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를 위한 자기효능증진 전정재활운동 교육의 효과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Promot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Vestibular Hypofun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5, 2016년, pp.710 - 719  

이현정 (단국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전정기능검사실)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S-VR) on dizziness, exercise self-efficacy, adherence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VR), subjective and objective vestibular function, vestibular compensation and the recurrence of diz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정기능저하로 전정재활운동을 처방받은 어지럼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전략을 이용한 가정식 전정재활운동을 제공하고 전정재활운동 교육이 대상자의 어지럼 정도, 운동 자기효능감, 재활운동 이행정도, 주관적, 객관적 전정기능 및 전정보상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기간은 선행 연구 결과 전정재활운동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4주와 8주를 평가하고자 하며 연구종료 시점인 8주 후 두 군의 어지럼으로 인한 재입원 및 재방문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Bandura의 자기효능이론을 기초로 하여 8주간의 자기효능증진 전정재활운동이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의 어지럼, 운동 자기효능감, 전정재활이행, 주관적, 객관적 전정기능 및 전정보상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 중간인 4주 후 단기 효과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존의 가정식 재활운동의 낮은 이행 정도를 개선하기 위해 권고된 재활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시행되었다. 선행 연구에서 자기효능 증진 전략을 이용한 가정식 전정 재활운동 효과를 평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우나 본 연구 결과 적어도 8주 이상의 자기효능증진 전정재활운동이 주관적 전정기능의 회복과 객관적 전정기능의 부분적 회복 및 전정보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의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를 대상으로 총 8주간 자기효능증진 전정재활운동 교육을 개별적으로 시행한 후 그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무작위 통제 전후 대조군 설계의 실험연구이며 중재효과는 대상자의 주관적, 객관적 전정기능, 전정보상 정도 및 어지럼 재발을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를 대상으로 총 8주간 자기효능증진 전정재활운동 교육을 개별적으로 시행한 후 그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무작위 통제 전후 대조군 설계의 실험연구이며 중재효과는 대상자의 주관적, 객관적 전정기능, 전정보상 정도 및 어지럼 재발을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Bandura의 자기효능이론을 기초로 하여 8주간의 자기효능증진 전정재활운동이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의 어지럼, 운동 자기효능감, 전정재활이행, 주관적, 객관적 전정기능 및 전정보상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 중간인 4주 후 단기 효과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정기능저하로 전정재활운동을 처방받은 어지럼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전략을 이용한 가정식 전정재활운동을 제공하고 전정재활운동 교육이 대상자의 어지럼 정도, 운동 자기효능감, 재활운동 이행정도, 주관적, 객관적 전정기능 및 전정보상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기간은 선행 연구 결과 전정재활운동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4주와 8주를 평가하고자 하며 연구종료 시점인 8주 후 두 군의 어지럼으로 인한 재입원 및 재방문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치료는 어떤 단점을 가지고 있는가?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의 치료에는 전정재활운동과 약물치료가 있다. 그 중 약물치료는 효과가 제한적이며 증상 완화만을 위한 반복적인 약물치료는 오히려 전정기능의 회복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반면 전정재활 운동은 손상된 전정기능의 회복에 효과적이며 주관적 전정기능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6].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의 치료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의 치료에는 전정재활운동과 약물치료가 있다. 그 중 약물치료는 효과가 제한적이며 증상 완화만을 위한 반복적인 약물치료는 오히려 전정기능의 회복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전정재활 운동 치료를 시행할 때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반면 전정재활 운동은 손상된 전정기능의 회복에 효과적이며 주관적 전정기능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6]. 그러나 전정기능저하 후 전정재활 운동을 통해 뇌간 및 소뇌에서 전정보상이 발생하고 전정기능이 회복되기까지 수주에서 수개월의 시간이 요구되므로[7] 권고된 동작을 일정기간 반복, 지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의 전정재활 운동은 의사, 간호사 또는 청각사가 재활운동 방법을 교육하고 이후 대상자가 집에서 스스로 운동을 실천하도록 하는 가정식 전정재활운동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evern M, Neuhauser H.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a link between vertigo and migraine.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2011;21(6):299-304. http://dx.doi.org/10.3233/ves-2011-0423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Cause of dizziness [Internet]. Wonju: Author; 2013 [cited 2015 MAR 1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notice/02/1214308_13390.html. 

  3. Oh SY.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dizziness.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0;9(Suppl 1):S65-S71. 

  4. Sun DQ, Ward BK, Semenov YR, Carey JP, Della Santina CC. Bilateral vestibular deficiency: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implications. JAMA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2014;140(6): 527-534. http://dx.doi.org/10.1001/jamaoto.2014.490 

  5. Kim JI.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dizziness. Journal of the Korean Balance Society. 2007;6(1):93-99. 

  6. McDonnell MN, Hillier SL. Vestibular rehabilitation for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ar dysfunctio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1:CD005397.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5397.pub4 

  7. Kao CL, Chen LK, Chern CM, Hsu LC, Chen CC, Hwang SJ. Rehabilitation outcome in home-based versus supervised exercise programs for chronically dizzy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0;51(3):264-267. http://dx.doi.org/10.1016/j.archger.2009.11.014 

  8. Lee DJ, Rhee CK, Suh MW. Rehabilitation of vestibular hypofunction.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1;10(Suppl 1):S32-S37. 

  9. Balci BD, Akdal G, Yaka E, Angin S. Vestibular rehabilitation in acute central vestibulopath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2013;23(4-5):259-267. http://dx.doi.org/10.3233/ves-130491 

  10. Lee HJ, Choi-Kwon S. Factors influencing adherence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in patients with dizzi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4):434-443. http://dx.doi.org/10.7475/kjan.2014.26.4.434 

  11. Yang JS. Effect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in peripheral vestibular dysfunction [master's thesis]. Chuncheon: Hallym University; 2007. p. 1-70. 

  12.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W. H. Freeman; 1997. p. 1-604. 

  13. Hamid MA. Vestibular rehabilitation. Advances i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2;6:27-36. 

  14. Rhee CK. Vestibular rehabilitation. Audiology. 2010;6(1):1-9. 

  15. Toupet M, Ferrary E, Grayeli AB. Visual analog scale to assess vertigo and dizziness after repositioning maneuvers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2011;21(4):235-241. http://dx.doi.org/10.3233/ves-2011-0420 

  16. Kim H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eutic exercise practice, health beliefs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restricted shoulder range of mot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p. 1-58. 

  17. Jacobson GP, Newman CW. The development of the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Archives of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1990;116(4):424-427. http://dx.doi.org/10.1001/archotol.1990.01870040046011 

  18. Han GC, Lee EJ, Lee JH, Park SN, Lee HY, Jeon EJ, et al. The study of standardization for a Korean adaptation of self-report measures of dizziness. Journal of the Korean Balance Society. 2004;3 (2):307-325. 

  19. Kim DH, Lee JH, Kim BJ, Rhee CK, Jung JY. Analysis of clinical features in patients showing bilateral vestibulopathy with vestibular function test.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4;13(2):47-52. 

  20. Song SH, Park UY. The effects of figure skating training on equilibrium sensory organization and vestibular-ocular reflex. Exercise Science. 2013;22(4):319-327. 

  21. Murray K, Carroll S, Hill K.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balance and self-reported handicap after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2001;6(4):251-263. http://dx.doi.org/10.1002/pri.2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