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5, 2016년, pp.378 - 394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랑 ((주)영양과 미래) ,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통계학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5세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어린이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및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38개 후보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후보 평가항목 중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잘 반영해 주는 평가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어린이집 3~5세반 100명의 부모/보호자를 대상으로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평가항목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다양성,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로부터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평가항목과 영유아 식생활지침과 어린이 급식관리지침서 영양관리기준에 근거하여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영양지수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전국 어린이집 목록을 활용하여 조사 대상 어린이집을 기본 층화변수로 5개 권역을 설정하여 어린이집 수를 할당하고 어린이집 당 약 10명을 표본으로 하여 총 41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정적 요인분석에 의해 영양지수구조 모형에 포함된 평가항목은 14개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1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영양지수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전문가 자문에 의한 요인 검토와 조정을 거친 결과 영양지수는 3-factor structure로서 균형, 절제, 환경의 3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균형' 영역에는 콩제품, 생선, 고기, 채소, 흰 우유 섭취의 5개 평가항목, '절제' 영역에는 가공육류, 가공음료, 과자류, 패스트푸드 섭취의 4개 평가항목, 그리고 '환경' 영역에는 아침식사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 식사 전 손씻기, 바른 식생활을 위한 노력 정도, TV시청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시간 (screen time)의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영역별 가중치는 균형 0.45, 절제 0.30, 환경 0.25로 설정하였으며, 영역 내 항목 가중치는 표준화 경로계수를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전국 3~5세 취학전아동 (n = 412명)의 NQ-P 점수는 평균 60.64점 (중앙값: 60.84점, 최소값: 34.99점, 최대값: 88.72점)이었고, 영역별 평균 점수를 보면 균형 60.49점, 절제 51.49점, 환경 71.66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NQ-P는 14개 문항의 체크리스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영양지수 점수는 물론, 균형, 절제, 환경의 3개 영역 (요인)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영양지수 점수와 영역 점수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상대적인 NQ-P 등급을 부여하고,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creening of preschool-age children for nutrition programs to improve dietary intake and behaviors requires cost-effective and easily administered validated assessment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caregiver-administered instrument for measuring diet quality an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취학전아동의 경우 식생활이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들에 의해 피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학령기아동과는 관련 요인이 다를 가능성이 크며, 본인의 실천에 의해서가 아니라 가정과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식생활 환경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 및 식생활 평가 도구는 개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당도가 입증된 간단한 체크리스트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개인이나 집단의 영양 상태와 식사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영양지수라고 정의하고, 3~5세의 부모/보호자를 설문 대상으로 한 취학전아동용 영양지수(NQ-P)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3~5세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취학전아동의 영양상태와 식사의 질을 간단히 평가할 수 있는 영양지수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어린이가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바람직한 식사 행동을 하고 있는지를 영양지수 점수로 평가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HEI, DQI와 달리, 24시간 회상법이나 식품섭취빈도 조사에 의한 취학전아동의 식사 섭취 정보를 간편한 식품섭취 및 식행동 조사로 대체함으로써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지수를 구성하는 평가항목의 타당한 선정이 가장 중요한 개발 과정 중의 하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영양 및 식생활 평가가 갖는 단점은? 일반적으로 영양 및 식생활 평가는 24시간 회상이나 기록, 섭취빈도에 의한 식사섭취조사를 통해 식사 내용 및 식사패턴을 파악하는데,2 이러한 평가 방법은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취학전아동의 영양 및 식생활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식사 및 식행동 교정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사용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평가 도구의 개발 필요성이 커졌다.
취학전아동기에 올바른 식행동 실천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1 사회 환경 변화로 아침결식, 편식, 비만 등의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가정에서의 올바른 식습관 지도 및 식사예절 교육의 부재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정상적인 성장발육과 영양소의 적절한 공급이 중요한 것은 물론, 형성된 식습관은 향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올바른 식행동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1
24시간 회상이나 기록, 섭취빈도에 의한 식사섭취조사를 수행해야하는 일반적 영양 및 식생활 평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영양 및 식생활 평가는 24시간 회상이나 기록, 섭취빈도에 의한 식사섭취조사를 통해 식사 내용 및 식사패턴을 파악하는데,2 이러한 평가 방법은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취학전아동의 영양 및 식생활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식사 및 식행동 교정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사용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평가 도구의 개발 필요성이 커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Marotz LR. Feeding toddlers and young children. In: Marotz LR, editor. Health, Safety, and Nutrition for the Young Child. 7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2009. p. 428-447. 

