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식 식품군의 in vitro 총 항산화능 (TDAC)과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와의 관련성
Protective effect of Korean diet food groups on lymphocyte DNA damage and contribution of each food group to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DAC)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5, 2016년, pp.277 - 287  

이민영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정화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 함량, in vitro 항산화활성 및 인체세포를 이용한 ex vivo DNA 손상 감소효과를 비교하고, 각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며, 한식의 총 식사 항산화능에 대한 각 식품군의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식의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곡류, 과일류, 채소류, 견과류, 김치류, 해조류, 감자류, 버섯류, 두류, 오일류)으로 분류한 후 각 식품군별로 총 섭취량의 1% 이상 섭취한 식품 84종을 한식의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EAC assay, $ORAC_{ROO{\cdot}}$ assay를 사용하여 in vitro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한식의 식품군별 항산화능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DAC)은 in vitro 항산화활성 평균값과 각 식품군의 1일 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한식 TDAC는 각 식품군의 DAC로의 합으로 구하였으며, TDAC에 대한 각 식품군 항산화능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인체 임파구에서의 ex vivo DNA 손상 정도는 comet assay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은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 김치류 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3가지 in vitro 실험법을 평균한 식품군의 항산화활성 순위는 버섯류, 해조류, 채소류, 김치류, 과일류 등의 순이었다. 각 식품군의 항산화활성에 식품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한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의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33.4%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 (23.9%), 채소류 (12.7%), 김치류 (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체 임파구에서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는 버섯류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김치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그리고 ex vivo DNA 보호효과의 순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각 지표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 식품군 중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에서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 DNA 손상 보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ex vivo DNA 보호효과 지표 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별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과일류, 채소류, 김치류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식의 우수성을 항산화 측면에서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otal phenolic contents,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nd reduction effect of Korean food groups on ex vivo DNA damage in human cells and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each indicator. Methods: Vegetable foods in the Korean diet based the results of the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 in vitro 항산화활성, 그리고 인체세포를 이용한 ex vivo DNA 손상 감소효과를 비교하여 각 실험법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각 한식 식품군의 TDAC에 대한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 함량, in vitro 항산화활성 및 인체세포를 이용한 ex vivo DNA 손상 감소효과를 비교하고, 각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며, 한식의 총 식사 항산화능에 대한 각 식품군의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식의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곡류, 과일류, 채소류, 견과류, 김치류, 해조류, 감자류, 버섯류, 두류, 오일류)으로 분류한 후 각 식품군별로 총 섭취량의 1% 이상 섭취한 식품 84종을 한식의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 한식의 총 항산화능(TDAC)은 식품군의 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되므로, 항산화활성이 가장 낮았던 곡류가 한식의 총 항산화능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으며, 식사의 올바른 항산화활성 평가를 위해서는 섭취량을 고려한 총 항산화능의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식사의 항산화활성 평가도구로서 TDAC의 유용성을 밝히고, 한식 식품군의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의 높은 상관관계를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성 식품이 풍부한 한식 식사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인체 내에서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보호하여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증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 산소의 생성이 체내 항산화 방어 메커니즘의 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가? 1 이렇게 산화된 DNA는 인체 내 많은 항산화 방어기전에 의해 DNA 손상이 제한되거나 광범위한 범위에서 DNA 복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세포의 손상을 일으키는 ROS의 생성이 체내 항산화 방어 메커니즘의 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산화 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되어 체내의 항산화 상태를 악화시키고 노화, 암, 심혈관계 질환 등을 발병시키는 원인이 된다.2
단세포 전기 영동법은 어떻게 DNA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가? 식품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in vitro 화학적 측정법들 외에 생체 세포를 이용하는 생물학적 측정법이 있으며 최근 화학적 측정결과 보다는 생물학적 측정결과가 실제 생체 내에서의 항산화활성을 더 잘 나타내 준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17 생체 내 깨진 DNA 단편을 염색 한 후에 전기영동에 의해 이동된 DNA의 길이를 측정하여 DNA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단세포 전기 영동법(th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은 DNA 단일 또는 이중가닥의 손상을 세포 수준에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생체 내에서의 항산화활성을 반영 할 수 있다.18
총 식사 항산화능이란? 총 식사 항산화능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DAC)이란 매일의 식사에서 섭취하는 모든 식물성 식품 및 음료의 항산화 활성의 합을 말하며, 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항산화 활성의 누적효과를 평가하는 도구로서 사용된다.13 개별 식품 또는 식품 속 특정 물질의 항산화 활성은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총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주지 못하므로 단일 식품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것보다 총 식사 항산화능인 TDAC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De Bont R, van Larebeke N. Endogenous DNA damage in humans: a review of quantitative data. Mutagenesis 2004; 19(3): 169-185. 

