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Food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5, 2016년, pp.358 - 366  

양은주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길진모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8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신체 계측 및 혈압측정,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세였으며 한국 평균거주기간은 5.3년이었고 연령 분포는 20~29세가 40명 (48.2%), 30~49세가 43명 (51.8%)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평균체중은 53.7 kg, 평균 신장은 156.3 cm 였으며,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그룹이 5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체중, BMI, 체지방률, 이완기 혈압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식품군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20~29세 그룹에 비해 30~49세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한 같은 연령대의 우리나라 여성과 비교하면 과일류, 육류, 당류 섭취량이 낮고 계란류, 어패류, 우유 및 유제품류의 섭취량이 높은 편이었다. 영양소 섭취상태를 살펴보면 총 에너지섭취량은 1,641.0 kcal였으며 20대 조사대상자의 85.0%가 에너지필요 추정량 이하로 에너지를 섭취하였으며, 30~40대의 76.7%가 에너지필요추정량 이하로 섭취하였고, 칼슘,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6$, 비타민 C, 엽산 등은 조사대상자의 50% 이상이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였다. 20대 그룹에 비해 30~40대 그룹이 비만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식품섭취량에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채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식생활과의 관련성이 적었다. 조사대상자를 거주기간으로 구분하여 비교하면 거주기간이 5년 이하인 그룹이 5년 이상 거주 그룹에 비해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계란이나 우유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세로 비교적 젊고 건강하여 한국 이주 후의 식생활 변화에 의한 건강상의 변화에 큰 영향이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의 영양섭취상태는 사회 경제적 여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결혼이주 여성의 올바른 식생활 정착 및 다양하고 경제적이며 건강한 식품선택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결혼 이주 여성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인터넷 등의 교육매체를 적극 활용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주부의 건강한 식품선택과 올바른 영양관리는 가족전체의 식품섭취와 영양상태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건강한 사회의 초석이 되므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ttending Korean language class in Gwangju, Korea by analyzing daily food and nutrient intake. Methods: Eighty-three female immigrants completed a surve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obtained, an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8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신체 계측 및 혈압측정,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세였으며 한국 평균거주기간은 5.
  • 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조사를 통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올바른 식생활 문화 및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건강한 식생활 영위를 통한 한국사회로의 성공적인 정착을 도울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연구는 결혼이주 여성의 특성, 한국에서의 생활 정도, 연구 방법 등에 따라 연구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출신국 식생활에 대한 제한된 정보로 인하여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거주 기간, 한국으로의 이주 나이 등에 의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연령별, 거주 기 간별로 구분하여 식품 및 영양상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조사대상자를 연령으로 구분하여 비교할 때, 연령이 많은 그룹이 비만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식생활에서는 오히려 채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다른 식품섭취에서 는 차이가 없어 식생활과의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활은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식생활은 지역적, 인종적, 종교적, 사회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결혼이주여성은 그동안 자신이 속해온 지역 및 사회경제적 환경을 떠나 새로운 생활환경으로의 적응이 필요하며, 새로운 식생활의 변화와 적응은 이주 후 건강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조사를 통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는 연구를 하게 된 배경은?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 실태5-9 및 식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10-14는 종종 이루어져왔으나 실제 섭취한 식품이나 영양섭취상태5,15,16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조사를 통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올바른 식생활 문화 및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건강한 식생활 영위를 통한 한국사회로의 성공적인 정착을 도울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영양상태는 어떠한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5 한국인 에너지필요추정량보다 낮게 섭취하는 비율이 조사 대상자의 89%에 이르며, 평균필요량을 만족하지 못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50%가 넘는 영양소가 철, 아연, 비타민 A, 리보플라빈, 엽산, 비타민 C, 칼슘 등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 Kim & Lee7 의 대구지역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대상의 연구를 살펴보면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길수록 각 식품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아 영양섭취가 더욱 불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 거주초기에 한국음식이 너무 맵거나 짜서 음식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8 교육수준, 월평균 가구소득, 한국거주기간, 한국문화적응수준에 비례하여 식생활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후 식습관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tatistics Korea. International marriage: 2015[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s; 2016 [cited 2016 Sep 30].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30. 

  2. Kim JE, Kim JM, Seo SH.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2011; 44(4): 312-325. 

  3. Tucker KL. Dietary patterns, approaches,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 Appl Physiol Nutr Metab 2010; 35(2): 211-218. 

  4. Yang EJ, Chung HK, Kim WY, Bianchi L, Song WO. Chronic diseases and dietary changes in relation to Korean Americans’ length of residence in the United States. J Am Diet Assoc 2007; 107(6): 942-950. 

  5.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Hwang JY.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22-30. 

  6. Jung ML, Rho SN, Kim CS. The survey of anthropometric data and dietary behavior of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Incheon, Ko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7; 17(3): 289-303. 

  7. Kim JM, Lee NH.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2009; 15(4): 405-418. 

  8. Han YH, Shin WS, Kim JN.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2011; 19(1): 115-159. 

  9. Kim HR, Yeo JY, Ju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0. Asano K, Yoon J, Ryu SH. Factors related to Korean dietary adaptation in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5; 25(2): 234-245. 

  11. Asano K, Yoon J, Ryu SH.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4): 317-327. 

  12. Lee JS.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6): 807-815. 

  13. So J, Han SN.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89-602. 

  14. Kim JH, Lee MH. Dietary behavior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53-64. 

  15. Kim JM, Lee HS, Kim MH. Food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immigrants into Korea through marriage. Korean J Nutr 2012; 45(2): 159-169. 

  16. Lyu JE, Yang YJ, Lee SE, Chung HW, Kim MK, Kim WY. Nutritional status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Korea in relation to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n Nutr Metab 2009; 55(4): 317-324. 

  17. Yang EJ.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Korea. J Nutr Health 2016; 49(3): 179-188. 

  18. Kim JK, Kim JM, Kim H, Chung HW, Chang N.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the risk of hypertriglyceridemia in Vietnamese women residing in Bavi: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Korean J Nutr 2013; 46(1): 15-25.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20. Hwang JY, Lee H, Ko A, Han CJ, Chung HW, Chang N. Dietary changes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KoGES follow-up study. Nutr Res Pract 2014; 8(3): 319-326. 

  21. Mohan V. Why are Indians more prone to diabetes? J Assoc Physicians India 2004; 52(6): 468-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