  2. Smithers LG, Golley RK, Brazionis L, Emmett P, Northstone K, Lynch JW. Dietary patterns of infants and toddlers are associated with nutrient intakes. Nutrients 2012; 4(8): 935-948. 

  3. Northstone K, Emmett PM. Are dietary patterns stable throughout early and mid-childhood? A birth cohort study. Br J Nutr 2008; 100(5): 1069-1076. 

  4. Mikkila V, Rasanen L, Raitakari OT, Pietinen P, Viikari J. Consistent dietary patterns dentifie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he cardiovascular risk in young Finns study. Br J Nutr 2005; 93(6): 923-931. 

  5. Randall Simpson JA, Keller HH, Rysdale LA, Beyers JE. Nutrition screening tool for every preschooler (NutriSTEP): validation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a parent-administered questionnaire assessing nutrition risk of preschoolers. Eur J Clin Nutr 2008; 62(6): 770-780. 

  6. Randall Simpson J, Gumbley J, Whyte K, Lac J, Morra C, Rysdale L, Turfryer M, McGibbon K, Beyers J, Keller H.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of toddler NutriSTEP: a nutrition risk screening questionnaire for children 18-35 months of age. Appl Physiol Nutr Metab 2015; 40(9): 877-886. 

  7. Manios Y, Kourlaba G, Grammatikaki E, Androutsos O, Moschonis G, Roma-Giannikou E. Development of a diet-lifestyle quality index for young children and its relation to obesity: the preschoolers diet-lifestyle index. Public Health Nutr 2010; 13(12): 2000-2009. 

  8. Feskanich D, Rockett HR, Colditz GA. Modifying the healthy eating index to assess diet qua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2004; 104(9): 1375-1383. 

  9. Kranz S, Hartman T, Siega-Riz AM, Herring AH. A diet quality index for American preschoolers based on current dietary intake recommendations and an indicator of energy balance. J Am Diet Assoc 2006; 106(10): 1594-1604. 

  10. Kranz S, Findeis JL, Shrestha SS. Use of the revised children’s diet quality index to assess preschooler’s diet quality, its sociodemographic predictors, and its association with body weight status. J Pediatr (Rio J) 2008; 84(1): 26-34. 

  11. Golley RK, Hendrie GA, McNaughton SA. Scores on the dietary guideline index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associated with nutrient intake and socio-economic position but not adiposity. J Nutr 2011; 141(7): 1340-1347. 

  12. Arimond M, Ruel MT. Dietary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child nutritional status: evidence from 11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 J Nutr 2004; 134(10): 2579-2585. 

  13.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14.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2012; 45(4): 390-399. 

  15. Yon M, Hyun T.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high risk of energy overintake. Korean J Nutr 2008; 41(5): 414-427. 

  16. Yon M, Hyun T.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009; 42(1): 38-47. 

  17. Choi Y, You Y, Go KA, Tserendejid Z, You HJ, Lee JE, Lee S, Park HR.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level of adherence to the Korean dietary action guides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2013; 7(3): 207-215.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2009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Guidelines of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20. Hanley JA, McNeil BJ. The meaning and use of the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Radiology 1982; 143(1): 29-36. 

  21. Swets JA.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1988; 240(4857): 1285-1293. 

  22. Story M, Kaphingst KM, Robinson-O'Brien R, Glanz K. Creating healthy food and eating environments: policy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Annu Rev Public Health 2008; 29(1): 253-272. 

  23. Yoo JS, Choi YS.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2013; 46(5): 427-439. 

  24. Kim JH, Jung YH.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Nowon-gu of Seoul by using nutrition quotient (NQ).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1): 1-11. 

  25. Kennedy ET, Ohls J, Carlson S, Fleming K. The healthy eating index: design and applications. J Am Diet Assoc 1995; 95(10): 1103-1108. 

