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 조사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3, 2016년, pp.179 - 188  

양은주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92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특징과 건강, 식생활 실태를 조사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조사에 응한 결혼이주여성의 평균 연령은 31.3세, 한국에서의 평균 거주기간은 5.5년이었으며, 출신국은 베트남 56%, 중국 26%, 필리핀 12%, 기타 국가 12% 등이었다.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질병은 소화기계 질환, 빈혈, 신경계 질환 순이었고, 만성 성인병 유병률은 낮은 편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체위를 살펴보면, 현재 평균 체중은 54 kg으로서, 한국으로 이주할 때 체중과 비교하면 평균 3.8 kg 증가하였으며, BMI $25kg/m^2$를 기준으로 비만한 조사대상자는 17%였다. 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영양적 가치, 건강, 식품에 대한 기호도 순으로 건강에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37.0%, 가족 28.3%, TV 또는 라디오 27.2% 순으로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습득이 가장 많았다. Mini dietary assessment로 판정한 식습관점수는 5점 만점 기준에 3.45이었으며, 유제품 섭취, 단백질 섭취, 규칙적 식사, 골고루 섭취하기 등에서 점수가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지방이 많은 음식이나 동물성 지방, 튀긴 음식, 당이나 탄산음료도 적게 섭취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정도를 살펴보면, 한국으로 이주 후 식습관이 많이 변했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33.7%였으며, 식습관 변화 내용으로는 식품섭취 증가와 관련되었으며, 특히 과일과 채소의 섭취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거주 기간이 BMI, 허리둘레와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 있었으며, 거주 기간별로 비만, 질병 유병, 식습관 변화 정도를 살펴본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그룹이 5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식습관이 많이 변하고 비만율이 증가하였으나 질병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거주기간과 질병 유병률이 역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는 본 조사대상자의 한국 평균 거주기간이 비교적 짧아 한국 문화에 대한 적응단계가 이행단계와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 적응 및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은 결혼이주 여성 뿐 만 아니라 이들이 속하고 책임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결혼이주 여성에 대한 장기적이고 다양한 연구와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document the dietary behaviors, dietary changes, and health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Korea. Methods: The survey included 92 female immigrants attending Korean language class at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Ge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92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특징과 건강, 식생활 실태를 조사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조사에 응한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 경제적 특징 (거주기간, 연령, 사회경제적 수준 등)과 식생활 및 건강 실태 조사를 통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식생활 형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호남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고 (심의번호: 1041223-201510-HR- 089-01) 연구의 필요성 및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결혼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1~2014년 사이 국제결혼은 몇 건인가?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국제결혼을 통한 동남아 여성들의 결혼이주가 증가하면서 2001~2014년 사이에 총 418,920건의 국제결혼이 이루어졌으며, 이중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의 결혼이 310,441건으로 전체 국제결혼의 74% 를 차지했다. 1 2014년도 외국인과의 혼인은 23,316건으로 전체 혼인의 8.
다문화가정 결혼이주 여성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문화가정 결혼이주 여성들은 결혼과 이주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생활하면서 언어, 생활습관, 문화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스트레스와 갈등을 겪고 있다. 결혼을 통해 한국 으로 이주하는 여성들은 이주 후 한국 문화에 바로 노출되고, 동시에 한국 가정 내에서 가사 준비 및 식사준비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2 급격한 식생활 변화에 직면하게 된다. 가정의 식사를 담당하면서도 본인이 선호하는 모국의 음식을 거의 먹지 못하고, 주체적이지 못한 식품 선택을 하게 되고 하루 세끼를 대부분 한식으로 먹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한국 거주 기간이 일정 기간 증가할 때 오히려 식품섭취가 소홀한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3
다문화가정 결혼이주 여성들이 겪는 불편함은 무엇인가? 다문화가정 결혼이주 여성들은 결혼과 이주라는 이중적인 어려움에 생활하면서 언어, 생활습관, 문화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스트레스와 갈등을 겪고 있다. 결혼을 통해 한국 으로 이주하는 여성들은 이주 후 한국 문화에 바로 노출되고, 동시에 한국 가정 내에서 가사 준비 및 식사준비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2 급격한 식생활 변화에 직면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International marriage: 201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6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30. 