  2. Benzie IF. Evolution of antioxidant defence mechanisms. Eur J Nutr 2000; 39(2): 53-61. 

  3. Saura-Calixto F, Goni I. Definition of the Mediterranean diet based on bioactive compounds. Crit Rev Food Sci Nutr 2009; 49(2): 145-152. 

  4. Hertog MG, Feskens EJ, Hollman PC, Katan MB, Kromhout D.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1993; 342(8878): 1007-1011. 

  5. Hertog MG, Kromhout D, Aravanis C, Blackburn H, Buzina R, Fidanza F, Giampaoli S, Jansen A, Menotti A, Nedeljkovic S, Pekkarinen M, Simic BS, Toshima H, Feskens EJ, Hollman PC, Katan MB. Flavonoid intake and long-term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cancer in the seven countries study. Arch Intern Med 1995; 155(4): 381-386. 

  6. Doll R. An over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linking diet and cancer. Proc Nutr Soc 1990; 49(2): 119-131. 

  7. Hertog MG, van Poppel G, Verhoeven D.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secondary metabolites from fruit and vegetables. In: Tomas-Barberan FA, Robins RJ, editors. Phytochemistry of Fruit and Vegetable. Oxford: Clarendon Press; 1997. p.313-329. 

  8. Serafini M, Del Rio D, Crozier A, Benzie IF. Effect of changes in fruit and vegetable intake on plasma antioxidant defenses in humans. Am J Clin Nutr 2005; 81(2): 531-532. 

  9. Mullen W, Marks SC, Crozier A. Evalu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commercial fruit juices and fruit drinks. J Agric Food Chem 2007; 55(8): 3148-3157. 

  10. Luthria DL, Pastor-Corrales MA. Phenolic acids content of fifteen dry edible bean (Phaseolus vulgaris L.) varieties. J Food Compost Anal 2006; 19(2-3): 205-211. 

  11. Wang S, Meckling KA, Marcone MF, Kakuda Y, Tsao R. Synergistic, additive, and antagonistic effects of food mixtures on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J Agric Food Chem 2011; 59(3): 960-968. 

  12. Lila MA. Interactions between flavonoids that benefit human health. In: Gould K, Davies KM, Winefield C, editors. Anthocyanins: Biosynthesis, Functions, and Application. New York (NY): Springer; 2009. p. 305-320. 

  13. Yang M, Chung SJ, Chung CE, Kim DO, Song WO, Koo SI, Chun OK. Estimation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from diet and supplements in US adults. Br J Nutr 2011; 106(2): 254-263. 

  14. Serafini M, Del Rio D. Understand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antioxidants, redox status and disease: is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the right tool? Redox Rep 2004; 9(3): 145-152. 

  15. Hermsdorff HH, Puchau B, Volp AC, Barbosa KB, Bressan J, Zulet MA, Martinez JA. Dietary total antioxidant capacity is inversely related to central adiposity as well as to metabolic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in healthy young adults. Nutr Metab (Lond) 2011; 8: 59. 

  16. Wang Y, Yang M, Lee SG, Davis CG, Koo SI, Chun OK. Dietary total antioxidant capacity is associated with diet and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healthy young adults. J Acad Nutr Diet 2012; 112(10): 1626-1635. 

  17. Rockett JC, Burczynski ME, Fornace AJ Jr, Herrmann PC, Krawetz SA, Dix DJ. Surrogate tissue analysis: monitoring toxicant exposure and health status of inaccessible tissues through the analysis of accessible tissues and cells. Toxicol Appl Pharmacol 2004; 194(2): 189-199. 

  18. Collins A, Dusinska M, Franklin M, Somorovska M, Petrovska H, Duthie S, Fillion L, Panayiotidis M, Raslova K, Vaughan N. Comet assay in human biomonitoring studies: reliability, validation, and applications. Environ Mol Mutagen 1997; 30(2): 139-146. 

  19. Suh JH, Paek OJ, Kang YW, Ahn JE, Yun JS, Oh KS, An YS, Park SH, Lee SJ.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various vegetables. J Food Hyg Saf 2013; 28(4): 337-341. 