  26. Kleiser C, Mensink GB, Scheidt-Nave C, Kurth BM. HuSKY: a healthy nutrition score based on food intak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ermany. Br J Nutr 2009; 102(4): 610-618. 

  27. Shim JE, Kim J, Mathai RA; STRONG Kids Research Team. Associations of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picky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J Am Diet Assoc 2011; 111(9): 1363-1368. 

  28. Kim YK, Song IH. Factors affecting the physical growth and eating habits of children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Yangyang-gun in Gangwon province.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1; 15(2): 141-151. 

  29. Seo SJ, Shin HS. A study on eating behavior, developmental outcomes of young children, and nutritional attitude and knowledge levels of moth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6): 839-845. 

  30. Bae JW, Oh MS. Parental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in kindergarten. Korean J Food Cult 2012; 27(6): 646-658. 

  31. McCurdy K, Gorman KS. Measuring family food environments in divers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ppetite 2010; 54(3): 615-618. 

  32. Seo JY, Lee IS, Choi BS. Study of food intakes and eating pattern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rea.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habits associated with body weight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10-721. 

  33. Shim JE, Yoon JH, Kim K, Paik HY. Association between picky eating behaviors and growth in preschool children. J Nutr Health 2013; 46(5): 418-426. 

  34. Kwon JY, Park H, Whang EM. The effects of milk group intake to dietary diversity score and nutrient adequacy ratio among toddler. Korean J Nutr 2001; 34(1): 30-38. 

  35. Shin KO, Chung KH, Park HS.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stratified based on the weight-length index (WLI). Nutr Res Pract 2010; 4(5): 383-392. 

  36. Kourlaba G, Kondaki K, Grammatikaki E, Roma-Giannikou E, Manios Y. Diet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and maternal perceptions/misperceptions: the GENESIS study. Public Health 2009; 123(11): 738-742. 

  37. Serdula MK, Alexander MP, Scanlon KS, Bowman BA. What are preschool children eating? A review of dietary assessment. Annu Rev Nutr 2001; 21: 475-498. 

  3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nd Nutrition Service. Nutrition and wellness tips for young children: build a healthy plate with whole grains [Internet]. Alexandria (VA): Food and Nutrition Service; 2015 [cited 2015 Apr 8]. Available from: http:// www.teamnutrition.usda.gov/library.html. 

  39. Dubois L, Farmer AP, Girard M, Peterson K. Preschool children's eating behaviours are related to dietary adequacy and body weight. Eur J Clin Nutr 2007; 61(7): 846-855. 

  40. Wright CM, Parkinson KN, Shipton D, Drewett RF. How do toddler eating problems relate to their eating behavior, food preferences, and growth? Pediatrics 2007; 120(4): e1069-e1075. 

  41. Whitaker RC, Wright JA, Pepe MS, Seidel KD, Dietz WH.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N Engl J Med 1997; 337(13): 869-873. 

  42. Benjamin SE, Cradock A, Walker EM, Slining M, Gillman MW. Obesity prevention in child care: a review of U.S. state regulations. BMC Public Health 2008; 8: 188. 

  43. Ollson S. Obesity in the early childhood years: state of the science and implementation of promising solutions: workshop summary.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ies Press; 2016. 

  44. Campbell K, Crawford D. Family food environments as determinants of preschool-aged children's eating behaviours: implications for obesity prevention policy. A review. Aust J Nutr Diet 2001; 58(1): 19-25. 

  45. Bennett CA, de Silva-Sanigorski AM, Nichols M, Bell AC, Swinburn BA. Assessing the intake of obesity-related foods and beverages in young children: comparison of a simple population survey with 24 hr-recall. Int J Behav Nutr Phys Act 2009; 6: 71. 

  46. Steyn NP, Nel JH, Nantel G, Kennedy G, Labadarios D. Food variety and dietary diversity scores in children: are they good indicators of dietary adequacy? Public Health Nutr 2006; 9(5): 644-650. 

  47. Chun IA, Han MA, Park J, Choi SW, Ryu SY.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habits of early childhood.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3; 17(1): 150-161. 

  48. Do NH, Kim JS, Ha MK. Survey on time use of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research report 2013-10.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