위적 혹은 자연적으로 야생에 유입되어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외래생물종인 붉은귀거북을 비롯한 외래거북을 대상으로 국내 생태계로의 유입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에 위치한 총 126개의 저수지를 조사한 결과, 총 4속 8종 62개체의 외래거북들이 발견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야생으로 유입된 외래거북의 분포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도출된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야생으로 유입되어 관찰되는 외래거북종들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간의 접근성 증가와 교통수단의 발달이 가져온 효과는? 지구를 구성하는 산과 바다는 생물 간의 이동과 교류를 막는 자연적인 장벽이었지만, 국가 간의 접근성 증가와 교통수단의 발달은 그러한 벽을 빠른 속도로 낮추고 있다. 게다가 기후 변화, 국가 단위의 거래 증가와 애완동물 시장의 확장 등의 요인들은 국가 간 외래생물 유입을 가속화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Williamson, 1996; Lowe et al.
외래생물의 유입의 발생경로는? , 2010). 일반적으로 외래생물의 유입은 해충 억제, 식량 해결, 애완 등과 같은 인간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다(Bryan, 1932; Oliver and Shaw, 1953; Shine, 2010).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초기의 목적과는 다른 부작용들을 보이며, 토착종과 토착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Huxel, 1999; Pimentel, 2005; Lovell et al.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의 대표적인 예는? 국내에도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목적으로 외래생물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었으며, 그중 생태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18종을 생태계교란야생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환경부 고시 제2013-12호). 대표적인 종으로는 뉴트리아 Myocastor coypus, 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s,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 등이 있다. 유입된 대부분의 외래생물들은 대체식량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국내에 들여왔지만 낮은 수익률과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야생에 방사되어지고 있다(Ohand Hong, 2007; Mu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n, S.Q., B.H. Gu, C.F. Zhou, Z.S. Wang, Z.F. Deng, Y.B. Zhi, H.L. Li, L. Chen, D.H. Yu and Y.H. Liu. 2007. Spartina invasion in China: implications for invasive species management and future research. Weed Research 47: 183-191. 

  2. Barton, D.P. 1997. Introduced animals and their parasites: The cane toad, Bufo marinus, in Australia. Austral Ecology 22: 316-324. 

  3. Beard, K.H. 2007. Diet of the invasive frog, Eleutherodactylus coqui, in Hawaii. Copeia 2007: 281-291. 

  4. Beard, K.H. and E.M. O’Neill. 2005. Infection of an invasive frog Eleutherodactylus coqui by the chytrid fungus 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 in Hawaii. Biological Conservation 126: 591-595. 

  5. Boyer, D.R. 1965. Ecology of the basking habit in turtles. Ecology 46: 99-118. 

  6. Bryan, E.H, Jr. 1932. Frogs in Hawaii. Mid-Pacific Magazine 43: 61-64. 

  7. Buckley, Y.M., M. Rees, Q. Paynter and M. Lonsdale. 2004. Modelling integrated weed management of an invasive shrub in tropical Australia. Journal of Applied Ecology 41: 547-560. 

  8. Crossland, M.R., G.P. Brown, M. Anstis, C.M. Shilton and R. Shine. 2008. Mass mortality of native anuran tadpoles in tropical Australia due to the invasive cane toad (Bufo marinus). Biological Conservation 141: 2387-2394. 

  9. Gao, Y., Z. Lei, Y. Abe and S.R. Reitz. 2011. Species displacements are common to two invasive species of leafminer fly in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104: 1771-1773. 

  10. GISD,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2009. Trachemys scripta elegans. GISD.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11. Hauser, C.E. and M.A. McCarthy. 2009. Streamlining ‘search and destroy’: cost-effective surveillance for invasive species management. Ecology Letters 12: 683-692. 

  12. Hill, J.K., H.M. Griffiths and C.D. Thomas. 2010. Climate change and evolutionary adaptations at species’ range margin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6: 143-159. 

  13. Hoskin, C.J. 2011. The invasion and potential impact of the Asian House Gecko (Hemidactylus frenatus) in Australia. Austral Ecology 36: 240-251. 

  14. Huxel, G.R. 1999. Rapid displacement of native species by invasive species: effects of hybridiz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89: 143-152. 