  20. Jeon EJ, Park YK, Kim JS, Kang MH. Comparison of the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and fruits or vegetable juices on DNA damage in human lymphocyte cells using the comet assay. Korean J Nutr 2004; 37(6): 440-447. 

  21. Han JH, Lee HJ, Cho MR, Chang NS, Kim YR, Oh SY, Kang MH.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the Korean diet. Nutr Res Pract 2014; 8(2): 183-191. 

  22. Randhir R, Shetty P, Shetty K. L-DOPA and total phenolic stimulation in dark germinated fava bean in response to peptide and phytochemical elicitors. Process Biochem 2002; 37(11): 1247-1256. 

  23. Chen HM, Muramoto K, Yamauchi F, Fujimoto K, Nokihara 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stidine-containing peptides designed from peptide fragments found in the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c Food Chem 1998; 46(1): 49-53. 

  24. Lee YJ, Lee SW, Lee SC, Park EJ.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genotoxic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Acorus gramineus, Bud of Aralica elata Seem, Capsella bursa-pastoris, and Taraxacum officinale. J Basic Sci 2014; 31: 45-58. 

  25. Singh NP, McCoy MT, Tice RR, Schneider EL.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Exp Cell Res 1988; 175(1): 184-191. 

  26. Park YK, Kim JS, Jeon EJ, Kang MH. The improvement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blood glucose and cellular DNA damag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2009; 42(1): 5-13. 

  27. Saura-Calixto F, Goni I. Antioxidant capacity of the Spanish Mediterranean diet. Food Chem 2006; 94(3): 442-447. 

  28. Choi SJ, Lee YS, Kim JK, Ki JK, Lim S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or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8): 1087-1096. 

  29. Qi Y, Zhao X, Lim YI, Park KY.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Molecules 2015; 20: 19489-19525. 

  30. Song YS, Kim SH, Sa JH, Jin C, Lim CJ, Park EH. Anti-angiogenic,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 mushroom Phellinus linteus. J Ethnopharmacol 2003; 88(1): 113-116. 

  31. Kim HY, Koo SC, Kang BK, Lee YH, Kim HT, Yun HT, Baek IY, Jeong HS, Choi MS. Growth characteristics of sprouts and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with cultivated temperature. Korean J Crop Sci 2014; 59(2): 201-207. 

  32. Woo KS, Seo HI, Lee YH, Kim HY, Ko JY, Song SB, Lee JS, Jung KY, Nam MH, Oh IS, Jeong HS.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weet potatoes with cultivated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4): 519-525. 

  33. Kim SM, Na MS. A study on skin care effects of rapeseed meal extract. KSBB J 2013; 28(3): 177-184. 

  34. Lee MH, Kim JM, Park EJ.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 of Sansuyu fruit (Corni fructu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Cancer Prev Res 2013; 18(1): 66-73. 

  35. Jayakumar R, Kanthimathi MS. Dietary spices protect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and inhibit nicotineinduced cancer cell migration. Food Chem 2012; 134(3): 1580-1584. 

  36. Madrigal-Bujaidar E, Diaz Barriga S, Mota P, Guzman R, Cassani M. Sister chromatid exchanges induced in vitro and in vivo by an extract of black pepper. Food Chem Toxicol 1997; 35(6): 567-571. 

  37. Kim SH, Kim MS, Lee MS, Park YS, Lee HJ, Kang SA, Lee HS, Lee KE, Yang HJ, Kim MJ, Lee YE, Kwon DY. Korean diet (Kdiet):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J Ethn Food 2016; 3(1): 26-31. 

  38. Mellen PB, Walsh TF, Herrington DM. Whole grain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meta-analysi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8; 18(4): 283-290. 

  39. Fung TT, Hu FB, Pereira MA, Liu S, Stampfer MJ, Colditz GA, Willett WC. Whole-grain intake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in men. Am J Clin Nutr 2002; 76(3): 535-540. 

  40. Enright L, Slavin J. No effect of 14 day consumption of whole grain diet compared to refined grain diet on antioxidant measures in healthy, young subjects: a pilot study. Nutr J 2010; 9(1): 12-19. 

  41. Andersson A, Tengblad S, Karlstrom B, Kamal-Eldin A, Landberg R, Basu S, Aman P, Vessby B. Whole-grain foods do not affect insulin sensitivity or markers of lipid peroxidation and inflammation in healthy, moderately overweight subjects. J Nutr 2007; 137(6): 1401-14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