  2. So J, Han SN.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89-602. 

  3. Kim JM, Lee NH.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2009; 15(4): 405-418. 

  4. Kim JM, Lee HS, Kim MH. Food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immigrantsinto Korea through marriage. Korean J Nutr 2012; 45(2): 159-169. 

  5. Han YH, Shin WS, Kim JN.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2011; 19(1): 115-159. 

  6. Jeong MJ, Jung EK, Kim AJ, Joo N. Nutrition knowledge and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buk region. J Korean Diet Assoc 2012; 18(1): 30-42. 

  7. Kim SH, Kim WY, Lyu JE, ChungHW, Hwang JY.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22-30. 

  8. Holmboe-Ottesen G, Wandel M. Changes in dietary habits after migration and consequences for health: a focus on South Asians in Europe. Food Nutr Res 2012; 56: 18891. 

  9. Yun JW, Kang HS. Factors influencing married immigrant women's perceived health status: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5; 21(1): 32-42. 

  10. Kim WJ. Social participation and health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J Community Welf 2014; 48: 77-103. 

  11. Cho JE, Cho GJ. A study on changes of the effect of factors to married immigrant women's health: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2009, 2012). J Migr Soc 2014; 7(2): 5-28. 

  12. Yang SJ, Chee YK, Kim JA, An J.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Nurs Health Sci 2014; 16(3): 373-380. 

  13. YangEJ, Chung HK, Kim WY, Bianchi L, Song WO. Chronic diseases and dietary changes in relation to Korean Americans' length of residence in the United States. J Am Diet Assoc 2007; 107(6): 942-950. 

  14. Yang EJ, Kim WY, Song WO. Health risks in relation to dietary changes in Korean Americans. Korean J Diet Cult 2001; 16(5): 515-524. 

  15. Seo IJ, Park JS. Health promoting behaviors, health problem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n. J Digit Converg 2013; 11(4): 369-382. 

  16. Kim HR, Yeo JY, Ju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7. Cha SM, Bu SY, Kim EJ, Kim MH, Choi MK. Study of dietary attitudes and diet 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J Korean Diet Assoc 2012; 18(4): 297-307. 

  18. Lee JS.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6): 807-815. 

  19. Asano K, Yoon J, Ryu SH.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4): 317-327. 

  20. Kim JE, Kim JM, Seo SH.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2011; 44(4): 312-325. 

  21. Kim JK, Kim JM, Kim H, Chung HW, Chang N.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the risk of hypertriglyceridemia in Vietnamese women residing in Bavi: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Korean J Nutr 2013; 46(1): 15-25.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23. Mohan V. Why are Indians more prone to diabetes? J Assoc Physicians India 2004; 52(6): 468-474. 

  24. Hwang JY, Lee H, Ko A, Han CJ, Chung HW, Chang N. Dietary changes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KoGES follow-up study. Nutr Res Pract 2014; 8(3): 319-326. 

  25. Tserendejid Z, Hwang J, Lee J, Park H. The consumption of more vegetables and less meat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acculturation among Mongolians in South Korea. Nutr Res 2013; 33(12): 1019-1025. 

  26. Kim JH, Lee MH. Dietary behavior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53-64. 

  27. Han YH, Shin WS, Kim JN. Special theme: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dentity of migrants;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2011; 19(1): 115-159. 

  28. Yoon EJ. The Korean diaspora: migration, adaptation, and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Korean J Sociol 2003; 37(4): 101-142. 

  29. Berry JW, Kalin R. Multicultural and ethnic attitudes in Canada: an overview of the 1991 national survey. Can J Behav Sci 1995; 27(3): 301-320. 

  30. Berry J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 Psychol 1997; 46(1): 5-34. 

  31. Choi SH, Joo J, Lee YJ, Kim HS. Social welfare for women. Paju: Yangseowon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