  15. Jang, H.J. and J.H. Suh. 2010. Distribution of amphibian speci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2: 45-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Jung, J.H. 2014. Activity factors and diet analysis of the redeared slider turtle (Trachemys scripta) in Ansan Reed Wetland Park.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8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l, J. and C.G. Kim. 2014. Overview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their improvement.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 239-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G.R. and H.S. Oh. 2017.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nutria (Myocastor coypus) Introduced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6: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I.T., J.R. Park and W.J. Kim. 2013. Indirect evaluation of aquatic animal diversity in Ilsan Lak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ing condition and stomach content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al Engineer 35: 953-959. 

  20. Kim, S.H., H.H.M. Lee, D.E. Kim, D.H. Lee, I.C. Hwang, C.W. Lee, H.M. Kim, H.J. Lee, M.J. Kim, D.K. Kim, H.Y. Song, E.J. Park and J.M. Kim. 2014. Information on Alien Species o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75pp. (in Korean) 

  21. Lee, D.H., C.W. Lee and J. Kil. 2013. A Study on plant diet resource of nutria (Myocastor coypus) Habitat in Nakdong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 491-5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D.H., Y.C. Kim, M.H. Chang, S. Kim, D. Kim and J. Kil. 2016.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alien turtle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5: 319-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H.J. 2010.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eve's Turtle (Chinemys reevesii) populations in Jeolla-do and Gyeongsangnam-do.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4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ovell, S.J., S.F. Stone and L. Fernandez. 2006. The economic impacts of aquatic invasive spec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35: 195. 

  25. Lowe, S., M. Browne, S. Boudjelas and M. De Poorter. 2000.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a selection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Vol. 12). Auckland: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212pp. (in Korean) 

  27. Mito, T. and T. Uesugi. 2004. Invasive alien species in Japan: the status quo and the new regulation for prevention of their adverse effects.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8: 171-193. 

  28. Miyawaki, S. and I. Washitani. 2004.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riparian areas of Japan: the contribution of agricultural weeds, revegetation species and aquacultural species.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8: 89-101. 

  29. Mun, S., K.H. Nam, C.G. Kim, Y.J. Chun, H.W. Lee, J.H. Kil and J.C. Lee. 2013.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in Korea-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gal framework for invasive alien species between Japan and Korea. Environmental Policy 6: 35-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Ecological studies of alien species (I). 101pp. (in Korean) 

  3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Nationwide survey of nonnative species in Korea (I). 342pp. (in Korean) 

  32. Oh, H.S. and C.E. Hong. 2007. Current conditions of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emys scripta elegans imported to Jeju-do, including proposed management pla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311-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Oliver, J.A. and C.E. Shaw. 1953.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the Hawaiian Islands. Zoologica 38: 65-95. 

  34. Perez-Santigosa, N., M. Florencio, J. Hidalgo-Vila and C. Diaz- Paniagua. 2011. Does the exotic turtle, Trachemys scripta elegans, compete for food with coexisting native turtles?. Amphibia-Reptilia 32: 167-175. 

  35. Pimentel, D., R. Zuniga and D. Morrison. 2005. Update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alieninvasive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Ecological Economics 52: 273-288. 

  36. Rollins, L.A., A.P. Woolnough, A.N. Wilton, R.O.N. Sinclair and W.B. Sherwin. 2009. Invasive species can't cover their tracks: using microsatellites to assist management of starling (Sturnus vulgaris) populations in Western Australia. Molecular Ecology 18: 1560-1573. 

  37. Shine, R. 2010. The ecological impact of invasive cane toads (Bufo marinus) in Australia.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85: 253-291. 

  38. Song, J.Y. 2007.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reptile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5: 124-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The Reptile Database. 2017. Available from: http://www.reptiledatabase. org/db-info/taxa.html#C8. [Cited 27 Mar 2017]. 

  40. van Dijk, P.P., J. Harding and G.A. Hammerson. 2011. Trachemys scripta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6).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1: e.T22028A97429935. 

  41. Warwick, C., C. Steedman and T. Holford. 1990. Ecological implications of the Red-eared Turtle trade. Texas Journal of Science 42: 419-422. 

  42. Weber, E., S.G. Sun and B. Li. 2008. Invasive alien plants in China: diversity and ecological insights. Biological Invasions 10: 1411-1429. 

  43. Williamson, M. 1996. Biological invasions. Chapman & Hall. London. 244pp. 

  44. Wittenberg, R. and M.J. Cock. 2001. Invasive alien species: a toolkit of best preven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CABI. 

  45. Yan, X., L. Zhenyu, W.P. Gregg and L. Dianmo. 2001. Invasive species in China - an overview. Biodiversity & Conservation 10: 1317-1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